최치원과 그의 문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최치원과 그의 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I. 서론
II. 본론
1. 최치원(崔致遠)의 생애
2. 최치원(崔致遠)의 전설·설화
(1) 출생 설화
(2) 문헌 설화
(3) 지역에 관련된 전설
① 상림 숲
② 해운대
③ 우이도 상산봉
④ 삼신동
3. 최치원(崔致遠)의 문학적 성과
(1) 계원필경( 桂苑筆耕)
(2) 고운문집 (孤雲文集)
(3)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
(4) 추야우중(秋夜雨中)
(5) 향악잡영 (鄕樂雜詠)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심(萬里心)’은 그대로 만리 타국에 있는 작자의 심경이기보다 마음과 일이 서로 어긋나서 이 세상과는 이미 천리 만리 떠나 있는 작자의 심회를 호소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가 귀국하여 벼슬이 병부시랑에까지 올랐으나, 이 때는 이미 진성여왕의 난정으로 나라가 혼란했으므로, 몸과 마음을 의탁할 곳을 찾지 못하여 시무십여조(時務十餘條)를 올리고 가야산으로 들어가 은거했다. 이 때의 그의 심경이 곧 ‘만리심’이기도 하다.
(5) 향악잡영 (鄕樂雜詠)
신라 때의 가면극인 《오기(五伎)》의 모습을 그가 7언 4구체로 읊은 5수의 한시이다.
작자의 문집인 《계원필경》과 《삼국사기》·《악지(樂志)》에 실려 전한다. 《오기》는 금환(金丸)·월전(月顚)·대면(大面)·속독(束毒)·산예(奸猊)의 다섯가지 탈춤으로서 이에 대하여 각각 1수씩 지은 것이다. 《오기》를 구체적으로 기록한 유일한 자료로서 당시의 악극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Ⅲ. 결론
우리나라 한문학은 최치원으로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그는 한시의 다양한 형식을 자유자재로 활용하여 시대의 현실을 꿰뚫어 보고 있었다. 당시 신라는 최치원의 경륜과 학식을 펼치기엔 너무나 기울어진 나라였지만 그는 암담한 현실을 회피한 소극적인 지식인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사회를 변화시키려고 노력하고 행동하는 지식인이었다.
결국 실패한 생애이고, 무엇하나 이룬 것이 없다고 할지 모르나,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두고 자기 나름대로 심각하게 고민했다. 골품제도(骨品制度)라는 신라의 사회제도 속의 주인은 진골이었기 때문에 최고 지식인으로서 많은 갈등과 좌절을 겪었다. 그 속에서 방황하던 최치원은 견디기 어려운 절망감과 소외감을 느꼈고, 결국에 아까운 학식과 경륜을 접어둔 채 자연으로 은둔했던 것이다.
초년에는 문장 잘 쓰는 것으로 자부하느라고 자기 문제를 돌아볼 겨를이 없었지만, 당나라에서 좌절을 경험한 이래로 마침내 가야산에서 자취를 감출 때까지 방황과 번민을 시로 나타내면서 자기대로 진실을 토로했다. 한시 가운데서도 격식이 까다로운 근체시를 익혀서 능란한 표현을 갖추는 것도 쉽지 않은 노력인데, 내면의 고독과 회한을 오묘한 조화를 갖춘 말로 엮어내는 데까지 이르렀다.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94, pp271∼276
최치원은 시대를 잘못 만난 불운한 사람이었지만 참된 지식인으로서의 그의 면모와 훌륭한 문학을 통해 지금까지도 우리에게 기억되고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16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88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