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사와 안락사를 통한 죽음의 의미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죽음의 개념 및 윤리적 인식
1. 죽음의 의미
2.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윤리적 판단
Ⅲ 뇌사의 개념 및 이에 관련된 윤리적 접근
1. 뇌사의 정의 및 판정기준
2. 뇌사에 대한 사회 윤리적 접근
Ⅳ 안락사의 개념 및 이에 관련된 윤리적 접근
1. 안락사의 개념 및 정의
2. 안락사에 대한 인정 및 거부에 대한 윤리적 접근
*안락사를 찬성하는 의견
*안락사를 반대하는 의견
*안락사에 문제에 관한 비판적 제시
Ⅴ 결론

본문내용

인 죽을 권리의 선택으로 정당화된다는 것이 핵심이라는 파악했다. 그러나 과연 환자들의 안락사 요구는 정상적인 심리상태에서 진정한 의도로 이해할 수 있는지, 그리고 고통을 피하기 위해서 죽음을 선택할 권리를 개인의 기본권으로 주장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들었다.(안락사에 관해 찬성하는 조원들도 동조) 진정한 권리란 환자가 인간적인 존엄성을 지니고 평화롭게 자연적인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권리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안락사에 관해서 찬반의 흑백논리를 떠나서 진정으로 안락사에 관련된 죽음이라는 상대성이 강한 윤리적 개념에 관해서 어떤 확고한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는 생각이 우리들은 들었다. 안락사를 찬성하여 법제화한다고 해도 나름대로의 문제점이 도출될 수 있으며, 또한 무조건 안락사를 반대한다고 해도 융통성이 없이 절대론적인 가치만을 고수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확고한 논점은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는 방향에서 안락사를 다뤄야 한다는 것이다.
Ⅴ 결론
앞에서 우리는 죽음의 개념과 윤리에 관련되어서 뇌사와 안락사에 대해서 논의했다. 죽음에는 의학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죽음에 대한 다양한 사회, 윤리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뇌사를 죽음 판정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 것인지에 대하여 아직도 완전히 합의되지 않은 상태에서 뇌사의 찬반을 논의하는 것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그리고 안락사에 관련된 윤리적, 사회적 제반문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곧 아직도 정리되지 않은 '죽음의 정의'를 너무 성급하게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다. 슈몬이라는 학자의 말을 인용해 본다면 이 점을 잘 말해 준다. "진정한 전문가들 간에 윤리적 심증에 관한 폭넓은 의견의 일치가 있는 곳에서는 그 사회가 신경학적 근거에 의한 죽음의 진단을 인정하는 것이 전적으로 적절한 일이라고 여겨진다.........."
) 서인숙, '뇌사'에 관한 윤리적 고찰,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한구절인용,1996, P80
현대 의학도 가치 중립적인지 아니면 가치 함축적인지 구분이 불명확할 때가 있다. 하지만 윤리적인 요소를 많이 함축하고 있는 이상, 절대로 가치 중립적일 수는 없다. 따라서 가장 합리적인 뇌사나 안락사에 관한 입장을 고려할 때는 철저하게 윤리적 고찰이 필요하다고 우리는 보았다. 그리고 순수한 의학적 취지에서 볼 때, 보호받아야 할 인간생명이 현대의학의 고도로 전문화된 기술로 조작 당하고 그 존엄성이 짓밟히고 유린당하고 있는 현실은 인간의 이기심과 무분별한 판단의 결과라고 본다. 그러므로 뇌사는 장기이식 같은 현실적인 요소와 가치 중립적으로 결부되어서는 안되며, 안락사도 또한 단순히 고통을 덜어준다는 철저하게 도구주의적 발상을 가지고 연결되어서도 안 된다. 곧 우리는 살아 있는 사람을 포함, 여러 생명체의 고귀한 가치를 존중해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뇌사나 안락사에 관련된 환자들의 얼마 남지 않은 생명도 존중해야 하며,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한 본질적인 부분을 기능적인 공리주의적 발상에서 취급되어서는 안 된다고 우리는 판단한다.
그렇다면 가장 중요하게 뇌사나 안락사와 관련된 죽음의 본질을 어떤 견지에서 파악해야 하는 것이 가장 합당한가? 그것은 바로 슈바이처 박사의 생명 외경 정신에서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고 본다. 어떤 생명체도 함부로 다룰 수 없다는 그 철학적 견지야 말로 우리가 죽음과 삶을 바라보는 가장 합당한 대답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올바른 생명관의 정립을 위해서는 인간의 존엄성을 가치있게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철저한 교육이 가정에서 그리고 학교에서 동시에 일어나야 한다.
우리는 '죽음의 개념과 윤리.....뇌사와 안락사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를 가지고 소논문을 준비하면서 함께 생각해보고 토론하면서 뇌사와 안락사에 대해 좀 더 심화있게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죽음의 문제에 대해서 여러 각도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유익한 기회를 가졌다고 본다. 그리고 생명의 소중함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깨달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본다.
<별첨 1>
*우리 조원들의 활동 상황
2000년 12월4일 조원 결성( ) 및 주제 설정
2000년 12월6일 학교 신학생회관 1층 식당에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뇌사에 관련된 부분 에 관련된 1차토론
2000년 12월7일 학교 중문 앞 카페에서 안락사에 관련된 부분에 관련하여 2차 토론을 하였으며 동시에 원고에 관련된 개요를 작성하여 역할 분담
2000년 12월 10일 원고 완료
: 자료수집 및 죽음과 관련된 부분 원고 정리, 자료 복사, 전산 입력, 1차 토론 속기
: 자료수집 및 죽음과 관련된 부분 원고 정리, 자료 복사, 전산 입력, 2차 토론 속기
: 자료수집 및 서론 부분, 죽음 부분 원고 정리, 전산 입력, 자료 복사, 전산 입력
: 자료수집 및 서론 부분, 뇌사와 관련된 부분 원고 정리, 자료 복사, 전산 입력
: 자료수집 및 안락사와 관련된 부분, 결론 부분 원고 정리, 자료 복사, 전산 입력 및 총 편집
*개인별 자료수집 현황
:
:
:
: 다찌바나 다카시의 '뇌사',( 뇌사에 관한 형법적 고찰 및 철학적 연구Ⅱ)
: 서인숙의 '뇌사에 관한 윤리적 고찰', 사회윤리 심포지엄'사회윤리와 의료윤리',정동석 외 '죽음의 철학'.
<별첨 2>
참고문헌
다찌바나 다카시“뇌사”, 도서출판 신한 1996 p24,25,45.
문국진, 생명윤리와 안락사, 여문각, 1999, p.151,152-153,156,299,300-301.
오바라 히데오, 만물의 죽음-되돌아보는 삶과 죽음, 아카데미 서적, 1997, p.139
서인숙, '뇌사'에 관한 윤리적 고찰, 공주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1996, p33,51,62,80.
배영기, 죽음학의 이해, (주)교문사, 1992, p.132
정동석,이인석,김광윤 편저,죽음의 철학, 청람, 1986, P34
진교훈, 『철학적 인간학 연구 II』,1996 pp.177-181
안병건 뇌사에 관한 형법적 고찰, 성균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p.51
제6회 사회윤리 심포지엄, 사회윤리와 의료윤리,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1995, P73-75
  • 가격1,6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5.01.0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11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