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조경] 국토환경지표의 선정 및 녹지에 대한 환경용량 평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연구배경 및 목적

Ⅱ. 기존연구 검토
1. 국토환경지표에 대한 이론적 검토
2. 환경용량에 대한 이론적 검토

Ⅲ.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1. 공원 · 녹지의 환경용량 평가기준
2. 공원 · 녹지 환경용량 평가
3.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녹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시계획구역내 1인당 공원면적인 6㎡을 충족하는 곳은 도곡1동, 대치3동, 수서동, 도곡2동, 개포2동, 삼성2동, 삼성1동, 청담1동, 신사동, 일원2동, 압구정2동, 개포4동이 있으며, 시가화구역내 1인당 공원면적인 3㎡을 충족하는 못하는 지역에는 대치2동, 대치4동, 논현2동, 개포1동, 역삼1동이 있으며, 역삼2동의 경우 토지피복분류상 초지를 포함한 녹지지역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5 > 녹지면적 비율 < 그림 6 > 공원접근성 비율
강남구의 공원·녹지 환경용량 평가를 위해 기준으로 사용했던 도시계획구역내의 공원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적정인구수를 추정하였다. 예를 들어 개포1동의 경우 녹지 면적이 12,600㎥이므로 적정인구수는 2100명이 되는 것이다.
공원·녹지의 양적인 측면만을 고려한다면 강남구의 인구수는 현재에 비해 약 1.27배 증가한 665,700명이 되며 녹지가 비교적 많은 일원본동의 경우 현재의 인구수보다 약 5배 이상의 인구를 더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개포2동, 대치3동, 도곡1동, 수서동 등은 녹지의 양이 비교적 풍부하여 현재보다 2배 이상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다.
반면 개포1동, 개포3동, 논현1동, 논현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 압구정1동, 역삼1동, 역삼2동, 일원1동, 청담2동의 경우 공원·녹지의 양적인 측면에서 볼 때 적정한 환경용량에 미치지 못하므로 공원·녹지의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은 공원면적이 10,000㎡이상인 경우 유치거리가 500m이하이며, 공원면적이 30,000㎡이상인 경우는 유치거리가 1000m이하이다. 이를 기준으로 하여 강남구내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접근성 여부를 알아본 결과 강남구 전체면적의 약 27.44%만이 근린공원 유치거리이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린공원으로의 접근성이 가장 뛰어난 지역은 개포4동으로 동전체면적중 약 74%가 근린공원 유치거리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도곡1동과 일원본동이 각각 67.55%와 61.64%로 근린공원으로의 접근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개포2동, 청담1동, 개포3동은 동변적의 절반이상의 면적이 근린공원의 유치거리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논현1동, 논현2동, 대치3동, 신사동은 유치거리이내에 근린공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삼2동과 대치3동은 근린공원으로의 접근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에서는 강남구내 녹지면적과 근린공원을 기준으로 하여 녹지환경용량을 평가하여 녹지의 양적인 측면과 분포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해 보았으며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한 결과를 종합화하는 과정이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 밖에 녹지(패치)의 연결성, 격리도 등의 질적인 측면에서의 녹지환경용량을 산정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강상목 외. 2000. 환경지표와 지표체계 개발. 국토연구. 30. pp.31-49.
구본학 외. 2000. 환경친화적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환경성 평가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3(4). pp.22-32.
김명수. 2002. 대도시 녹지 연결성과 생물이동성 평가기법 개발: 경관생태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양병이 외. 2002. 단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지표. 국토계획. 37(5). pp.27-48.
이관규 외. 2001. 환경평가를 위한 지표의 가중치 산정방법 결정 모형. 영향평가. 10(1) pp.59-71.
이동근 외. 1997. 도시지속성지표 구축을 위한 개념적 연구: 환경적 지속성지표를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6(1). pp.33-45.
이동근 외. 1998.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환경지표에 관한 연구-인간과 자연과의 공생지표를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7(1). pp.93-107.
윤소원. 2001. 도시의 지속가능성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최영국. 1999. 환경용량의 허와 실. 국토연구. 21. pp.71-80
j.j. Kessler. 1994. Usefulness of the human carrying capacity concept in assessing ecological sustainability of land-use in semi-arid regions.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48. pp.273-284.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1.19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9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