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아동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폐아동에 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자폐증이란 무엇인가
[2] 자폐증의 임상적 특성
[3] 유아 자폐증의 발병시기
[4] 유아자폐증의 유병율
[5] 자폐아동의 지능
[6] 자폐증의 원인
[7] 자폐 아동의 가족

Ⅲ. 결 론

본문내용

될 것입니다. 멀리 굴러갔을 경우 아이는 잘 찾지 못할 때가 있을 것입니다. 이때 어머니는 가까이 가서 손가락으로 가리켜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매번 가르쳐 주어서는 안됩니다.
이 과정에서 아이는 주의와 통찰능력이 활성화 될 것입니다. 두리번거리면서 공을 찾는 모습을 보면 전과는 전혀 다른 태도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공주고 받기
아이는 작은 의자에 앉아 있습니다. 의자에 앉히는 이유는 아이가 서있게 되면 충동적으로 다른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머니는 공을 들고 아이에게 다가가 공을 건네줍니다. 아이가 공을 받습니다. 이때 다시 어머니는 아이에게 공을 달라고 합니다. 아이는 공을 어머니에게 줍니다. 잘 했다고 머리를 쓰다듬으면 아이는 즐거워 할 것입니다.
앉아 있는 아이와 2미터 간격을 두고 어머니가 서있습니다. 그리고 어머니가 공을 아이에게 던지는 흉내를 내면 아이는 손을 뻗칩니다. 이때 아이에게 공을 살짝 던져 줍니다. 손을 뻗쳤기 때문에 쉽게 공을 잡을 수 있습니다. 놀이학습이 진행되는 동안 아이와 어머니의 거리 간격을 점점 멀리하여 공을 던지도록 합니다. 그리고 "공 튀겨 받기"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공주고 받기를 합니다. 공을 잘 받을 때마마 맛있는 간식을 줍니다. 아이는 먹는 맛에 공주고 받기를 즐거워합니다. 이전 보다 주의는 더욱 활성화 될 것입니다. 물론 이때 부터 상호관계에 대한 지각능력도 발달해 갑니다.
□공차기
넒은 뜰이나 운동장이 좋습니다. 아이와 어머니는 나란히 손을 잡고서있습니다. 먼저 어머니가 바닥에 있는 공을 찹니다. 공은 굴러갑니다. 어머니는 아이의 손을 잡고 함께 공이 굴러가는 쪽을 향해 달려갑니다. 가까이 갔을 때, 어머니는 아이에게 공을 차라고 요구합니다. 아이는 힘없이 공을 찹니다. 그래도 그것은 성공적입니다. 아이와 어머니는 손을 잡고 굴러간 공을 쫓아가서 다시 공을 찹니다. 이때 서로 교환해서 공을 차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와 어머니는 함께 간격을 두고 마주 서있습니다. 먼저 어머니가 아이를 향해 공을 찹니다. 아이는 자기에게 다가온 공을 내려다봅니다. 어머니는 공을 차라고 요구합니다. 아이는 어머니를 향해 공을 찹니다. 그리고 다시 어머니가 아이에게 공을 차서 보냅니다. 또 다시 어머니가 아이에게 공을 차라고 요구합니다. 아이는 신체 움직임이 불안전하고 힘이 약하지만, 공을 차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지금까지의 놀이학습이 성공적으로 잘 이루어 졌다면 이후에 공과 관련된 다양한 놀이를 유도하는데 어렵지 않습니다. 어머니가 다양한 공놀이를 구상하여 아이와 함께 한다면 아이는 주의와 통찰 그리고 대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획득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놀이는 관계형성으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입니다.
이외에 까궁놀이, 숨바꼭질과 같은 놀이는 어머니와 함께 할 수 있는 좋은 내용입니다.
[8] 자폐아동을 위한 사업
1. 진단 및 판별소
정신과의사, 소아과의사, 신경학자, 심리학자, 교사, 간호사, 사회사업가로 구성된 진단 및 판별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팀은 부모에게 문제행동을 고칠 수 있는 방법뿐만 아니라 부모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충고를 해 줄 수 있다. 이러한 진단소는 교육기구, 의료기구와 밀접한 관계를 가져야 한다.
2. 학교
자폐아동은 5세 혹은 그 이전부터 청소년이 될 때까지 적당한 학교에 다닐 필요가 있다. 그들은 다른 장애아와 같이 학교에 다니거나 정상아와 같이 섞이거나 혹은 자폐아동만 따로 학교에 다니는 것이 가장 좋은지에 대해서 논란이 많다. 이상적인 교육환경은 개인적인 지도를 해줄 수 있는 조직적인 분위기가 제일 좋고 나중에 그들이 발전하면서는 3-4명이 같이 배울 수 있는 환경이 제일 좋다. 교육방법은 언어장애를 가르치는 방법이 좋다.
3. 기숙사제
아동이 집에서 살수 없는 경우에는 기숙학교에 입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 효과적이기도 하다. 어떤 자폐 아동은 현재 정신지체아 병원에 입원하고 있어서, 개인적인 지도를 받지 못하고 특별히 자극을 받지 못해 피해를 입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런 아동이 집에서 살 수 없는 경우에는 작은 가정 규모의 합숙소에서 지내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다. 그는 자기 집에서 사는 것과 마찬가지로 낮에는 특수학교에 다닐 수 있고, 적합한 경험이 있는 직원이 있다면 다른 장애아도 같이 살며, 다른 학교에 다닐 수 있을 것이다.
가정이 없는 성인도 여럿이서 같이 모여 사는 곳이 필요하고, 누구든지 그들이 별 문제 없이 지내도록 돌보아 주는 것이 필요하다.
4. 직업교육
자폐아동은 아동기 동안 특수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고 해도 직장을 갖기 위해서는 언제나 그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학교에서부터 점차적으로 적당한 기술훈련서로 옮기게 되면 미성숙한 청소년이 갑자기 성인의 세계에 가서 섞여 지낼 때 생기는 문제들은 방지할 수 있다.
또 기술 훈련은 범위가 다양하여서 각 개인이 자기에게 맞는 특수한 기술을 터득해 갈 수 있어야 한다.
Ⅲ. 결 론
자폐증에 대한 연구는 1940년대에 이 증후군이 처음 알려진 이후 점차 진보를 거듭하고 있다. 역학에 관한 이론이 나왔고, 특별한 원인이나 치료에 관한 여러 가지 이론이 나왔고, 특별한 원인이나 치료에 관한 여러 연구들이 있어 왔다. 여러 시행착오를 거쳐서 이 장애의 정도가 특수교육 방법을 통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런 기술들은 원인이 밝혀짐에 따라 앞으로는 더욱 많이 소개될 것이다.
자폐증을 가진 가족들이 겪는 고통은 신체적인 장애를 가진 가족들이 겪는 고통보다도 더 클지도 모른다. 무엇보다도 장애자녀와 장애형제, 자매에 대해 인정하는 것에도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가족들은 언제 장애로 인정을 하고 자폐증인 가족에 대해서도 서로 애착을 가지고 보살펴 주어야 한다. 자폐증 가족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충분한 대화도 중요할 것이다. 또 이들을 보는 일반인들의 시선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또 자폐아동을 위한 충분한 교육기관과 재사회화 교육을 실시하여 이들이 교육을 받은 후에 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사회적 풍토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1.19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9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