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조직화와 복잡성의 원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반응 회로망

2. 생명현상과 진화 - 저절도 생기는 질서 -

3. 우연성대 필연성

본문내용

는 어 느 방향으로나 매끈한 비탈을 갖는다.
② K=N-1같이 지형들은 무작위적인 것이 되며, (2^N)/(N+1)개 지역적 봉우리를 갖고 있다. 이는 많은 유전자들의 수가 많아지면 지역적 최적점이 어마어마하게 커지게 된다. 또한 위로 올라갈 수록 오르막 뱝향의 수는 거의 반으로 줄어들어 개선 속도는 급격히 느려진다.
(결론) K가 0 (N-1)로 조절됨에 따라, 상관성이 있지만 점점 더 울퉁불퉁하게 되고 그 봉우리들은 더 낮아지게 된다. 이는 곧 최고 봉우리로의 적응적 진화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함을 말한다. K가 0 (N-1)로 조절됨에 따라 점진적인 진화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K가 작으면 봉우리들은 마치 알프스 산맥처럼 서로 모여 있다. 이것은 이런 특정 지역을 찾으려는 적응 과정에 도움이 된다.
K가 증가하면 매우 울퉁불퉁한 지형이며 높은 봉우리들이 지형판 전역에 걸쳐 무작위적으로 분포한다. 이것은 즉 높은 봉우리들이 없으며 이 영역을 탐색하는 것 자체가 의미 없음을 시사한다.
■ K=2인 곳에서는 특징
■ 가장 높은 봉우리들은 서로 모여 있다. 그것들은 적합성 지형 상에서 무리를 형성하고 있다.
■ 가장 높은 봉우리는 가장 넓은 끌개의 유역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적합성 지역의 어디 에서 시작하더라도 가장 높은 봉우리로 향한 길을 쉽게 찾을 수 있다.
■ 하지만 이러한 현상에 대해 아직 수학적으로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 NK지형판에서 유전자 재조합
■ 성은 왜 진화되었는가?
■ 만약 실제 지형판의 K값이 작다면(무작위적인 지형판이 아니라면)
성을 가진 배수 염색체 생물은 반수체 생물들에 비해 높은 봉우리를 찾는데 유리하다.
(이유) 한 적응 집단이 어떤 적합도 지형 위의 어딘가의 걸쳐 있다면 그 적응 집단이 부모 유전자형들 사이의 지역들을 쳐다볼 수 있게 해준다.
예) 부계 유전자(111111), 모계 유전자(000000)인 경우 유전자 재조합은 (111110),(111100)........(000001)등 많은 수의 다른 유전자형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이 모두는 유전자형 공간에서 그 두 개의 어버이 유전자형들 사이에 놓여 있는 것이다. 이는 그 지형의 대역적인 특성들을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 만약 실제 지형판의 K값이 크다면(무작위적인 지형판)
■ 지역적 정상에 있다고 하더라도 재조합은 (나쁜)종류의 적합도 지형에 떨어지고 우리의 적합성은 평균적으로 더 낮은 적합성을 갖게 된다.
(추론) ■ 생물들에게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상충적 제약들이 재조합이 쓸모 있는 지형들을 우연히 만들었다.
■ 자연선택 스스로가 재조합이 쓸모가 있는 특성을 갖는 생물들을 선택했거나 만든 것이다.
(결론 그리고 가정)
■ 돌연변이, 재조합, 그리고 자연선택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생물체 집단은 울퉁불퉁하지만 좋은 상관성이 있는 지형들 위에서 진화해야 한다. 이는 무작위적인 지형판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 실험에 의하면 선택이 좋은 지형을 보장해 줄 수 있는지는 의심스럽다.
■ 자기조직화는 아마 진화력 자체의 전제 조건일 것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2.06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0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