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놀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속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민속연희

2. 놀이문화의 변천

3. 놀이의 종류

4. 탈춤

5. 축제

6. 굿판

7. 춤판

본문내용

자의 태도와 정조를 강화(Allport)
나) 욕구불만에 대한 보상이 되고(Freud), 불안해소나 치료의 효과(Kluckhohn)
다) 사회적인 측면에서 사회통합의 역할(Durkheim, Radcliff-Brown)이나 개인과 집단의 균 형을 유지해주는 기능
라) 종교 문화적인 측면 : 신화의 재현을 통한 원형적이고 궁극적인 의미를 체득시키며, 개 인과 사회와 우주와의 관련성을 새롭게 확인시키는 한편, 문화의 위기를 주목하고 붕괴 를 막는 기능
2) 축제의 시간과 공간
가) 축제의 시간성
새해의 시작, 계절의 전환, 절후의 변화, 생명의 탄생과 죽음, 새로운 삶의 출발 등과 밀접 한 관련, 축제의 시간은 일상적이고 통속적이고 역사적인 시간을 거부한다. 상대적으로 새 로운 시간, 선택적 시간 신성한 시간 초역사적 시간이다. 일회적이고 역사적인 시간을 거 부하고 신과 조상들이 이 세상을 창조하고 건설하던 원점으로 시간을 회귀시키며, 과거에 일어난 성스러운 일을 재현함으로써 근원적인 시간을 기념하고 재현시킨다. - 위대한 시간 Great time에 대한 회복이며, 영원성에의 회귀이자 재생이다.
나) 축제의 공간
· 지리적이고 물리적인 공간을 거부하고 신성하고 초월적인 공간으로 전환
· 산이나 바위 밑, 거목 밑이나 서낭당, 샘터나 바닷가, 묘지 주변이 흔히 축제의 장소
· 위의 장소에 신이나 조상이 현현되며, 세속인은 그러한 장소에 들어감으로써 새로운 차 원의 공간 속에서 위대한 존재를 대면
다) 축제의 전승
· 구비전승 : 입에서 입으로
· 행위전승 : 몸짓에서 몸짓으로
· 현장전승 : 직접 현장에서 다수의 참여자를 통한 전승
· 환경전승 : 지역 사회의 여건이나 생산양식, 생활방식, 상화에 따라서 전승
3) 축제의 전형
가) 마을굿(부락제, 부락굿, 동제, 당제, 서낭제)
무당이 중심이 되는 형,
주민(농악대)가 중심이 되는 형
제주가 중심이 되는 형(엄숙한 유교식 제사의식)
·시기 : 정초, 단오
·형식 : 제사의식 - 지신밟기 - 놀이 - 뒷풀이
제사의식 : 마을 수호신에게 제사
지신밟기 : 제사를 통해 신의 강림을 받은 마을 사람들을 농악을 울리면서 공동우물이 나 동사 집집을 순회하면서 지신밟기를 한다. 성주신(마루), 삼신(안방), 조 왕신(부엌) 등에서 집안의 평안과 다산, 무병을 기원
놀이 : 지신밟기가 끝나면 각종의 놀이가 펼쳐진다. 농악대가 중심이 되는 판놀이로 하 고 주민들이 대거 참여하는 민속놀이도 한다. 줄다리기, 차전놀이, 강강술래
뒷풀이 : 놀이가 끝나면 마을 사람 모두가 술과 음식을 나누어 먹는 즐거운 뒷풀이를 한다. ‘풀이’에는 해소·정화·제거·해결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뒷풀이를 통하 여 쌓인 한이나 응어리진 감정, 상호 간의 불화와 반목은 해소 되고 공동체 의식은 신장된다.
→ 마을굿이 끝나면 그 마을은 정화되고 새로운 마음으로 새로운 삶이 전개된다. 부정과 오락과 불합리한 묵은 삶이 사라지고 신성하고 밝은 생활이 열리게 된다. 풍농이 이루 어지며, 우환이 사라지고 주민들이 화목하게 된다. 신의 축복 속에서 결혼과 출산도 증 가된다.
나) 별신굿
·마을굿보다 규모가 휠씬 크고 복합성이 짙다는 점에서 대동적인 축제의 양상을 드러낸다
·매년 주기적으로 열리는 마을 굿과는 달리 3년 5년, 10년을 주기로 모든 신들을 모시고 별도의 커다란 제의를 갖는다. 마을 사람들 뿐만 아니라 인근 다른 지역에서 대거 모여 든다.
·별신굿의 시간은 일종의 큰 해 Great year에 해당된다. - 세계와 인류는 주기적으로 창조, 존속, 소멸을 반복하는 큰 해(大年)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종교적인 인식인데, 사람들은 하나의 큰해의 주기가 끝나며 제의를 통하여 다시 새로운 큰 해 주기를 시작함으로써 재 생과 갱신을 통한 영원에의 회귀를 기원하게 된다.
· 은산별신굿, 하회별신굿, 동해안 별신굿, 서해안 별신굿, 남해안 별신굿
4) 축제의 분류
가) 시기에 의한 분류 : 매년 혹은 몇 해를 일정한 주기로하여 이루어지는 축제(세시풍속 등)
나) 지역에 의한 분류 : 축제가 전승되는 일정한 지역을 대상으로하여 그 독립성을 위주로 한다.(강릉단오제, 은산별신제)
다) 담당층에 의한 분류 : 축제에 참가하는 주민들의 성향에 따른 농민·어민·도시민 등
라) 목적에 따른 분류 : 풍농 풍어, 사령천도, 조상숭배, 흥행, 여흥
마) 제의 형식에 따른 분류 : 무당이 중심이 되고 농악대가 부수적인 것
농악대가 중심이 되고 무당이 부수적인 것
제주가 중심이 되고 농악대가 부수적인 것
절충식
바) 성에 따른 분류 : 남성, 여성
사) 연행양식에 따른 분류 : 종교의례적인 것, 민속놀이적인 것, 공연적인 것, 절충식
6. 굿판
가) 의미
· 굿은 무당이 신령을 모시고 의례를 행하는 것 굿이란 행복을 초래하기 위한 영혼과 관련된 종교의례
· 굿은 궂은 날(비오는 날), 궂은 일(상사) - 흉하고 험한 일로 풀이한 사람도 있음
· 퉁구스어 kuta, 몽구어 qutug, 터키어 볏 - 행운 행복
나) 굿판의 구조
· 준비과장 : 주당물림, 부정, 청배, 진적
부정한 것과 잡귀잡신을 물리치고 제의 장소를 정화하며 모든 신령과 조상을 청 하여 모시는 것
· 본과장(거리과장) : 성격이 다른 여러 신령들이 그 해당 거리에 모셔진다.(신신거리, 조왕거 리, 천왕거리, 장군거리)
· 종결과정(뒷전) : 잡귀잡신을 놀려드리는 재차, 뒤전 또는 여러 잡귀 잡신의 무리를 각기 모 시는 거리들로 짜여 있다. 본과장에서 끼어들 틈이 없는 신을 위한 것, 노 래와 춤, 재담과 음식, 술과 음식으로서 대접
- 청신 - 오신 - 송신
다) 굿판의 기능
· 집안, 마을 국가의 안과태평
· 치병
· 영혼천도
· 조상·신령 접대
7. 춤판
동제나 지신밟기는 물론 명절과 결부되거나 생산현장에서 이어지고, 이밖에 불교제 의식이나 종교적인 제례인 종묘, 문효의 대제에서 베풀어 진다.
춤판의 종류
가) 광장판에서의 춤 ; 별신굿, 도당굿, 대동굿
나) 전정판에서의 춤 : 불교의식무용인 탑돌이, 작법무, 오신굿, 승무, 정제무
다) 방 중 판의 춤 : 마루, 사랑방, 교방무, 기방무용(검무, 승무, 살풀이)

키워드

민속놀이,   축제,   굿판,   놀이,   민속연희,   탈춤,   춤판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2.22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2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