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THE WORLD NO.1 삼성
* 스스로 개혁하고 느껴라
* 타문화를 자신의 것으로
* 신경영
* 월드 베스트 삼성을 향해
* 장점이 있는 곳은 과감히 벤치마킹하라
* 나눔의 철학은 기업의 본질
* 애니콜 신화
* 세계 1등 제품 육성
* CEO는 전천후 인간
* 스스로 개혁하고 느껴라
* 타문화를 자신의 것으로
* 신경영
* 월드 베스트 삼성을 향해
* 장점이 있는 곳은 과감히 벤치마킹하라
* 나눔의 철학은 기업의 본질
* 애니콜 신화
* 세계 1등 제품 육성
* CEO는 전천후 인간
본문내용
01년 삼성의 핵심 수뇌부의 회동은 도시바의 울타리 안으로 들어가겠느냐, 아니면 독자적으로 시장을 개척해 도시바의 벽을 뛰어넘을 것이냐를 결정하는 자리였다. 삼성전자 경영진에서는 도시바와 합작하는 경우와 독자사업으로 추진할 경우의 장, 단점 등 두가지 안건을 이 회장에게 보고했다. 이회장은 고민 끝에 일본으로 건너가 도시바의 제의 배경에 대한 정보를 직접 수집, 독자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사업부서장인 황사장을 직접 불러 최종적으로 그의 의견을 들어보았다.
당시 삼성전자의 시장점유율은 2000년 26%, 이듬해 28%, 58%로 급등한다. 반면 도시바는 같은 기간 45%에서 32%, 35%로 점유율이 급격히 낮아졌다. 황사장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가 2003년 시장점유율 65%트를 차지해 명실상부한 월드베스트 제품으로 등극할 것으로 자신하고 있었다. 이 예측은 결국 옳았음이 입증되었다.
이후 삼성전자는 이 회장의 지시로 메모리 사업 차별화와 비메모리 강화 등 두가지 축에서 수종사업을 발굴해 왔다. 이런 노력은 2000년대 들어서면서 결실로 나타나기 시작해 2002년 메모리 사업 총 매출액은 71억 달러로 이 가운데 65% 가량이 일반 D램이 아닌 낸드 플래시 메모리나 모바일용 메모리 등 고부가가치 틈새 제품들이었다.
이 회장은 반도체뿐 아니라 삼성이 생산하는 다른 제품들도 월드베스트가 돼야 생존할 수 있다고 역설해왔다. 사실 신경영의 핵심은 다름 아닌 제품과 서비스의 월드베스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미 지난 1993년 신경영 추진 당시 해외 매장에서 삼성 제품의 현주소를 확인한 이 회장은 1등 제품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각오로 월드베스트 전략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었따. 각 분야에서 1등을 할 수 있는 제품이 아니면 경쟁에서 이길 수 없다는 이 회장의 철학에 따라 사업부별로 한 개의 명품을 만드는 작업에 착수했다. 선진 제품 비교전시도 그래서 시작됐다. 선정된 제품에 대한 기술 로드맵 작성, 선진업체 벤치마킹, 기술격차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 개발 투자전략 등은 기본이었다. 이는 결국 오늘날의 삼성을 이루는 밑바탕이 된다.
여기에는 인재도 빠질수 없는 자원으로 포함된다.
삼성구조조정본부는 2002년 연말 사장단 업적 평가에 계열사별 핵심 인력 확보 달성률을 반영하고 있다. 100점 만점에 30점이 핵심 인력 확보 달성률이다. 구조조정본부 인력팀은 앞으로 핵심 인력 확보 달성률이 사장단 평가에서 더욱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각 계열사 CEO들이 핵심 인력을 위해 목숨을 걸었다는 표현을 서슴지 않고 이TEk.
■ CEO는 전천후 인간이 되라
1994년 이건희 회장은 카이스트 원장을 찾아가 정원의 반이상을 삼성인으로 채우겠다며 테크노 MBA과정이 꼭 설립되어야 할 프로그램임을 역설했다. 삼성은 이듬해 설립된 테크노 경영대학원에 100명의 과장급 간부를 보내 차세대 리더 육성에 돌입했다.
이건희 회장은 경영진에 대한 파격적인 연봉, 과감한 스톡옵션등 인센티브는 조직 활성화와 개인의 창의력 발휘에 바탕이 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그는회사에 도움이 되는 인력에게는 비용을 아끼지 말라고 늘 주문한다. 심지어 노력했다면 비록 성과가 부진해도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래서 삼성에는 신상필벌에서 벌을 상으로 대신한 신상필상이 통한다.
2003년 6월 신경영 선언 10주년을 기념해 삼성 CEO들이 다 모인 자리에서 이 회장은 신경영 2기를 선언하며 가장 존경받는 기업 이라는 삼성 신화의 새로운 방향을 설정했다. 삼성이 과연 어떤 모습으로 진화해나갈지 국내는 물론 세계 시장은 지켜보고 있다.
당시 삼성전자의 시장점유율은 2000년 26%, 이듬해 28%, 58%로 급등한다. 반면 도시바는 같은 기간 45%에서 32%, 35%로 점유율이 급격히 낮아졌다. 황사장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가 2003년 시장점유율 65%트를 차지해 명실상부한 월드베스트 제품으로 등극할 것으로 자신하고 있었다. 이 예측은 결국 옳았음이 입증되었다.
이후 삼성전자는 이 회장의 지시로 메모리 사업 차별화와 비메모리 강화 등 두가지 축에서 수종사업을 발굴해 왔다. 이런 노력은 2000년대 들어서면서 결실로 나타나기 시작해 2002년 메모리 사업 총 매출액은 71억 달러로 이 가운데 65% 가량이 일반 D램이 아닌 낸드 플래시 메모리나 모바일용 메모리 등 고부가가치 틈새 제품들이었다.
이 회장은 반도체뿐 아니라 삼성이 생산하는 다른 제품들도 월드베스트가 돼야 생존할 수 있다고 역설해왔다. 사실 신경영의 핵심은 다름 아닌 제품과 서비스의 월드베스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미 지난 1993년 신경영 추진 당시 해외 매장에서 삼성 제품의 현주소를 확인한 이 회장은 1등 제품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각오로 월드베스트 전략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었따. 각 분야에서 1등을 할 수 있는 제품이 아니면 경쟁에서 이길 수 없다는 이 회장의 철학에 따라 사업부별로 한 개의 명품을 만드는 작업에 착수했다. 선진 제품 비교전시도 그래서 시작됐다. 선정된 제품에 대한 기술 로드맵 작성, 선진업체 벤치마킹, 기술격차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 개발 투자전략 등은 기본이었다. 이는 결국 오늘날의 삼성을 이루는 밑바탕이 된다.
여기에는 인재도 빠질수 없는 자원으로 포함된다.
삼성구조조정본부는 2002년 연말 사장단 업적 평가에 계열사별 핵심 인력 확보 달성률을 반영하고 있다. 100점 만점에 30점이 핵심 인력 확보 달성률이다. 구조조정본부 인력팀은 앞으로 핵심 인력 확보 달성률이 사장단 평가에서 더욱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각 계열사 CEO들이 핵심 인력을 위해 목숨을 걸었다는 표현을 서슴지 않고 이TEk.
■ CEO는 전천후 인간이 되라
1994년 이건희 회장은 카이스트 원장을 찾아가 정원의 반이상을 삼성인으로 채우겠다며 테크노 MBA과정이 꼭 설립되어야 할 프로그램임을 역설했다. 삼성은 이듬해 설립된 테크노 경영대학원에 100명의 과장급 간부를 보내 차세대 리더 육성에 돌입했다.
이건희 회장은 경영진에 대한 파격적인 연봉, 과감한 스톡옵션등 인센티브는 조직 활성화와 개인의 창의력 발휘에 바탕이 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그는회사에 도움이 되는 인력에게는 비용을 아끼지 말라고 늘 주문한다. 심지어 노력했다면 비록 성과가 부진해도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래서 삼성에는 신상필벌에서 벌을 상으로 대신한 신상필상이 통한다.
2003년 6월 신경영 선언 10주년을 기념해 삼성 CEO들이 다 모인 자리에서 이 회장은 신경영 2기를 선언하며 가장 존경받는 기업 이라는 삼성 신화의 새로운 방향을 설정했다. 삼성이 과연 어떤 모습으로 진화해나갈지 국내는 물론 세계 시장은 지켜보고 있다.
추천자료
삼성 SDS 지식공유 시스템 아리샘의 분석
삼성 전자 기업분석
삼성물산 기업분석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PR의 기본적인 개념과 삼성전자의 대내적, 대외적 구조와 전략
삼성전자-브랜드 가치제고와 지적재산관리 전략
삼성 교육체제 설계모델
삼성레포츠센터, 발리토탈휘트니스비교
삼성전자의 인사관리에 대한 레포트
삼성의 CDP(경력개발프로그램)분석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국제경영 PPT
삼성전자-국제경영론,삼성마케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삼성전자의 스포츠마케팅 (스포츠마케팅사례,스포츠마케팅,삼성전자마케팅전략).PPT자료
반도체시장의현황과 삼성반도체의 성공전략 [삼성반도체].pptx
삼성전자의 국제경영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