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민요 인식의 역사
2. 민요의 실상과 변모
3. 한시의 민요수용
4. 국문시가의 한역
5. 악부시의 성격과 양상
6. 육담풍월· 언문풍월의 구실
2. 민요의 실상과 변모
3. 한시의 민요수용
4. 국문시가의 한역
5. 악부시의 성격과 양상
6. 육담풍월· 언문풍월의 구실
본문내용
욕보이자는 뜻을 지녔기에 이러한 명칭이 그럴 듯 하 다.
2) 언문풍월: 국문으로 지은 시이면서도 한시처럼 글자 수를 제한하고, 운자까지 붙이는 것이다. 까 다로운 조건에 따라 말을 맞추는 재치를 요구하나, 온전한 시일 수는 없다.
→ 육담풍월과 언문풍월을 구태여 마련한 것은 한시를 야유하자는 것이었다.
나. 육담풍월과 언문풍월의 예
- <요로원야화기>: 육담풍월의 쓰임새를 말해주는 소중한 자료이다.
- <봉산탈춤>에서의 언문풍월
- <이언총림>: 표제만 한자이고 전문 국문으로 된 필사본으로 소화 25편, 일반 수수께끼 37편, 파자 수수께끼 32편과 함께 희작시 11편을 수록해 놓음~ 잡담을 즐기고 국문을 애용하던 사람들 사이에 희 작시가 인기를 얻었던 사정을 짐작케 함.
- 김병연(김삿갓, 김립)의 <김립시집> 中 과시, 한시, 육담풍월, 언문풍월의 네 종류가 있음.
다. 육담풍월과 언문풍월의 의의
* 육담풍월과 언문풍월은 장난이고 진지하게 개척할 만한 의의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악부시민요 시가 대거 나타나 한시가 변모를 겪고, 육담풍월과 언문풍월로 한시가 조롱을 당한 사태를 연결시켜 보면 한시의 종말이 가까웠다는 것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2) 언문풍월: 국문으로 지은 시이면서도 한시처럼 글자 수를 제한하고, 운자까지 붙이는 것이다. 까 다로운 조건에 따라 말을 맞추는 재치를 요구하나, 온전한 시일 수는 없다.
→ 육담풍월과 언문풍월을 구태여 마련한 것은 한시를 야유하자는 것이었다.
나. 육담풍월과 언문풍월의 예
- <요로원야화기>: 육담풍월의 쓰임새를 말해주는 소중한 자료이다.
- <봉산탈춤>에서의 언문풍월
- <이언총림>: 표제만 한자이고 전문 국문으로 된 필사본으로 소화 25편, 일반 수수께끼 37편, 파자 수수께끼 32편과 함께 희작시 11편을 수록해 놓음~ 잡담을 즐기고 국문을 애용하던 사람들 사이에 희 작시가 인기를 얻었던 사정을 짐작케 함.
- 김병연(김삿갓, 김립)의 <김립시집> 中 과시, 한시, 육담풍월, 언문풍월의 네 종류가 있음.
다. 육담풍월과 언문풍월의 의의
* 육담풍월과 언문풍월은 장난이고 진지하게 개척할 만한 의의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악부시민요 시가 대거 나타나 한시가 변모를 겪고, 육담풍월과 언문풍월로 한시가 조롱을 당한 사태를 연결시켜 보면 한시의 종말이 가까웠다는 것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