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와 소설 - 풍자, 해학, 비꼼, 저항, 비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면서
1. < 해학 ․ 풍자 ․ 비꼼> - <민요>
<해학>
①방귀타령
②시집살이 노래
<풍자>
①사리화(沙里花)
②묵책요
③조선 시대의 정치요
2.<풍자 ․ 해학 ․ 비꼼> - <소설>
① 요로원야화기 - 박두세
3. <저항 ․ 비판> - <민요>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다:죽는다.
좌수(座首):시골 관청의 우두머리.
별감(別監):좌수에 버금가는 자리.
삼색나졸(三色邏卒):옛날 지방관아에 딸린 나장, 군뢰, 사령 등 세 하인을 함께 이르는 말.
인궤(印櫃):관청에서 사용하는 도장을 넣어두던 상자.
과줄:밀가루를 꿀과 기름에 반죽한 뒤 판에 박아 기름에 띄워 지진 음식.
병부(兵符):발병부(發兵符). 동글 납짝한 나무쪽에 '발병(發兵)'이라 써서 군사를 일으킬 때 내리던 표.
탕건:갓 아래에 바쳐 쓰는 관의 한 가지.
용수:술을 거르는데 쓰는 싸리로 만든 긴 통.
훤화(喧화):지껄여 떠듦.
도처(徒處):옮겨감.
봉고파직(封庫罷職):관청의 창고를 봉해 잠그고 못된 짓을 한 원을 파면시킴.
어순의 도치에 해당한 언어유희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부분은 변사또가 백성의 세금을 착취해서, 백성들은 피눈물을 흘리고 있을 때, 자신은 생일잔치를 하다가, 자신의 악행을 암행어사에게 들키자 자신에게 올 처분이 두려워서 두려움에 떠는 장면을 독자로 하여금 웃음 짓게 표현한 부분이다. 변사또가 얼마나 놀랬으면 '어 추워라 바람들어온다, 문 닫아라'를 '어 추워라, 문 들어온다, 바람 닫아라'라고 거꾸로 말했겠는가? 마찬가지로 '목마르다, 물 들여라'를 '물 마른다, 목 들여라'라고 했겠는가? 암행어사 출두에 당황한 변사또가 당황해서 내뱉은 이 말이 바로 해학적 표현으로 나타난 부분이다.
3. <저항 비판> - <민요>

두껍아 두껍아
너 등더리가
왜그렇노
전라감사(全羅監司) 살적에
기생첩(妓生妾)을 많이해서
창이올라 그렇다
두껍아 두껍아
너 손바닥이
왜그런노
전라감사(全羅監司) 살적에
장기(장기)바둑 많이둬서
못이벡혀 그렇다
두껍아 두껍아
너눈깔이
왜그런노
전라감사(全羅監司) 살적에
울근불근 많이먹어
붉힌눈이 남아있네
*출처 : 최철의 한국민요학. 임동권 채록
--------------------------------------------------------------------------
감사는 풍자의 대상이고, 두꺼비는 그 수단이다. 점잖고 위엄 있어야 할 감사의 얼굴이 두꺼비 등과 같이 흉물스럽다 하고, 그렇게 된 이유는 기생첩을 많이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감사는 가혹한 농민 수취의 두목이었던 것이 조선 후기의 실정이었다. 정약용은 감사야말로 큰 도적이라고 하고, '大盜不去民盡劉(대도부거민진유) - 큰 도적을 없애지 않으면 백성이 모조리 죽게 된다.'고 했다. 기생첩을 많이 했다는 것은 감사가 백성들로부터 거두어들인 재물을 가지고 노는 퇴폐적인 거동을 집약적으로 나타낸다.
--------------------------------------------------------------------------
②해종일 밭갈아도
햇볕에 등쪼이며
해종일 밭 갈건만
농부에게 돌아오는 것
한말 조도 안되네
우리 신세 바뀌어
조정에 앉는다면
높고도 쌓인곡식
만섬에 이르건만
이인로, <파한집> 권하, 장13
--------------------------------------------------------------------------
이인로의 <파한집>에 기록되어 있는 <해종일 밭갈아도>라는 민요이다. 민중의 생활의 고통이 ‘관청’으로 대표되는 지배층의 착취와 수탈에 기인한 것임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착취와 수탈은 ‘햇볕에 등쪼이며 해종일 밭갈아야’하는 노동의 고통을 증폭시킬 뿐만 아니라 노동을 기초로 영위되는 일상생활에 까지 고통을 가증시키는 것임은 분명하다. 신세를 바꾸어 관청에 앉아 보았으면 하는 바람은 지배층에 대한 비판이면서 동시에 민중의 고통스러운 현실을 우회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라 하겠다.
--------------------------------------------------------------------------
*참고문헌
韓國民謠學(한국민요학), 최철, 연세대 출판부, 1992. *서지 작성 순서 수정
한국 민요시 연구. 박혜숙 저. 형설 출판사.
우리나라 고전소설사, 김춘택, 한길사.
한국 고전소설 해제집 下, 고전문학실 편저, 보고사.
시집살이 노래 연구, 서영숙, 도서출판 박이정.
네이버 전문지식.
*목차
들어가면서
1. < 해학 풍자 비꼼> - <민요>
<해학>
①방귀타령
②시집살이 노래
<풍자>
①사리화(沙里花)
②묵책요
③조선 시대의 정치요
2.<풍자 해학 비꼼> - <소설>
① 요로원야화기 - 박두세
3. <저항 비판> - <민요>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9.26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13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