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국가 구조와 부체제 논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부체제설
3. 중앙집권설
4.『삼국사기』초기기록에 관한 논쟁
5. 맺음말

본문내용

. 앞서 소개한 부체제설이나 성읍국가-연맹왕국설 등은 모두 수정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5. 맺음말
해방 이래 한국사 분야에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고대사 분야에 있어서도 신라를 중심으로 한 정치사부분에 있어서 많은 연구 성과가 있었으며 70~80년대 이후에는 고대국가의 정치체제나 고대국가구조에 관한 문제를 놓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 과정에서 드러난 의견 차이는 상당히 크지만 이는 사료의 부족과 사료에 관한 해석 기준, 특히 『삼국사기』초기기록에 대한 신뢰성 문제에 기인한 바가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료에 관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는 열린 자세를 통해 적극적인 연구방법을 모색하는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되 철저한 사료비판과 합리적인 해석이 결여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고고학이나 인류학 등 인접학문의 연구 성과를 수용하여 견해차를 좁히는 것도 또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최근 풍납토성의 발굴로 기존 백제 기원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실로 고무적인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모든 가능성에 대한 개방성과 합리적인 학문추구를 바탕으로 할 때 『삼국사기』초기기록 취신 문제와 그 궁극적인 목표인 고대사회의 복원에 한 단계씩 접근하여 초기국가의 구조를 파악하는 문제에 일말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참고자료
① 사료
『三國史記』
『三國志』魏書 東夷傳
② 단행본 및 논문
노중국, 『백제정치사연구』, 일조각, 1988
노태돈, 「삼국시대의 ‘부’에 관한 연구-성립과 구조를 중심으로-」『한국사론』2, 서울대 국사학과, 1975
노태돈,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한국고대사론』(한길역사강좌 12), 한길사, 1988
노태돈, 『한국사를 통해 본 우리와 세계에 대한 인식』, 풀빛, 1998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노태돈, 「초기 고대국가의 국가구조와 정치운영-부체제론을 중심으로-」『한국고대사연구』17, 서경문화사, 2000
여호규, 「고구려 초기 나부통치체제의 성립과 운영」『한국사론』27, 서울대 국사학과, 1992
이기백, 『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74
이종욱, 「신라 ‘부체제설’에 대한 비판-하나의 새로운 신라사체계를 위하여-」『한국사연구』101, 1998
이종욱, 「한국 고대의 부와 그 성격-소위 부체제설 비판을 중심으로-」『한국고대사연구』17, 서경문화사, 2000.
이현혜, 『삼한사회형성과정연구』, 일조각, 1984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 한나래, 2004
전덕재, 『신라육부체제연구』, 일조각, 1996
③ 보고서, 사전 및 도록
국립문화재연구소, 『풍납토성』1, 동 연구소, 2001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사전』, 동 연구소, 2001
국립문화재연구소, 『풍납토성』2, 동 연구소, 2002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도록, 『고고유물로 본 한국고대국가의 형성』, 동 박물관, 1998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도록, 『백제』, 동 박물관, 1999
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역주 한국고대금석문』2, 동 연구소, 1992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5.19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6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