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의 회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 전기의 회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대적 배경
1) 조선 초기
2) 조선 중기

2. 내용 정리
1) 조선초기
*안견파 화풍
*강희안의 화풍
*이상좌의 화풍
*이장손, 최숙창, 서문보의 화풍
*이암, 신사임당의 화풍
2) 조선 중기
*안견파 화풍의 계승
*절파계 화풍의 풍미
*남종 문인화풍의 수용
*인물화의 발달
*영모, 화조화의 발달
*묵죽, 묵매, 묵포도의 유행
3) 느낀점

본문내용

대의 화조화는 농채의 화조화도 제작되었지만 그보다는 주로 채색을 쓰지 않고 수묵으로만 그리는 일종의 수묵사의화조화가 보다 폭넓게 유행하였다. 이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인물이 조속과 조지운 부자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작품들도 역시 서정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그러나 때로는 머리를 깊이 파묻고 고민에 빠진 듯 깊은잠에 빠진 숙조들을 그리고 있어서 어두웠던 중기의 시대상을 은유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느낌을 자아내기도 한다.
⑥ 묵죽묵매묵포도의 유행
조선 중기의 회화와 관련하여 또한 주목되는 것은 이 시대에 묵죽, 묵매, 묵포도 등이 활발하게 제작되었고 또 독특한 양식을 형성하였다는 점이다. 대나무를 전문으로 그린 탄은 이정, 매화를 즐겨 그린 운곡 어몽룡, 포도를 잘 그린 영곡 황집중과 휴휴당 이계호 등은 이 분야의 미술을 발전시킨 대표적 인물들이다.
이정의 묵죽은 조선 초기 묵죽화의 영향을 받아서 가는 줄기와 길고 날카로운 잎을 그리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명대 하중소나 주단 등의 화풍도 수용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예리하고 힘찬 마무리가 눈에 뙤며 바위의 묘사에는 절파풍도 엿보이고 있어 조선 초기 묵죽화와의 차이를 더욱 두르러지게 해준다. 이러한 그의 화풍은 후대의 묵죽화가들에게 많은 참고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어몽룡의 묵매화도 기본적으로는 대나무 그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선 초기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어몽룡의 묵매는 홍매보다는 백매를, 그리고 채샙고다는 수묵만을 고집한 것이 주목된다. 요란한 색채보다는 품위있는 담색이나 백색을 존중했던 우리 민족 고유의 미의식이 백자의 경우에서처럼 구현된 것으로 풀이된다.
3) 느낀점
지금까지 조선 전기(초기, 중기)의 회화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우리나라의 회화, 더 넓게 보면 우리나라의 미술들에 대해 생각해 보고 감상 할 수 있었다.
비록 조선 전기의 회화라 그런지 내가 알고 있는 그림들은 그리 많지 않았지만 처음 보는 그림들을 바라보며 그림들에 모두 특징들이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회화에서는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인 회화 양식들을 그저 그대로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영향을 선별적으로 사려 깊게 수용하여 새롭게 창조하고 발전시켜나가는 모습들이 나타났다. 또 산수, 인물, 영모, 화훼 등 모든 분야에서 한국적 미의식을 나타내기 위해 노력하는 화가들의 모습도 볼 수 있었다.
특히 인물화에서, 현대의 우리 회화는 배울 것이 많다고 본다. 현대 우리나라 수묵화단의 인물화를 보면 일본 인물화의 영향을 받아서 태세나 강약, 비수 그리고 농담의 변화가 거의 없는 그저 밋밋한 선들로 의습선들이 묘사되어 있어서 기가 들어가 있지 않은 무표정한 얼굴 모습과 더불어 마네킹을 보는 듯한 느낌을 자아낸다. 이와는 달리 조선 중기를 비롯한 조선시대의 인물화들은 생명이 충만한 세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우수한 전통회화를 깊이 연구하여 현대의 창작에 활용하고 또한 후진들의 교육에 반영해야 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6.08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2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