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상사] 인간본성을 통해 예를 강조한 순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사상사] 인간본성을 통해 예를 강조한 순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1. 순자의 생애

2. 순자가 살던 시대의 전후 상황

3. 순자의 사상이 가지는 의미

4. 『순자』에 대해. . .

5. 중국사상에서의 순자사상의 위치

Ⅱ.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善說)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해서 비난한 데 있지 않은가 하는 견해가 왕왕 있었다. 이는 중요한 이유이기는 하지만 이유의 전부는 아니다. 순자의 제자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두 사람은 법가(法家)였다. 그중 한 사람은 진(秦)나라 정부를 고취(鼓吹)한 철학의 많은 부분을 제시한 사람이고, 다른 한 제자는 진(秦)의 고급관리로서 서기전 221년 진으로 하여금 중국 전역에 전체주의적 전제정치를 펴도록 도왔던 사람이다. 순자가 유가자류(儒家者流) 가운데에서 비교적 낮게 평가되었던 것은 위의 사실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것이 순자가 유교에 끼친 진정한 해독은 아니다. 공자(孔子) 자신은 기꺼이 인류 일반의 지성과 창의에 무엇인가를 맡기려 했는데 순자는 이러한 신뢰에서(유교사상 최초는 아니지만 아마도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채) 벗어났다는 데에 그의 해독이 있다. 공자는 "사람이 능히 道를 넓힐 수 있는 것이요, 道가 사람을 넓힐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순자는 사람들을 스스로 생각하도록 신임하지 않았다. 그는 각 세대가 스승이 설명해 놓은 고전을 맹목적으로 따를 것을 강요함으로써 도덕을 굳건한 초석 위에 두려고 했다. 인간을 믿지 않음으로 해서, 또 어떠한 위험도지지 않으려 함으로 해서, 순자는 유교의 입장에서 볼 때 많은 것을 잃었다. "아무것도 무릅쓰지 않으면 아무것도 얻지 못한다(Nothing ventured, nothing gained)."는 것은 사업에 있어서처럼 철학에 있어서도 사실이다. 순자 및 그와 생각을 같이한 다른 철학자들은 유교를 무익한 요소가 많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유교를 권위주의적 체계로 만듦으로 해서 그들 역시 유교를, 자신의 권위를 타인에게 인정케 하는데 성공한 사람들에 의해 오도(誤導)될 위험에 직면케 하였다.
) H.G. 크릴 저, 《중국사상의이해》, (도서출판 경문사,1981), pp167∼168
Ⅱ. 맺음말
순자의 사상은 그 이전의 유가를 중심으로 하였지만 여러 다른 점을 많이 내포하고 있다. 순자와 동시대를 살았던 유가의 대표사상가 맹자와도 같은 시대를 살았나. . . 하고 의심이 들 만큼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면을 많이 수용하였다. 학문의 맥을 같이 한 만큼 근본적인 면에서는 같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天의 개념을 이전과는 다른 제어하고, 이용해야 할 대상·자연에 대한 주체적 인간이라든지 인간본성이라 할 수 있는 욕망의 충족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 인간본성과 인위의 개념 등은 순자의 주체적이고 이전과는 다른 그 만의 사상적 혁신을 볼 수 있는 중요한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사상적 자유로움속에서 생활했던 순자였지만 법가 사상의 통제적이고 규제·규범적인 체계는 그의 정치사상에 큰 영향을 줌으로써 뒤이어 도래한 통일국가 진의 사상적 선구자로 불리는 한비자(韓非子)와 이사(李斯) 등을 배출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면을 본다면 고대사상의 종합적인 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 순자의 사상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제자백가의 여러 사상들을 비판도 하면서 종국에는 진의 법가사상으로 이어지는 흐름에서 한 혼란의 시대를 마감하게 되는 마침표를 순자의 사상에서 찍게 되는 듯한 느낌을 받아서일지 모르겠다. 순자의 성악설 등 그가 주장한 전체적인 사상에서 느낀 것은 순자가 그 당시 자신이 느꼈던 감정·생각들을 배경으로 그와 같은 사상을 주장하지 않았을까 하는 것이다. 사람이란 아무래도 자신이 생활하는 환경을 바탕으로 하여 사고를 형성하는 경향이 크다고 볼 수 있으니 말이다. 오늘날 순자는 공자·맹자와 함께 유가의 맥락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앞 사상가들 만큼 빛을 보지 못하는 것 같아 아쉬운 면이 크다. 인간의 주체성과 현실적 ·능동적인 면을 밝히려 했던 순자의 모습은 오늘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1. H.G. Creel 저, 이동인 외 역, 『中國思想의 理解』, (도서출판 경문사,1981).
2. 貝塚茂樹 저, 김석근 역, 『中國古代의 사상가들 弟子百家』, (도서출판 까치,1989).
3. 풍우란 저, 정인재 역, 『중국철학사』, (형설출판사,1989).
4. 사게자와 도시로 저, 이혜경 역, 『역사속에 살아있는 중국사상』, (예문서원,2003).
5. 김곡치 저, 조성을 역, 『중국사상사』, (이론과실천,1986).
6. 사마천 저, 김원중 역, 『사기열전』-상-, (을유문화사,1999).
7. 배종호·김학주·안병주 역, 『세계의 사상 ④ 韓非子/墨子/荀子』, (삼성출판사,1990).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7.04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9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