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에 존재하는 고대의 성곽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한에 존재하는 고대의 성곽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해자 구실을 했다. 성안에는 암문, 수구, 연못, 건물터, 목곽 창고터 등 많은 문화재가 발견되었 고, 넓은 터는 왕이 살았던 궁궐로 보고 있다. 또한 이곳은 백제 멸망 이후 의자왕이 가 족과 신하들을 데리고 잠시 피신한 적이 있으며, 조선시대 인조가 이괄의 난(1624)을 피 해 머물렀던 쌍수정과 사적비도 남아있다.
architect-war 4
1. 파일명: 삼년산성.jpg
2. 제목: 삼년산성
3. 연대: 기원후 470년 경
4. 출처: 글 차용걸, 최진연, 그림 최진연, <<한국의 성곽>> (서울: 눈빛, 2002), p. 98.
5. 소장처: ??
6. 실물크기: 둘레 1.7km, 높이 13-20m, 폭 5-8m
7. 설명: 충북 옥천의 오정산 정상에 있는 산성이다. 신라 자비왕 13년(470) 삼 년 만에 축성했다고 해 삼년산성으로 이름이 붙여진 이 산성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때 전초기지였을 뿐만 아니라 고건축학적 가치도 매우 높은 산성이다. 이 성은 적의 공격에 대비해 성의 기초바닥을 산정상 바깥에 잡아 자연지형을 최대한 이용하면서 산 위에 또 하나의 산을 만들어 놓았다. 또한 대부분 산성은 자연석 또는 다듬은 무사석을 이용해 밖에만 성벽을 쌓는데 비해 삼년산성은 안쪽도 구들장처럼 납작한 판돌을 우물정(井)자로 엇물려 쌓았다. 그리고 기초를 4중 계단석으로 튀어나오게 하여 힘을 받도록 하였고, 군데군데 성벽을 반달 모양의 옹성으로 일곱 군데나 만들었다. 이것은 성벽에 바짝 붙은 적을 공격하기 위한 치와 같은 역할을 하는 동시에 길게 뻗은 성벽을 보강하는 구실도 했다.
architect-war 5
1. 파일명: 파사산성.jpg
2. 제목: 파사산성
3. 연대: 기원후 80-112년 경
4. 출처: 글 차용걸, 최진연, 그림 최진연, <<한국의 성곽>> (서울: 눈빛, 2002), p. 50.
5. 소장처: ??
6. 실물크기: 둘레 2km, 높이 4-6m
7. 설명: 파사산성은 지형적으로 군사요충지이며 교통의 요지이다. 서울에서 경상도로 가는 죽령, 조령길이 연결되는 곳이며, 서울로 들어오는 소로와 수로가 통하던 길목이기도 하다. 처음 축성은 신라 5대 파사이사금의 시기로 추측해 이름도 파사성으로 부르고 있다. 안에서 신라시대의 토기와 유물이 출토되기도 한다. 또한 삼국을 통일한 신라군과 당군의 격전장이었던 매초성이 이곳이라고 하는 주장도 있다.
architect-war 6
1. 파일명: 아차산성.jpg
2. 제목: 아차산성
3. 연대: 기원후 286년 경
4. 출처: 글 차용걸, 최진연, 그림 최진연, <<한국의 성곽>> (서울: 눈빛, 2002), p. 41.
5. 소장처: ??
6. 실물크기: ??
7. 설명: <<삼국사기>>에 아차성은 백제 책계왕 때 쌓았다는 기록이 나온다. 고구려 광개토대왕비에는 아차산성이 396년 고구려가 백제로부터 빼앗은 58성 중 하나로 나타난다. 아차산성 정상에서는 고구려 유물 1천여점이 발굴되었으며 대형건물터와 간이 대장간 터, 사용자의 신분이나 토기제작터 등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글자를 새긴 토기와 화살촉, 말장식품 등이 발견되었다.
architect-war 7
1. 파일명: 성흥산성 .jpg
2. 제목: 성흥산성
3. 연대: 기원후 501년 경
4. 출처: 글 차용걸, 최진연, 그림 최진연, <<한국의 성곽>> (서울: 눈빛, 2002), p. 94.
5. 소장처: ??
6. 실물크기: 둘레 800m, 높이 3-4m
7. 설명: 충남 부여의 성흥산에 위치해 있는 성흥산성은 백제 수도였던 웅진성과 사비성 수호를 위해 바깥은 돌로 쌓고, 안쪽은 흙으로 쌓아 내탁방법으로 축성한 퇴뫼식 산성이다. 이 성을 쌓은 동성왕은 이 산성을 지키던 위사좌평 백가에게 시해되었다. 백제가 멸망한 이후 군사들과 유민들이 백제부흥운동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architect-war 8
1. 파일명: 부소산성.jpg
2. 제목: 부소산성
3. 연대: 기원후 538년 경
4. 출처: 글 차용걸, 최진연, 그림 최진연, <<한국의 성곽>> (서울: 눈빛, 2002), p. 89.
5. 소장처: ??
6. 실물크기: 둘레 22km
7. 설명: 백제 성왕이 도읍을 웅진에서 사비성으로 옮긴 후 백제 왕국의 기틀을 닦은 곳이다. 부소산 정상을 중심으로 퇴뫼식 산성을 축조하고, 다시 포곡식 산성을 축조한 복합식 산성이다. 성내에는 동서남문지가 있으며, 남문지에는 아직도 문추로 사용하였던 초석 2개가 동서로 나란히 있다. 성내에 군창고터와 건물터가 있어 유사시에는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평상시에는 백마강과 부소산의 아름다운 경관을 왕과 귀족들이 즐기는 비원으로 이용했던 곳이다.
architect-war 9
1. 파일명: 몽촌토성.jpg
2. 제목: 몽촌토성
3. 연대: 기원후 3세기-5세기 말
4. 출처: 글 차용걸, 최진연, 그림 최진연, <<한국의 성곽>> (서울: 눈빛, 2002), p. 39.
5. 소장처: ??
6. 실물크기: 둘레 2.3km
7. 설명: 북쪽으로 한강과 남으로는 남한산성을 사이에 둔 야트막한 산을 끼고 있는 흙으로 쌓은 성곽이다. 백제고도문화유적 복원계획에 따라 토성을 보수하고 성안의 유적들을 복원하였다. 이 지역을 중심으로 수많은 백제고분과 고성이 분포하고 있어 북쪽으로부터 침략에 대비한 방어용 성곽의 성격을 띠고 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백제시대 움집터 3동, 돌무덤 4기, 토광묘 2기, 저장구덩이 13개 등이 있다.
architect-war 10
1. 파일명: 설봉산성.jpg
2. 제목: 설봉산성
3. 연대: 기원후 475년 경
4. 출처: 글 차용걸, 최진연, 그림 최진연, <<한국의 성곽>> (서울: 눈빛, 2002), p. 51.
5. 소장처: ??
6. 실물크기: 둘레 1.3km
7. 설명: 고구려가 백제, 신라와의 치열한 영토전쟁을 치르며 곡창지대인 이천지역을 차지한 장수왕 때 처음 축성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장군의 지휘소로 보이는 장수대와 우물터 2곳, 수구문, 깃발을 꽂았던 바위와 투석전에 사용된 돌무더기 등과 주춧돌, 기와, 토기 등 상당수의 삼국시대 유물이 출토되었다.y

키워드

남한,   고대,   성곽,   이미지,   고대 성곽,   성벽,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8.24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06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