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다도문화의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 다도문화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다도의 정의

본론
1 다도와 선종
2 일본 다도문화사
3 다도의 완성 쥬코우와 센노리큐의 등장
4 다도속에 나타난 일본인의 미의식 -와비사상

결론

본문내용

りけり浦のとまやの秋の夕ぐれ (『新古今和歌集』)
그는 차노유를 귀족적인 '서원풍(書院風)'과 그와 대비되는 '와비차'로 나누어 생각했다. '꽃이나 단풍'은 호화롭고 사치스러운 서원풍의 다회(茶會)로 비유하고, 반면에 화려한 것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무일물(無一物)의 차'가 와비차라는 것이다. 쥬코우가 화려함과 소박함이 대비되는 미의식으로 와비를 인식했던것과는 달리 센리큐는 자연 그대로의 인위성을 배재하고 소박한 아름다움을 받아들여 와비를 완성했다 말 할 수 있다.
) 南方宗啓, 朴銓烈 譯『南方錄』33p
꽃이 피기만을 기다리는 이에게
산마을의 봄눈 녹은 틈 사이에 피어난 새싹을 보여 드리고 싶구나
花をのみ待らん人に山里の雪間の草の春をみせばや
산 마을이 눈으로 덮여있는 상태는 곧 무일물의 세계를 말한다. 봄이 되어 자연스레 돋아나는 새싹은 인위적인 것이 아니라 스스로 우러나오는 봄의 아름다움인 것이다. 자연 그대로의 모습 가운데서 우러나오는 자연스러운 정신이 무일물의 미이며 와비 정신의 바탕이 된다.
Ⅲ 결론
일본의 다도에는 일기일회(一期一會)라는 말이 있다. 이는 불교의 무상관에서 비롯된 말이다. 불교에서 무상은, 미래와 과거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시시각각 소멸하고 변화하는 눈 앞의 현상만이 존재할 뿐이다. 즉 다회에서의 만남은 일생에 단 한번밖에 없는 공간이요 시간이므로 그 의미를 소중히 여기고, 주인과 손님 모두가 진지하게 다회에 임하여 정성을 다하고자 하는 각오를 뜻하고 있다 하겠다. 손님을 정성껏 대접하기 위한 마음으로 차를 내고 그 주인에게 예를 다하는 그런 모습은 궁극적으로 쥬코우나 센리큐가 추구한 와비의 정신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다도란 결국, 인간과 인간 사이에 좀더 깊은 소통을 위한 매개체이며 전통과 현대의 교차점이기도 한 것이다.
참고자료
久保田淳 編「古典文學史必携」學燈社,1992
成川武夫『千利休 茶の美學』, 玉川大學出版部, 1988
南方宗啓, 朴銓烈 譯『南方錄』
http://www.well-up.com/sadou/index2.html
http://sano.vis.ne.jp/
http://www.city.sakai.osaka.jp/arekore/person/person1.html
http://www.nsknet.or.jp/yosie/wabitya.htm
http://www.netz.co.jp/kenbun/tokusyuu/cha/
http://www.teahyakka.com/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9.27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8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