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국시대의 문학―통일신라와 발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국시대의 문학―통일신라와 발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남북국시대의 문학
―통일신라와 발해

<목 차>

Ⅰ. 서론

Ⅱ. 남북국시대의 문학
1. 통일신라의 문학
(1) 한문학의 대두
(2) 향가에서 설화까지
(3) 희곡
2. 발해의 문학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며, 발해의 문학 역시도 하나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발해인과 신라인은 당나라 빈공과에도 비슷한 비율로 합격했다고 하며, 그로 인해 남북국 사이의 경쟁 역시도 심했다. 이러한 발해의 문인들은 높은 한문학의 수준을 갖고 있었다고 추정되며, 한문학 말고도 한자를 빌려 기록하는 방식을 채택했을 것이다. 남아 있는 것이 얼마 되지 않기 때문에 정확히 어느 수준까지 도달했는지는 알 수 없으며, 그 때문에 현재 있는 자료만으로 그 수준을 가늠해 보아야 한다. 그리고 그 자료가 되는 것이 바로 정효공주와 정혜공주의 비문이다.
두 비문은 서로 비교되면서 보완되었는데, 두 비문 모두 전형적인 변려체 문장으로, 서序와 명銘의 일정한 격식을 갖는다. 서문에는 공주 일생의 행장을, 명문에는 공주를 칭송하고 애도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 두 글의 예술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4자, 6자의 구절 반복이 교대로 나타나 변려문의 형식을 드러내고 있으며, 구절과 글귀도 다양하고, 고전을 적절하게 인용하고, 글의 표현이 화려하다는 평을 받고 있는 것이다. 고전을 적절하게 인용하여 적고 있다는 점에서, 쓴 사람이 얼마나 고전을 얼마나 연구하여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모습에서 발해의 문학이 어느 경지까지 이르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비록 비문에 마모된 글자가 많아 온전한 모습을 갖추고 있지 못한다 하더라도, 그 내용이 풍부하고 예술성이 높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Ⅲ. 결론
통일신라는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의 문학을 이어 한국 문학의 기본 틀을 만들었다. 한국 문학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한문학을 전개시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발전할 수 있도록 디딤돌이 되었으며, 향가를 통해 시가 문학을, 그리고 이야기 문학까지 발전시킬 수 있는 기본이 되었다. 또한 발해 역시 문학의 수준이 결코 낮지 않았음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남아 있다. 이러한 통일신라와 발해의 문학을, 이 글에서는 신라 3대 문장가인 강수, 설총, 최치원의 문학으로 설명하고, 향가가 어떻게 발전되었으며, 그 향가에서 이야기 문학이 발전하고, 희곡의 경우, 그리고 정효공주와 정혜공주의 비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물론 이것만이 남북국시대의 문학이라고는 할 수 없다. 남북국시대의 문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불교와 관련된 문학의 발전이고, 이 글에서는 그러한 모습을 단순히 향가에만 적용시켰기 때문이다. 비록 다루지 못했다 하더라도, 원효, 의상, 혜초 등이 이룩한 위업 역시 남북국시대 문학의 한 틀로 자리 잡고 있다.
이렇게 남북국시대의 문학은 삼국시대의 문학을 통합하여 고려시대의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남북국시대에 전개되기 시작한 한문학은 고려시대에 더욱 발전하게 되며, 향가는 비록 고려시대로 넘어가면서 쇠퇴하게 되었지만 그 잔영만은 남아 정과정곡鄭瓜亭曲을 탄생시키기에 이른다. 또한 향찰을 통한 향가의 기록은 중국으로부터 문화를 받아들이면서도 그 문화에 예속되지 않고 우리의 고유문화를 확립시키려 한, 국문학의 주체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렇듯 남북국시대의 문학은 이전 시대의 문학적 성과를 이어받고, 이후 시대에 영향을 끼치면서 우리 문학사에 있어 중요한 구실을 한 것이다.
<참고문헌>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문학분과, 「남북국시대 지식인과 고뇌의 문학―고운 최치원」, 『한국고전문학작가론』, 소명, 1998.
방학봉, 『발해문화연구』, 이론과 실천, 1991.
이병주, 『한문학사』, 새문사, 1998.
이우성, 「남북국시대와 최치원」, 『창작과 비평』, 1975년 12월호.
이해랑, 『한국문학사』, 대한민국예술원, 198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2001.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1.0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0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