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집권기 문인의 활동 양상과 문학사적 의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신집권기 문인의 활동 양상과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무신집권기 문인의 활동 양상과 문학사적 의의
-무신집권기 문학 담당층의 양상과 경기체가, 비평문학을 중심으로-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무신집권기 문학 담당층의 유형과 특징
2. 경기체가의 태동 -<한림별곡>을 중심으로-
3. 비평 문학의 성장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주제로 삼으려는 새로운 창작 기풍이 형성 발전되어 갔다. 이는 곧 고려 후기의 문학담당층이 귀족 관료계층에서 문학창작을 전문으로 하는 문인들로 대체되어 갔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문 문인들이 등장하게 되자 한문학 장르의 수용양상도 새로운 변화를 보이게 되었다.
둘째, 경기체가의 경우, 당시 문인들이 놀면서 즐기려고 지은 노래로서 문학적 가치가 낮긴 하지만, <한림별곡>을 시작으로 안축의 <관동별곡>, <죽계별곡>을 통해 개인 창작의 선례를 낳았고, 조선 초기의 악장으로 대거 창작되면서 서서의 하나의 갈래로 확대, 정착되었다. 또한 <한림별곡>을 통해 최씨정권 당시의 문인의 문학적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고에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나, <관동별곡>, <죽계별곡>에서도 신진사대부 계층의 집단적 의식을 확인할 수 있는 박경주,「고려후기 문학 담당층의 전개양상과 경기체가」, 국제어문학회, 2002, p.23.
등 시대에 따른 문학 담당층의 활동 모습을 경기체가 작품이 잘 나타내주고 있다.
셋째, 비평문학의 경우, 당시 사회의 혼란과 문신 숙청에 따른 일시적 문학 위축현상이 나타나던 가운데, 문학의 위기의식으로부터 해방되고자 하는 욕구와 바람직한 문학을 옹호, 고수하고 발전시키려는 충동에서 이인로, 이규보의 시화를 시작으로 최자에게서 완성되었으며, 본고에서는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최해 이제현으로 이어져, 후에 조선으로까지 이어지는 비평문학 장르에 발판을 마련하였다.
본고를 통해 무신집권기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특정 몇몇 문인(이인로, 이규보, 최자, 이제현, 죽림고회 등)들에게만 한정되어 연구되어 왔던 기존의 연구 성과로 인한 다양한 자료 수집의 어려움과 당시의 존재했던 모든 장르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지 못한 점과 본고에서 언급했던 문인들 외에 많은 문학적 유산을 남긴 승려 계층의 특징에 대한 고찰 부재 등 부족함이 많은 논의이었다. 차후 이러한 결점이 보완되길 기대한다.
<참고문헌>
김태준, 『朝鮮漢文學史』,보고사, 1993
박경주,「고려후기 문학 담당층의 전개양상과 경기체가」, 국제어문학회, 2002.
박성규, 고려조 한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국어국문학 40년』국어국문학회편, 1992.
박수천, 「고려조 중후기의 한문학 시평양상」,『한국한시 연구9』,2001.
심호택,「고려중기 문학담당층의 역사적 성격」,『한국학논집』,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85.
이가원, 『朝鮮文學史』, 태학사,1995
이동탄, 「고려죽림고회연구」,『국문학 학위 논문집:고전문학한문학.7』,고려대학교, 1990.
이우성,「고려중기의 민족서사시」,『성균관대학교 논문집』,성균관대학교, 1962.
임기중,인권한, 『韓國文學槪論』, 한국문학개론편찬위원회 편, 해진서관, 1995.
장숙경, 「고려 무인 집권기의 문사에 관한 일고찰」,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1981.
조동일,『한국문학통사』3판, 지식산업사, 1994.
조동일, 『한국문학 이해의 길잡이』, 집문당, 1996.
차용주, 『韓國漢文學史』, 경인문화사, 1995.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1.0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0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