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진건 단편 소설 속의 여성인물 유형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여성 인물 유형의 분류
1)현실 안주형
2)가해자형
3)목적 지향형
4)전근대성향의 신여성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인해서 순결을 잃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지박약에서 온 결과임에도 '목숨보다 더한 순결' 또는 '남성에게 짓밟힌'이라는 표현을 하고 있는 것 또한 작가의 짖궂은 의도로 보이는 대목이다.
'정숙'을 통해 작가는 신여성의 무절제로 인한 책임전가의 행위를 비판하고 있다. 그리고 그녀의 의식이 완고한 전통적 가치관에 얽매여 있을 때 자신의 행동과 이성적 의식구조 사이에서 일어나는 분열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의식은 전통적 가치관에 머물러 있으면서도 외부적으로만 신 문물을 수용했을 때 일어나는 분열로써 신여성의 허위적인 모습의 한계를 보여준다.
Ⅲ. 결론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현진건 단편 소설 속에 나타난 여성성의 유형들을 분류해 보았다.
우선 현진건 단편 소설에 나타난 여성상을 현실 안주형, 가해자형, 그리고 '목적 지향형'과 '전근대성을 띤 신여성'으로 분류해 보았다. '현실 안주형'으로는 「빈처」의 '아내'와, 「타락자」의 '아내', 그리고 「술 권하는 사회」의'아내'를 들었다. 여기에서의 '아내'는 모두 전통적인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리고 지식인 남편을 둔 구식여성으로써 남편에 대한 헌신적인 내조를 아끼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아내'를 둔 '나'는 가끔씩 회의를 품기도 하지만 궁국적으로는 그들에게서 위안과 사랑 그리고 조언을 얻기도 한다. 이를 통해서 본 '아내'의 모습은 전통적인 미덕을 지닌 긍정적인 인물로 평가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여기에 나오는 '아내'는 사회적 편견이나 독립을 주장하는 '아내'는 전혀 없다는 것이다. 모두 작가의 견해에 치중되어 있고 그저 '아내'로써 등장하고 있을 뿐이다.
둘째, '가해자형'으로는 「타락자」의 기생 '춘심'과, 「그립운 흘긴 눈」의 기생 '채선', 그리고 「발」의 여관집 '딸'을 들어 보았다. 기생들은 남성에게 성을 제공하고 물질을 보상받는, 부패된 사회의 속물적 인물로서 부정적인 여성상으로 보고있다. 그리고 그녀들은 그 시대 남성의 사회적 위안 장치로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그녀들을 '가해자형'으로 분류한 것은 고의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더라도 소설의 흐름 속에서 어쩔 수 없이 파탄으로 이끌고 가는 역할에 주목하였다. 우선 그녀들의 위치 자체가 가정에 주는 가해성과 또 그녀들 스스로 직업적인 적극성을 띈 점들이다.
개인적인 견해일지 모르나, 이는 현진건이 실제 체험한 바 있는 기생 '춘심'과의 관계 속에서 설정되어진 여성관이 아닌가싶다. 이들 단편의 주된 시기가 1920년대인 것을 보면 현진건은 '기생'들을 형상화해서 그 시대와 지식인들의 보편적인 안일함을 보여주려는 의도로도 보인다. 1920년대가 '여성의식의 발현기'
문태경,"현진건 단편 소설의 여성 인물 연구",한국 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1997,68면.
였다는 것으로 볼 때, 「정조와 약가」의 '아내'와 「불」의 '순이'는 그들의 목적을 의식적인 계산 없이 진행한 점으로 미루어 '목적 지향형'으로 분류하였다.
「정조와 약가」에서의 '아내'는 극한 경제 상황에서 자신의 정조를 담보로 죽어 가는 남편의 목숨을 살린다. 그리고 그와 남편은 정조의 개념을 객관적인 시각에서 주관적인 시각으로 돌려놓는 역할을 하였다. 기존 사회에서 윤리적 개인적으로 강조되었던 효(孝)나 여성의 정조가, 인물의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상대적인 개념임을 보여주어, 기존의 가치관에 재인식의 기회를 던져주고 있다. 「불」의 '순이'결혼 상황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는 기존의 여성집단과는 다르다. 구습으로 행해지던 민며느리제도라는 악습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방화로 해결하는 인물이다. 결말에서 '순이'가 해결방안으로 제시한 방화는 단순한 사고와 자아의식이 결여된 미성숙한 인물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아래의 각주 15)의 논문에서 '이것은 재고되어야 한다.'고 했는데, 논자는 '순이'의 나이와 교육의 정도 등을 고려해 볼 때 타당한 결과라고 본다. 마지막으로 '전근대성을 지닌 신여성'의 부류로 「B사감과 러브레터」의 '경숙'과 「희생화」의 '누님', 그리고 「유린」의 '정숙'을 들었다.
「B사감과 러브레터」의 B여사는 근대사회에 속해 있으면서도 전근대성으로 무장한 신여성이다. 겉으로는 무조건 정숙할 것을 외치고 있으나, 내면에서는 위선 된 모습을 지닌 한계를 가진 인물로 풍자되고 있다.
'B여사'가 위선 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전근대적으로 보이는 반면, 일관된 전통에의 순종으로 죽어 가는 「희생화」의 '누님'이 있다. 근대교육을 받은 우수한 신여성이면서도 보건의 질서 앞에서 어이없이 무너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끝으로 「유린」의 '정숙'또한 근대교육을 받은 신여성으로서, 자신의 무절제함으로 인한 순결의 부재를 남성의 탓으로 돌리는 억지를 보여주고 있어, 모습만 신여성임을 말하고 있다. 이상의 여성상 분류를 통해서, '근대사회로의 이행기'라는 변화기에 처한 지식인으로서 현진건의 눈에 비친 여성들을 살펴보았다. 전통적인 질서를 긍정하면서도 신 문물을 수용하려는 작가의 현실인식을 볼 수 있었다.
참 고 문 헌
기 본 자 료
고향, 일신 서적 출판사,1993.
동서 한국 문학전집 4, 동서문화사, 1987.
1. 국 내 문 헌
김영화, 한국 현대 소설의 구조, 태광문화사,1977.
이재선, <한국 현대 소설사>, (홍선사, 1979).
백철, <조선 신학 조사> (수선사,1967).
송하문,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작중 인물 연구", (고대, 1980), 197쪽.
방인근, "빙허 회고기", 현대문학, 12월호, 1962.
윤흥로, <한국 근대 소설 연구>, (일조각, 1984, 36쪽).
박혜숙, "현진건 소설에 나타난 여인상", 1993,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문태경, "현진건 단편소설의 여성인물 연구",1997,한국외국어대학원 석사학위.
"한국 여성사 정립을 위한 여성인물 유형 연구Ⅲ." 이대 한국 여성 연구소, 여성학 논집 제8집, 1992.
윤병로, "현진건 문학과 사실주의", 현진건 연구, (서울: 새문사, 1991,) 35면.
2.국 외 문 헌
, (Penguin Books, 1997.), People장 참조.
  • 가격2,8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01.06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