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음악미학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7세기 음악미학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음악미학의 개념

2. 철학의 한 분야로서의 음악미학

3. 17C 시대적 상황

4.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① 몬테베르디의 생애
② 몬테베르디의 업적
③ “정서설”에서의 몬테 베르디
④ 몬테베르디의 작품
-마드리갈(세속음악) / 무대음악 / 오르페오 /
아리아나 / 종교음악

5. 데카르트
① 데카르트의 생애
② 데카르트의 철학
③ “감정미학”에서의 데카르트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터 1649년 까지 그는 네덜란드에서 조용히 학문을 연구했는데 대부분의 철학 저서는 이 때 쓰여 진 것이다. 1649년 말에 그는 크리스티나 여왕으로부터 스웨덴을 방문해 달라는 초청을 받았는데 거기서 큰 병에 걸려 1650년 2월에 세상을 떴다.
② 데카르트의 철학
데카르트는 세계가 물질과 정신이라는 두 개의 기본 실체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한 이원론자이다. 물질은 물리적 세계이며, 우리의 신체도 그 일부분이다. 정신은 인간 정신이며 신체와 상호작용을 하지만, 원리로 보면 신체 없이도 존재할 수 있다.
데카르트는 기하학에서 빌려온 단순한 개념들과 운동법칙을 통해서 물질이 파악될 수 있다고 믿었다. 데카르트에 따르면 세계의 법칙과 수학의 진리까지 포함한 전체 세계는 신에 의해서 창조되었으며, 모든 것이 신의 힘에 의존한다. 데카르트는 신이 생각을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물질적 존재가 아니라는 점에서도 정신과 비슷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신은 정신과 달리 무한하며 자신이 존재하기 위해 다른 창조주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제1철학에 관한 성찰>에서 데타르트는 아무것도 확신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엄격한 추론을 처음으로 생각해냈다. 이를 ‘회의적 논증’이라고 한다. 이 추론에서 데카르트는 자신이 꿈을 꾸고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에 그가 지각하는 모든 것이 실재가 아닐 수 있다고 했다. 또 다른 논증에서 신이나 악마의 정신이 항상 그의 정신을 조롱하며 거짓을 믿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다음 논증에 답을 내놓았다. 비록 자신이 꿈을 꾸고 있거나 언제나 속고 있더라도, 최소한 그가 생각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생각하는 존재로 현존하고 있다는 사실만큼은 확신할 수 있다고 했다. 그리하여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유명한 명재를 남겼다.
그 다음 데카르트는 무한한 능력을 지닌 선한 신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명석하고 판명하게 지각할 수 있다고 논증했다. 이 신은 데카르트가 거짓을 명석한 지각이라고 잘못 생각하도록 하지는 않을 것이다. 신에 대한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데카르트는 물리적 세계가 자신이 물리학 이론에서 가정한 성질에 따라 존재한다는 것을 밝히려고 했다.
③ “감정미학”에서의 데카르트
이 시대의 감정 미학은 데카르트에게서 비롯된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겨우 22세에 쓴 “미학개요, 1618”의 첫 부분에서, 데카르트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음악의 목적은 우리에게 유쾌함을 주고, 다양한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사람은 슬프더라도 즐거운 노래를 꾸며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함에는 놀랄 필요가 없는데, 비가(悲歌)나 비극이 우리에게 슬픔을 야기하면 할수록 우리를 기쁘게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데카르트는 음악의 목적을 ‘쾌’오 정하고 음악의 쾌는 여러 가지 다양한 정서가 야기됨에 따라서 생기는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그런데 정서의 바탕이 되는 음악의 쾌는 근본적으로 정신 중의 정신에 의해서 일어난 유쾌한 감동으로서의 지적인 기쁨이다. 따라서 이 쾌에 대해서는 논증이 가능하고, 그래서 데카르트는 그것을 수에 바탕을 둔 규칙에 의해서 행하였던 것인데, 데카르트의 음악론의 중점도 감정론을 자세히 설명한 것이 아니라, 음악에서 정신에 쾌를 가져다주는 수적 근거를 해명한 것이었다. 데카르트는 음악과 정서와의 관계를 전개시키지는 않았으나, 그의 음악론이나 정서론이 바로크 시대의 <정서설>을 육성하는 기초가 되었다는 것은 의심 할 수가 없다. 그러나 주의하지 않으면 안될 것은, 데카르트는 정서라는 것을 우리와는 상당히 다른 각도로 파악하였다는 점이다. 데카르트가 생각하는 정서라는 것은 신체를 원인으로 삼아 우리가 우리의 정신과 관계 맺는 지각이고, 그것은 정신의 태동으로서 의지와 대립하는 정신의 수동인 것이다. 그리하여 데카르트는 이러한 정서에 자율적인 가치를 인정하지는 않았다. 정서는 정신작용의 하나이기는 하지만, 정신의 근원적인 기능은 아니었다. 오히려 그것은 정신의 착란으로서 억제되어야 할 것이었다.
8. 참고문헌
음악의 사역과 사상 (학문사) - 김진균
음악미학 입문 (삼호 출판사) - 국안양
들으며 배우는 서양음악사 본문1권, 선곡집1권 (심설당) - 김문자 외
음악학 (심설당) - 홍정수 외
서양 음악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 조영주
음악미학 (이론과 실천) - 조영주
21세기 웅진 학습백과 (웅진닷컴) - 2권 종교철학 편
http://www.renaissancemusic.pe.kr/mo.htm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1.06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6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