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의 전개과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 제 1국면(1950년 6월 25일~9월 중순) : 북한 인민군의 공세기

3. 제 2국면(1950년 9월 중순~11월 하순) : 유엔의 공세기

4. 제 3국면(1950년 11월 하순~51년 1월 말) : 북한 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의 공세기

5. 제 4국면(1951년 2월~6월 말) : 전선의 교착기

6. 제 5국면(1951년 7월~53년 7월) : 휴전협상과 소모전기

본문내용

으로 안정된 듯 보였다. 그러나 중국군의 공세를 저지하고 군사적 대치상태를 회복하자 '38선 재돌파', 즉 재북진 문제가 대두되었다. 51년 2월 워싱턴에서는 전쟁 전 상태의 회복이 중요하며, 무력통일은 목적이 아니라면서 38선 재돌파에 반대하였다. 이러한 반대이유는 ① 중.소의 반격의 가능성가 이에대한 미국의 대응능력 부재, ② 전면전으로의 확전 위험, ③ 병력과 자원의 한계, ④ 동맹국의 지지상실 등이다.
그러나 맥아더는 강력하게 반발하며 38선 재돌파를 주장하였다. 맥트루먼 역시 38선은 군사적 문제이며 그 돌파여부는 현지사령관(맥아더)이 결정할 문제라고 밝혔다.
이후 미국은 1951년 5월 17일 NSC48/5를 채택함으로써 휴전정책을 최종적으로 확정지었다.
6. 제 5국면(1951년 7월~53년 7월) : 휴전협상과 소모전기
1) 휴전협상의 쟁점과 전개과정 : 정치와 군사의 이중주
휴전회담은 1951년 7월 10일 개성에서 처음 개최되어 논란을 거듭한 끝에 7월 26일 ①협상 의제의 채택, ② 군사분계선의 설정문제, ③ 휴전 감시 방법 및 그 기구의 구성문제, ④ 전쟁포로에 대한 문제, ⑤ 관련각국 정부에 대한 권고사항 문제를 의제로 합의하였다. 한편 1952년 2월에는 세균전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었다. 공산측은 미국이 북한과 만주 지역에서 세균전을 감행했다고 주장하면서, 국제과학 조사단이 감찰하기도 하였다.
1953년 7월 23일 마침내 휴전협정이 조인되었다. 이로써 전쟁의 포성이 멎은 것이다. 무려 3년 1개월 2일만의 일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전쟁의 진정한 종식, 즉 종전은 아니었다.

키워드

한국전쟁,   6.25,   전쟁,   휴전선,   유엔,   이승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2.03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