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문화적 발전과 교육과의 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사회적·문화적 발전과 교육과의 관계
◎ 사회발전과 교육
1. 사회화의 개념
2. 사회화 기관
3. 사회화 방법
4. 예기적 사회화 · 재사회화 · 탈사회화
5. 교육의 사회적 기능
6. 사회 변화와 교육
7. 사회 계층과 교육
8. 사회 집단과 교육
9. 교육과 사회 발전과의 관계

◎문화발전과 교육
1. 문화의 개념
2. 문화의 특징
3. 문화 기대
4. 문화와 관련된 개념
5. 문화적 재생산 이론(Bourdieu, Bernstein)
6. 문화적 헤게모니 이론(Apple)
7. 문화적 발전과 교육과의 관계

본문내용

문화적이념적 헤게모니의 매개자로 보이지 않는 가운데 사회를 통제한다는 것이다.
⑵ 애플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 특이한 점은 지식의 영역에서 작용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기제를 밝히고자 시도했다.
① 특정 의미와 실천은 학교의 공식적 지식으로 선택되어 강조되고, 다른 의미와 실천 은 무시되거나 배제된다. 예컨대, 전통음악(classic music)은 학교의 공식적인 지식 으로 선택되어 가르쳐지는데 반하여, 대중음악(pop music)은 학교 지식으로 간주되 지 않는다.
② 이처럼 지식의 선택적 전통에 따라 구성된 학교 교육과정을 공부한 결과, 학생들은 종종 정치적인 침묵에 이르게 되고, 현존하는 권력 관계와 합법성을 정당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관점을 수용하게 된다.
⑶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이 갈등의 기본규칙을 학습하는 방식은 갈등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배움에 의해서라기보다는 교과내용에서 지적 및 규범적 갈등이 지니는 가치와 중요성을 나타내주는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배제를 통 해서이다. 즉, 갈등의 긍정적 측면을 교육내용에서 배제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갈등이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도록 한다.
⑷ 여기서 애플의 잠재적 교육과정은 아이스너(E. Eisner)가 언급한 영 교육과정(null curriculum)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된다.
⑸ 지배집단은 겉으로 드러나는 공식적인 지배의 機制(mechanism)를 사용하지 않고도, 문화를 보존 분배하는 학교와 같은 기관을 통하여 사람들의 의식구조에 작용함으로써 사회통제를 지속시켜 갈수 있다. 학교가 상징체계, 즉 지식, 가치, 규범 등의 문화적 자본의 배분과 보존을 통하여 사회통제를 가능하게 한다.
7. 문화적 발전과 교육과의 관계
⑴ 교육이 문화의 전달을 그 본질적 기능으로 한다는 점에서 교육과 문화는 밀접한 관계 를 가진다. 교육은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가치관 등을 가르치는 일이며, 그것은 바로 문화전달의 기능인 것이다.
⑵ 문화가 교육목표와 내용의 자원이 된다는 점이다. 교육의 기능을 문화전달로 규정할 때, 교육의 목표와 내용의 자원일 수밖에 없다.
⑶ 교육의 과정은 문화과정이라는 점이다. 교육의 과정은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학습과정으로서, 한편으로는 그 사회의 문화를 내면화하는 과정이며, 동시에 다른 문화 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문화인류학에서는 두 가지 다른 용어로 이 과정을 설명한다.
① 전자는 문화계승(enculturation)이라고 하여 한 문화 안에 태어난 개인이 그 사회의 문화를 내면 화하는 과정이다.
② 후자는 문화접변(acculturation)이라 하여 둘 이상의 문화가 서로 만나서 한쪽 또는 그 양쪽이 변화되는 과정을 말한다.
⑷ 교육은 문화기대를 갖고 문화기대에 어울리는 평균인을 만드는 과정이다.
⑸교육의 발전에 의해서 문화적인 주체성을 확립 할 수 있다. 후진국 또는 발전 도상에 있는 국가는 발전을 위해 외래문화의 이입이 불가피하다. 교육을 통하여 선진문화의 급 속한 수용을 하게 된다. 이때 교육을 통한 문화적 주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 하에서 문화이입은 외래 문화에 무조건 탐닉하거나 문화적인 노예를 가져온다.
⑹문화의 변화나 지체의 문제에 있어서 물질적 문화, 비물질적 문화, 기술적 문화, 정신 문화, 규범적 문화 등이 상호 의존적 관계가 잘 형성되어야 된다. 일부의 문화만 강조 하는 사회분위기는 병적인 사회다.
⑺문화 지체 현상은 어느 사회에서나 일어날수 있다. 문화지체연상은 복합적 현상을 띠기 마련이기 때문에, 불안, 무질서, 부적응, 문화적 분해 등을 조정, 해소하는 기능과 임무 가 교육에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3.27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14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