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군담소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 군담소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역사군담소설의 개념
2.역사군담소설 작품들
3.역사군담소설의 총체적 특징
4.역사군담소설의 소설사적 위치과 의의

Ⅲ.결론

본문내용

다. 이윤석 이후에는 이 문제에 대해 별다른 논의가 없다가, 최근 들어 김대숙이 박씨전을 연구하는 자리에서 이 문제에서 이 문제를 다시 거론하였는데, 이윤석의 견해에 전적으로 동조하는 시각에서, 박씨전의 작가는 사실성을 확충하기 위한 필요에서 이미 유통되던 임경업전의 일부를 끌어들인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7. 참고문헌
- 이윤석.「임경업전연구」, 정음사, 1985.
- 구인환.「임경업전」, 신원문화사, 2004.
- 이복규.「임경업전」, 시인사, 1998.
3. 역사군담소설의 총체적 특징
조선후기 대부분의 소설의 양상이 군담소설이다.
방대한 양의 소설만큼이나 군담소설의 특징을 논하고자 한다면 며칠이 필요할 것이다.
하여 우리는 역사군담소설이라 지칭되는 소설들의 특징만을 살피고자 한다.
여기서 말하는 역사군담소설이란 앞에서 정의내린 것과 같이
임진왜란이나 병자호란과 같은 실재했던 역사적 실제 인물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그들이
활약한 내용을 서술한 작품이다.
우리는 이미 앞부분에서 역사군담소설로 분류되는 세 작품의 작품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역사군담소설이 창작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 살폈다.
이것을 중심점으로 하여 이곳에서는 다름 아닌 역사적인 사건 특히 임병 두 양란이 후대 소설에 끼친 영향을 살피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는 다시 역사군담소설 전체의 특징이라 하여도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첫째, 소설이 임병 양란 이후에 보다 사실주의적 작품으로 변모를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두 차례에 걸친 일본중국과의 전쟁을 통하여 주인공들의 해외체험들이 구체적으로 작품 가운데 반영되면서 지금까지 추상적낭만적 사고가 점차 구체적 사실적으로 전환되고 이러한 의식이 작자와 독자의 공감대를 형성하여 작품의 실재성사실성을
강화하고 있다.
둘째, 작품에 있어서 통시적공간적 관념이 보다 확대되고 구체화되고 있음을 들 수 있다.
작품속의 지리적 또는 역사적 배경 설정도 점차 확대되고 정확성을 띄게 된다. 아울러 인물 설정의 다양화 현상까지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셋째, 작품을 통하여 현실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이 점차 확산되고, 민중의식의 성장을 가져오게 된다. <임진록>에서 보는 민중적 시각이 그 예라 하겠다.
전쟁을 통해 지배계층의 권위가 무너지고 민중의 안목이 세를 형성하면서 이를 즐겨 작품을 통해 표출하고 있는데, 이는 봉건 사회에서 시민사회에로의 이행과정에서 살펴볼 수 있는 한 요인이기도 하다.
넷째, 영웅소설 또는 가정소설을 통해 집단의식이 강화되는 현상을 살펴볼 수 있다.
임 병 양란은 가정이나 국가를 위기에서 구출한 영웅 대망의 전쟁이었음이 확인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독자들의 이러한 바람이 영웅소설군담소설의 양산을 가져오게 되었으며, 작품속의 가족들의 이산과 고행의 과정을 통하여 가정과 가족간의 사랑의 고귀함을 일깨우고 이것이 가정소설 내지 군담을 곁들인 염정류 작품 창작의 배경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할 수 있다.
다섯째, 설화나 역사,전기,야담류의 소재들이 활발히 작품화되고, 실학시대를 지향하면서 사회의 전범이 될만한 개인들의 전(傳) 또는 전기(傳記)들이 발달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상 다섯가지의 특징으로 역사군담소설의 특징을 말하기엔 모자람이 없지 않지만 영웅소설에서부터 근원을 찾아 창작군담소설 부분과 연계해 본다면 이 다섯가지가 역사군담소설이 지닌 특징이라 하기엔 손색이 없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 한국문학통사 <조동일-지식산업사>
- 임진왜란과 한국문학 <김태준 외>
- 임진록의 서술시각과 인물형상 <연세대 대학원 논문 1991 12 권혁래>
-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서대석-이화여자출판부>
- 임진록 연구 <최문정-박이정>
4. 역사군담소설의 소설사상의 위치와 의의
첫째, 역사군담 소설들은 실제 있었던 전쟁을 소재로 하고 있고, 그 전쟁들의 결말이 비극으로 끝났음에 우리 민족 전체에 남긴 상처도 컸을 것이다. 백성들은 이러한 결과를 초래할 지경까지 보고 간 양반들에 대한 반항심과 이민족에 대한 적개심, 나아가 현실에서 패배한 전쟁을 작품속에서 승리하게 그린 보상심리 등 여러 가지가 보갑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는 실제 있었던 전쟁을 계기로 비현실적이고 소극적인 유교문화에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실학문학으로 발전하였다.
둘째, 역사군담소설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사대부의 권위가 떨어짐으로써 사대부들의 생각을 담던 문학들이 점차 평민 의식을 담는 새로운 내용의 작품으로 태어나게 한 계기가 되었다. 이는 민중들의 지식 수준이 웬만큼 소설을 쓸 수 있거나 볼 수 있을 만큼 올라섰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Ⅲ.결론
앞에서 역사군담소설의 세 가지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토대로 역사군담소설의 총체적인 면모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이 작품들은 군담소설이라는 틀 안에서 역사군담소설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각각의 개성이 뚜렷한 점을 알 수 있다.
<임진록>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쓰여진 작품으로 여러 삽화가 유기적인 관계없이 엮어져 있는 삽화 편집적 구조를 씀으로서 구조상의 개성이 나타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실제 전쟁사를 배경으로 하며 영웅의 활약 담이 담긴 틀을 지니고 있다는 점 또한 알 수 있었다.
<박씨전>은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여성주인공을 내세워 봉건주의적 삶에 매여 있는 여성들 또한 남성 못지않게 능력이 있음을 보여줌으로서 당시 서민 특히 여성층에게 큰 호응을 받았다.
<임경업전>은 한 사람의 인물의 영웅적 행위들과 비극적 결말을 비교적 사실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또 주목할 점은 이런 소설들에서 당시 임진왜란(壬辰倭亂),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났을 당시의 민중들의 지배층에 대한 반감과 이민족에 대한 적대감, 역사적 보상심리로서 생긴 정신적인 승리 의식 등 여러 가지 상황들을 단순히 역사군담소설의 특징뿐만 아니라 이런 부분까지 작품을 연구함으로써 알 수 있었다.
덧붙여 결론내리자면 많은 군담 소설 중에서도 이러한 역사군담소설이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바로 다름 아닌 우리 선조들의 고난했던 투쟁의 역사가 그대로 녹아있기 때문인 점을 들며 보고서를 마친다.
<<<이상입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4.12
  • 저작시기200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8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