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화가 쟁점 연구사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헌화가 쟁점 연구사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헌화가와 배경설화

2. 「헌화가」연구사 검토
2.1. 어학적 해독의 연구사
2.1.1. 過希
2.1.2. 手
2.2. 문학적 해석의 연구사
2.2.1 애정가요로의 성격규명
2.2.2. 도치법의 구사
2.2.3. 시제 상의 혼란
2.3. 관계기록 분석의 연구사
2.3.1. 상징 체계로 해석, 「헌화가」의 작자 ‘노옹’은 누구인가
2.3.1.1. 불교적 해석
2.3.1.2. 도교적 해석
2.3.1.3. 農神으로서의 해석
2.3.2. 문맥체계로서의 해석
2.3.2.1.「헌화가」의 작자 ‘노옹’은 누구인가
2.3.2.2. 주선(晝饍)

3. 수로부인과 해가, 구지가 와의 연결성
3.1. 수로부인은 누구인가
3.2.「해가(海歌)」와「구지가(龜旨歌)」
3.3. 「해가」의 용

본문내용

한다. 순정공 일행이 당황하고 있는 사이 한 노인이 나타나 경내의 백성을 불러 노래를 부르며 몽둥이로 언덕을 두드리면 부인을 다시 볼 수 있다고 하여 그렇게 하였더니 용이 바다에서 부인을 데리고 나와 바쳤다고 한다. 그 때 무리들이 부른 노래를 「해가(海歌)」라고 한다.
3.2.「해가(海歌)」와「구지가(龜旨歌)」
龜乎龜乎出首露 거북아 거북아 수로를 내 놓아라
掠人婦女罪何極 남의 부녀 앗아간 죄 얼마나 클까
汝若悖逆不出獻 네 만약 거역하고 바치지 않으면
入網捕掠燔之喫 그물로 잡아서 구워 먹고 말리라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기이편 수로부인 中 해가(海歌)>
龜何龜何 거북아, 거북아
首其現也 머리를 내어라.
若不現也 내어 놓지 않으면,
燔灼而喫也 구워서 먹으리.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가락국기 中 구지가(龜旨歌)>
「구지가」는『삼국유사』의 <가락국기>조에 수로왕(首露王)의 건국 설화와 함께 전해지고 있는 고대시가다. 설화에 의하면 임금이 없이 지내던 구간(九干)들에게 신이 계시하기를 ‘구지봉(龜旨峰)의 흙을 파면서 이 노래를 부르면 왕을 맞이할 수 있으리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대로 했더니 하늘에서 황금알이 여섯 개 내려왔다. 이 알 속에서 여섯 동자들이 나와 6가야의 왕들이 되는데 그 우두머리가 수로라고 한다. 말하자면 신이 점지한 왕을 맞는 주술가인 셈이다. 그래서 이 노래를 「영신군가(迎神君歌)」라 부르기도 한다.
「해가」와「구지가」 두 노래가 다 ‘주술가’인데 흥미로운 것은 ‘首露’와 ‘水路’의 음이 같다는 것이다. ‘水路’를 구하기 위한 방편으로 ‘首露’를 맞을 때 불렀던 「구지가」의 형식을 모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해가」는 향찰로 표기된 것이 아니므로 향가가 아니다. 「구지가」를 이어받은 것이 확실하므로 주가(呪歌)로 규정함이 옳다. 주가는 명령, 위하(威)의 어법을 사용하여 가령 신격을 맞이할 때나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대상을 향해 위협할 때 주로 부르는 노래다. 수로왕(首露王, 42~199)을 맞이하기 위해 구간(九干) 등을 비롯한 여러 무리들이 군창한 「구지가」가 전자의 예라면 「해가」는 후자의 경우에 해당한다.
3.3. 「해가」의 용
『삼국유사』에는 용이 자주 등장한다. 그렇듯 빈번하게 산견되는 용의 정체는 경우와 문맥에 따라 여러 가지로 해석된다. 「해가」의 ‘용’은 추정컨대 당시 강릉 및 그 주변 일대를 장악하면서 위세를 떨치던 유력한 지방토호가 아닐까 싶다. 그 세력은 중앙에서 내려온 관권도 위협하고 희롱할 정도로 막강하여 태수의 아낙까지 납치하는 소동을 연출하였다고 본다. 다행히 그동안 토호세력의 장중에 있으면서 고통을 겪던 민중들이 그들의 장로격인 노인의 극적인 등장과 선도에 호응하여 토호의 횡포를 물리치고 중앙세력을 맞이한 사건의 의미가 이 문맥에 포개져 있다고 여겨진다. 이도흠은 순정공을 성덕왕이 왕권강화와 화엄 만다라의 세계관을 확장키 위해서 정책적으로 임명한 세력으로, 용은 불교에 귀의하지 않은 재래 토착신앙 세력으로 규정하면서 「해가」와 관련된 이 기록을 재래의 신앙세력이 화엄으로 상징되는 중앙의 불교세력에 맞서다가 여론에 밀려 폐퇴한 것으로 풀이하였다. 이런 식으로 해석할 때에도 사건의 발단에서 결말에 이르기까지 수로부인의 미색이 시종 그 중심에 놓여있다는 점만은 상기할 필요가 있다. 「헌화가」든 「해가」든 핵심부위는 자용절대의 주인공 수로의 미색이었다.
▣ 참고문헌
- 김문태, 『삼국유사의 시가와 敍事文脈 硏究』, 태학사, 1995
- 박노준, 『옛사람 옛노래 향가와 속요』, 태학사, 2003
- 박노준, 『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2001
- 윤영옥, 『韓國의 古詩歌』, 문창사, 1995

키워드

헌화가,   노옹,   수로부인,   해가,   연구사,   쟁점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4.18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49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