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현상으로서의 종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종교
1)종교란 무엇인가?
2)종교의 기능
3)종교의 특질

2.대표적인 한국의 종교
1)무교
2)유교

3.다종교 사회, 한국

4.종교의 세속화

참고자료

본문내용

결과가 점점 더 심화될 가능성이 많다. 제사문제나 상이한 종교를 가진 사람들 사이의 결혼 등 개인적 혹은 가족적 문제에서부터 단군성전의 건립, 종교적 국경일지정, 공교육에서의 종교교육 시비 등 사회적인 문제들도 야기되었으며, 정치의 선거에서도 종교가 당락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면서 종교간 갈등이 표면화되기도 했다. 그리고 불상훼손과 사찰방화 등은 자못 심각한 문제로 비화될 가능성이 많다. 특히 자기 종교가 절대적이라는 절대 확신에 근거함으로써 종교 신념을 전파하는 것은 다종교사회에서 종교적 활동을 할 때 종교 간의 마찰이 불가피하다. 또한 일원적 관계에서만 생각하는 종교인들은 타 종교인들 역시 자신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교리가 요구하는 바에 따라 진지하게 영성적 삶을 살아가는 진지한 인간들이라는 사실을 보지 못하는 윤리적 과오를 범한다. 이러한 독선적이고 배타적인 종교적 행동으로 타종교를 인정하지 않고 자기 종교의 세력 확장이라는 세속적 의미를 더 풍기며 경쟁적인 교세확장은 첨예한 종교 간의 갈등으로 확산될 수 있다. 또한 우리 문화는 인종적, 언어적 단일성과 운명공동체적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이한 종교들, 곧 서로 다른 신념에 의하여 삶의 궁극적 가치에 대한 이해나 태도를 달리하는 종교들은 그러한 단일성과 역사적 경험의 공유를 선행하는 자기 종교의 고유한 우주관, 인생관, 생사관, 선악관 등을 주장하고 또 경험한다. 결국 이 같은 사실 때문에 다원사회의 맥락에서 우리가 현재 경험하는 종교다원현상은 그것이 지극히 복합적으로 구조화되어 있어 결코 단순화 할 수 없는 상황을 빚고 있다. 무속을 비롯한 민속 신앙들, 유교, 도교, 불교, 기독교와 그리고 여타의 외래종교들의 역사적, 문화적 혼재는 그러한 종교다원현상의 실제를 갈등과 경쟁, 상호간의 뒤섞임과 변용, 각 종교의 자기정체성의 위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사는 개인 또한 자기의 정체성을 갖기가 힘들다. 이것이 다종교사회가 갖는 약점 중의 하나이다.
4. 종교의 세속화
사회학적으로 볼 때 종교의 세속화(secularization)란 넓은 의미에서 사회변동의 결과로 종교에 변화가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본격적으로 종교현상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끌게 된 것은 서구 사회에서 기독교가 점차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그 영향력을 잃어가고 있는 1960년대 이후의 종교상황에 관한 것이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세속화 이론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종교의 세속화를 초래한 원인은 멀리 보면 계몽주의 사조에 뿌리를 둔 합리화 과정, 세계관과 삶의 방식을 바꾸어 놓은 과학과 테크놀로지의 발달, 현대 국가의 출현에 따른 정치의 발전, 산업화의 결과로 인한 경제의 성장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불가피하게 종교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그 결과 20세기 후반에는 소위 종교의 세속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었다는 것이 종교사회학자들의 공통된 견해라고 하겠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종교의 세속화는 종교의 어떤 변화를 말하는 것인가? 종교의 세속화 현상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들이 있지만 그것은 대체로 여섯 가지 정도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는 쇠퇴 이론(decline theory)으로, 이것은 종교가 그 신도 수, 성직자 수, 그리고 종교조직의 수가 감소되며, 종교적 관심과 참여율도 감소되고, 종교적 사고와 수행, 그리고 종교제도의 사회적 중요성이 약화되는 현상을 세속화로 규정한다. 둘째는 동조 이론(conformity theory)으로, 이것은 종교조직의 제도화와 합리성의 증가로 종교적인 것이 이 세상적인 것을 닮아 가는 현상을 세속화로 본다. 셋째는 이탈 이론(disengagement theory)인데, 이것은 사회가 제도적인 면에서, 그리고 지적인 면에서 종교적 영향으로부터 이탈하여 사회 자체가 하나의 독립된 자율적 실재가 되어버린 현상을 세속화로 설명한다. 넷째는 변형 이론(transposition theory)으로, 이것은 한 때 신적인 능력과 힘에 근거해 있다고 이해되던 지식, 행위유형, 제도적 장치가 순수한 인간적 창조와 책임성의 현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세속화로 이해한다. 다섯째는 비성화(非聖化) 이론(desacralization theory)으로, 이것은 인간과 자연이 합리적이고 인과적인 설명이나 통제의 대상이 됨으로써 세계가 점차 그 거룩한 성격을 상실해 가는 과정을 세속화로 규정한다. 여섯째는 사사화(私事化) 이론(privatization theory)으로, 이것은 종교가 이제는 그 기능이나 역할에 있어 공적인 문제이기보다 사적인 문제가 되어 일종의 개인적 취향이 되어 버렸다고 보는 견해이다. 한국 종교 역시 상당히 세속화되어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급격한 사회변동 상황과 무관하지 않으며 세속화된 도시 산업사회 안에서 한국종교들은 전통적인 성(聖)의 요소를 그대로 고수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현실을 보여준다. 그러나 여기에서 유의할 점은 종교가 세속화된다 해도 완벽한 세속화란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왜냐하면 세속화된 사회에서는 다시 재성화(再聖化)의 경향이 반작용으로 생겨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종교의 세속화 현상을 바라보면서 동시에 이와 반대되는 혹은 그 경향에 역행하는 현상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세속화의 시대는 동시에 재성화의 시대이기도 한 것이다.
*참고자료
출처 :<현대의 사회학>2003. 박영사. 김경동.
"종교를 넘어선 종교", 최준식, 2005, 사계절
<종교와 사회갈등>에 관한 연구.신준식. 1994. 대구대학교 사회학과
“박탈-보상 이론의 관점에서 본 종교의 세속화 문제- 세계 기독교 성쇠에 대한 경험적 연구” 『신학과 세계』 49호 (2004, 봄)
한국종교의 세속화에 대한 경험적 연구.대한기독교서회,2000. 이원규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는다”, 최준식, 1998, (주)사계절출판사
*목 차
1.종교
1)종교란 무엇인가?
2)종교의 기능
3)종교의 특질
2.대표적인 한국의 종교
1)무교
2)유교
3.다종교 사회, 한국
4.종교의 세속화
참고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4.18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4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