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 정원에 관한 비교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Ⅰ. 정원
1. 정원의 개념
2. 정원의 배후 사상

Ⅱ. 한국의 정원
1. 한국 정원의 역사
2. 한국 정원의 특성
3. 한국 정원의 양식사적 분류

Ⅲ.일본의 정원
1. 일본 정원의 역사
2. 일본 정원의 특성
3. 일본 정원의 양식사적 분류

결론
참고 도판
참고 문헌
도판 목록

본문내용

로 애완하는 익재에서 단적으로 일본 정원의 특성의 일면을 찾아 볼 수 있다. 일본의 유명한 고사 가운데 객을 맞이하는 준비로 낙엽이 진 차실의 앞마당을 말끔히 비를 갖고 쓴 다음 인공적으로 나무를 흔들어서 낙엽을 지게 만들었다는 이야기는 일본 정원의 개념을 잘 설명한 것이라고 한다. 일본 정원의 구체적인 조원 수법을 보면 연못 속에 여러 개의 작은 섬을 배치하여 소나무를 심고 못가에 소금 굽는 연기를 솟아오르게 하여 안개를 대신하며 자연석을 활용할 때도 화폭에 경물을 배치하듯 완벽한 구도를 추구한다. 일본의 전통 정원인 류안지를 비롯한 대다수의 사찰 정원을 보면 왕모래와 암석을 이용하여 해상의 신선경을 연출하고 있는데 이때 암석의 재질, 크기. 비례 등을 고려하여 암석간에 시각적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고산수 기법을 쓰고 있다. 그 결과 정원의 경물들은 마치 한 폭의 그림처럼 구성되어 있다.
) 최관, 『일본문화의 이해』, 학문사, 2000, p. 87
이에 비하여 한국의 정원은 자연의 아름다움은 자연 나름대로 즐기도록 만드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산이 높으면 높은 대로, 골짜기가 깊으면 깊은 대로, 언덕이 있으면 있는 대로, 없으면 없는 대로, 연화를 심어서 좋으면 연화를 심고, 대죽 이 좋으면 대죽을 심고, 넝쿨이 얽혔으며 얽킨대로 그 사이에 인공을 가한 누각과 자당을 배치하는 것이다.
) 허균,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다른세상, 2002, p. 175
담을 두르지만 억지로 직선형이나 수평으로 만들지 않고 지세 그대로 높게 낮게 두어 산형을 따라 가도록 만들었으며, 창가 너무 가까이에 정원을 꾸미지 않고 안뜰과 바깥 마당은 비워 두는 것이 보통이며 마당 건너에 있는 자연 속이나 뒤쪽에 꽃과 나무를 심어서 보통 정원을 가꾼다. 한국의 정원은 일본과 다르게 수목을 지나치게 자제하거나 인공을 가하지 않는다. 즉 한국정원은 자연풍경식 정원으로 기존의 자연경관이 주(主)가 되고 정자 등 인공축조물은 종(從)의 위치에서 자연에 의존하는 형식을 취하여 보다 자연을 살리는데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정원 조성의 배경에는 인간은 자연 위의 군림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존재라는 관념과 지나친 기교와 인위를 싫어하는 한국인의 선천적 대의성이 함께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천혜의 아름다운 자연 환경 속에서 자연의 리듬을 말없이 느끼고 수용하면서 살아오는 과정에서 체득된 자연친화적 성장으로부터 나온 것이라 생각된다.
참고 도판 - 한국의 정원
도1.소쇄원
도2.광한루원
도3.포석정지
도4.방화수류정
일본의 정원
도1.가이라쿠엔
도2.겐로쿠엔
도3.코라쿠엔
참고문헌
1. 단행본
허균,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다른세상, 2002
박정욱, 『풍경을 담은 그릇 정원』, 서해 문집, 2001
김문길,『일본문화의 이해』,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9.
김미란, 『일본문화』, 형설출판사 1999.
윤국병, 『조경사』, 일조각 1999.
윤상인外, 『일본을 강하게 만든 문화코드 16』, 나무와 숲
김종문, 『일본의 문화와 종교정책』, 신원문화사, 1997
김재엽, 『일본의 문화와 예술(뉴밀레니엄의 테마 21)』, 한누리미디어 2000
박전열 이영 공저, 『일본전통문화론』,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9
최관, 『일본문화의 이해』, 학문사, 2000
김흥국, 『일본인과 일본문화의 이해』, 보고사 , 2001
박화진 김병두, 『일본문화 속으로』, 일본어 뱅크, 2002
최한형, 『돌 하나에도 생명이 있다.』, 시공문화사, 1998
박경자, 『한국 전통 조경 구조물』, 조경, 1997
홍광표 이상윤 정운익 공저, 『한국의 전통 수경관』, 태림문화사, 2001
2. 정기간행물
김도경 서주환, 『경희대학교내 한.중.일 전통정원조성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 식물,인간,환경학회지 01권, 2호, 1998
이유직, 『동양정원의 조원가와 이론서』, 건축역사연구 24권, 9-3호, 2000
박정욱, 『정원에서의 공간해석』, 건축역사연구 24권, 9-3호, 2000
3. 학위논문
정종오, 『한 일 전통정원양식의 비교연구 - 지당정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 사논문, 1982
김호연, 『일본 한국 중국의 정원에 대하여』, 영남대학교 석사논문, 1983
우경국, 『한국고대정원과 일본고대정원과의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89
도판 목록
한국의 정원
도1. 소쇄원 - 경사면의 적절한 노단식 처리라든지 기능적인 공간 구획, 대숲속의 오솔길, 지형에 따라 변화 있는 담장 지붕의 선, 담 밑에 뚫린 수문 등 낭만적이고 장식적인 조경으로 원림의 가치를 더욱 돋보이게 하며, 보길도의 부용동원림과 더불어 조선시대의 별서정원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도2. 광한루원 - 건축물로서의 누정이며, 광한루원은 조경공간으로서 광한루를 포함한 경원이다. 광한루원은 근세 전기에 조영된 대표적인 정원으로 꼽히고 있는데 한국의 독특한 조경양식이 탄생하는데 모체가 되고 있으며 정원을 대표할 수 있을 만큼 질적으로 우수하고 통시대적 문학사에 나타난 정원양식을 표현하고 있어 전통예술을 계승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
도3. 포석정지 - 1999년 5월 포석정지에서 발견된 「포석(砲石)」명문와(銘文瓦)는 삼국사기와 동경통지(東京通志) 등 기록에서 '물고기를 말린 형상의 석물(石物)이란 뜻'에서 「포석정」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기와에 새겨진 포(砲)자는 당시 기와 제작자들이 '포(鮑)'자를 약자화해 쓴 것으로 보인다.
도4. 방화수류정 - 방화수류정의 건축미와 예술적 가치는 조선 후기를 대표한다. 각루(角樓)로서의 군사적 기능 보다는 호화로운 운치를 풍기는 정자로서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일본의 정원
도1. 가이라쿠엔
도2. 겐로쿠엔
도3. 코라쿠엔
-일본의 3대 정원으로는 이바라키(茨城)현의 미토(水戶)에 있는 ‘가이라쿠엔’,이시카와(石川)현의 가나자와(金澤)에 있는‘겐로쿠엔’(兼六園), 오카야마(岡山)현의 오카야마에 있는 ‘코라쿠엔’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카이유’형식의 정원들이다.
  • 가격5,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03.12.09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