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석영의 객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황석영의 삶, 그리고 문학세계
- 미완성 ‘황씨연대기’

Ⅱ. 1970년대 리얼리즘과 「객지」
1. 1970년대 소설
2. 「객지」리얼리즘의 특징

Ⅲ. 작품 분석
1. 줄거리
2. 내재적 측면
⑴ 공간
⑵ 인물
3. 외재적 측면

Ⅳ. 「객지」의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현시키기 위한 민중적 투쟁의 현장이다. 고향을 잃고 도시 혹은 노동판으로 떠돌게 되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경제 개발의 논리 속에 개인의 인권이나 생이 무시될 수도 있었던 시대의 문제를 포함한다.
운지 간척지 공사장의 일용 노동자들의 파업을 다루고 있는 「객지」는 당시 노동운동 수준을 보여주는 선구적인 작품으로 평가된다. 이 작품은 노동운동의 현실을 관념적으로 다루지 않았으며 1970년대 우리 노동의 수준을 가장 현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면서도 작가는 노동자들의 현실이 쉽게 개선되리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노동력 과잉상태에서 노동운동의 진정한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웠던 현실에 적절히 대응한 셈이다. 이런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이면서도 미래에 대한 희망은 포기하지 않는다는데 이 작품의 성과가 있다. 이런 점에 근거해서 황석영 소설의 특징은 지식인의 관념을 벗어던지고 철저하게 현장 체험에 기반을 둔 결과, 구체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객관 묘사를 하는 데 있다.「객지」는 작가가 신탄진 공사장과 섬진강 간석지에서 체험한 잡역 노동자 생활을 그렸다. 그러므로 보다 민중의 현실을 생동감 넘치게 묘사함으로써 형식주의자나 탐미주의자가 아닌 리얼리스트로서의 면모를 확고하게 드러낼 수 있었다.「객지」를 통해 서해안 간척지 공사장 막노동꾼 ‘날품’들의 비참한 노동 현장을 생생하게 고발하고, 파압에 이르게 되는 긴박한 상황, 노동자의 삶과 의식, 투쟁 과정이 생생하고 박력 있게 재현된다. 공사판의 열악한 환경과 노동자에 대한 비인간적인 대우로 인해 파업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노동현장을 배경으로 한다는 것과 노동자들의 투쟁의지을 담는다는 것만으로도 그 당시 독자들로 하여금 당대의 모순적인 산업구조에 대한 문제인식과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고 본다. 작가는 마지막 동혁의 다짐을 통하여 「객지」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밝힌다.
그는 자기의 결의가 헛되지 않으리라는 것을 믿었으며, 거의 텅 비어버린 듯한 마음에 대하여 스스로 놀랐다. 알 수 없는 강렬한 희망이 어디선가 솟아올라 그를 가득 채우는 것 같았다. 동혁은 상대편 사람들과 동료 인부들 모두에게 알려주고 싶었다.
“꼭 내일이 아니라도 좋다.”
그는 혼자서 다짐했다.
작가는 현실적인 수준에서 문제를 풀어나가고, 나머지 문제는 인물의 의지를 통해 미래의 과제로 남겨둔다. 예문에서 보듯이 그 미래는 단순히 희망하는 미래가 아니라 언젠가 찾아오리라 확신할 수 있는 ‘가능한’ 미래이다. “우리가 못 받으면, 뒤에 오는 사람 중 누군가 개선된 노동 조건의 혜택을 받게 될 거요”라는 동혁의 말 속에는 ‘내일’이 아니면 그 다음 날, 약속할 수 없는 그날이지만 언젠가 찾아오리라는 믿음이 담겨져 있다. 소설에서는 파업의 성공, 대립갈등에서의 승리가 중요하다기보다 감정적이지만 실재하는 노동자들의 분노와 노동현장의 모순을 확인하고 자신이 속한 ‘오늘’이 아니라도 변함없는 신념과 행동을 통해 언젠가는 이루어질 인간다운 삶, 조화로운 삶을 추구한다.
Ⅳ. 「객지」의 문학사적 의의
황석영이 추구하고 있는 세계는 개인과 사회의 조화로운 삶과 거기서 구현되는 삶의 총체성의 의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당대의 현실에서 새롭게 사회적 문제성을 지닌 집단으로 등당하고 있는 노동계층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황석영은 노동 계급의 성장이나 상승 자체만을 주장하는 이념주의자는 아니다. 그는 이 새로운 문제의 계층이 사회로부터 소외되지 않고 자신들의 삶을 건강하게 꾸려나갈 것을 소망한다. 그러므로 그는 소외된 자들이 겪는 고통을 한국 사회가 겪는 시대적인 아픔으로 간주하고 그들의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인간적인 진실과 삶에 대한 강한 의욕을 늘 강조한다.
소설 「객지」가 보여주는 문학적 중요성은 그것이 부랑 노동자가 지니는 사회적 관계의 핵심을 포착했다는 점에 있다. 작가는 소설의 주인공이 보여주는 문제적 성격을 매개로 하여 노동자의 투쟁과 그 패배과정을 그리고 있다. 이것은 그 이전의 문학에서는 일찍이 볼 수 없었던 것으로, 현실 체험에 바탕을 두고 형성된 작가의 이념이 바야흐로 산업화의 단계로 접어들었던 한국 사회의 근본적인 모순과 부딪치고 있는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 개발과 근대화라는 이름으로 추진된 한국 사회의 산업화 과정은 대자본의 육성과 수출 중심의 경제 성장 정책에 따라 노동자들을 저임금과 비인간적인 근로 환경 속으로 내몰아 간다. 이러한 불합리한 노동의 현장을 소설적 무대로 끌어올린 것이 바로 「객지」이다. 간척 공사장에서 자신들의 노동 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투쟁하는 노동자들을 그려내고 있는 이 작품에서 돋보이는 것은 이야기 자체의 긴박감 있는 구성과 사실적인 묘사이다. 이 작품의 문학적 성과는 노동자 계급의 비참한 현실을 폭로하고 있다든지 노동 쟁의의 과정을 절실하게 묘사하고 있다는 리얼리즘적인 형상성만은 아니다. 작가는 부조리한 노동의 현실을 절실하게 파헤치는 동시에, 등장인물의 내면 심리에 대한 치밀한 추적을 늦추지 않고 세밀하게 표현했던 것이다.
이 작품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객지」의 지향성이 노동자 계급에 대한 일방적인 지지나 옹호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이 작품은 어떤 의식의 무모한 관념적 선취를 절제하면서, 오히려 한 개인이 자신의 계층적인 속성이나 한계를 벗어나 스스로 인간적인 가치를 구현하는 과정을 폭넓게 파악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소외된 민중의 비참한 생활상을 제시하는 것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탐구와 삶의 의미를 진지하게 성찰 하는 데에까지 이르고 있다.
<참고문헌>
「현대소설을 찾아서」김진기. 보고사. 2004.
한국현대문학사2. 권영민. 민음사. 2002
한국현대문학사 김윤식김우종 외. 현대문학. 2005
황석영 문학의 세계. 최원식 임홍배엮음. 창비 . 2003
<수난의 역사에서 길어낸 인간에 대한 신뢰>. 임송본 이재영.
<황석영이 황석영을 말하다>. 황석영.
<황석영 소설의 역사인식과 민중성-황석영 1970년대 소설연구>. 안남연.
<뜨내기 삶의 성실한 복원-70년대 중단편중심으로>. 백문임
<체험과 상상력-황석영론>. 권오룡.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4.21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3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