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 역사와 문화의 만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유사 - 역사와 문화의 만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승려의 눈으로 시대를 보다
ⅰ. 혼돈의 시대
ⅱ. 일연의 생애
ⅲ. 일연의 역사인식

Ⅲ. 자주와 문화를 남기다
ⅰ. 삼국유사 구성과 체제
ⅱ. 삼국사기와의 비교
ⅳ. 사학사적 의의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걸외,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창작과 비평사,2001, p92,93.
둘째, 삼국유사는 당시 고통 받던 서민들에 대한 인식을 분명히 하여 삼국유사연구논선집, 백산자료원, 1986, p187. 참조하기.
, 민족 자주성의 강조와 서민의식의 표현은 이 시기 고려사회의 주도적인 인식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는 삼국사기의 지배자 중심의 유교사관 서술에서 벗어난 새로운 역사인식을 통하여 민중의 삶을 조명할 수 있는 소중한 사료적 가치를 지님을 말한다.
셋째, 불교사의 많은 자료와 당시의 수많은 사료가 포함 되어 있어 고역사서이자 불교 문화사서요, 야담과 설화의 모음집이자 소중한 문학서이고, 문,사,철,이 관통된 문화서로서 고대사회를 이해하는데 없어서는 안돼는 중요한 사료이다. 일연, 김원중 옮김,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2002, p16.
물론 저자가 사관이 아닌 승려의 신분으로서 책을 서술했기에 합리적이며 사실적인 기술이 부족하고 , 더러는 인용서와 그 내용이 같지 않은 것도 있고, 잘못 전해져 오는 것을 그대로 수집·수록한 것도 없지 않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이 책 자체가 그 서명(書名)이 말하듯이 일사 유문적(逸事遺聞的)인 것이기 때문에 따르는 불가피한 것이라 하겠다. 또한 신라중심 서술의 한계도 드러내고 있으며 삼국유사연구논선집, p89.
, 여전히 체제 순응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국유사는 새로운 역사인식과, 풍부한 문화사적 사료로서의 위치는 흔들릴 수 없을 것이다.
Ⅵ. 결 론
고려의 내부적 모순과 대외적 원(元)나라의 침입으로 민족의 자주권과 자존심은 짓 발 폈던 시대의 희망의 산물이 삼국유사이다. 승려의 신분으로 민족의 정기를 세우려 했던 일연 개인의 산물이 아닌 그 시대의 희망과 열망을 담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의 불교적 세계관을 통하여 민족의 기원을 신화적 이며 문학적인 상징을 통하여 민족의 위대함을 드러내고자 한 열망 속에서 태어난 것이다. 이는 합리적인 유교사관으로 기술된 삼국사기와는 다른 우리 고대의 비합리적이며 초인적인 세계를 보여준다. 이런 부분은 과연 역사서 인가 하는 논란이 있을 수 있으나, 당시의 문화적 상상과 상징을 분석함으로써 그 시대의 역사를 선험적으로 추리할 수 있는 귀중한 사료로써의 가치는 능히 인정되는 것이다. 이에 삼국유사는 고대의 우리문화를 이해하고 밝히는 중요한 사료이며, 또한 민족의 자주성과 고유성을 보여주는 역사서이자 문화서적 가치를 지닌 것이다.
■ 참고문헌
일연, 김원중 옮김,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2002.
삼국유사연구논선집, 백산자료원, 1986.
일연, 이범교 역해, 『삼국유사의 종합적 이해 上』, 민족사, 2002.
조동걸외,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창작과 비평사,2001.
차광호,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의 신이(神異) 의미와 저술 주체」 단국사학회 , 사학지 , 2005.
김무진외 2명,『신편 한국사의 길잡이』, , 혜안,1998
김두진, 「일연의 생애와 저술」,전남사학, Vol.19, No.0, 2002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4.23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5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