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연구 및 교육평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연구 및 교육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교육평가에 관한 문제 탐구

Ⅲ. 나가며

본문내용

한 기능을 수행한다. 인간은 자신의 학습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고 싶어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자신의 현재능력에 관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노력하는 태도를 견지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곧 학습자 자신뿐만 아니라 피학습자인 교사나 더 나아가 교육 행정가들도 학생의 교육행위를 다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게 한다. 자신이 가르친 학생의 학업능력이 교사의 생각보다 뒤떨어진다면 교사는 그 원인에 대해 고민하게 될 것이다.
교수방법이나 교수내용에 대해 뒤돌아보게 될 기회가 되는 것이다. 이런 과정은 결국 교육문화 전반에 교육행위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는 즉 교육개선의 기폭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무엇보다, 교수평가는 교사가 학습자인 학생의 능력을 진단하고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준거 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순기능을 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의문으로 남는 문제는 있다.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교육평가인가?’하는 근본적인 물음이다. 이에 대해 교육계와 관련한 모든 사람들이 심사숙고해야 할 命題가 있다. 批判的 思考(critical thinking)가 그것이다. 합리적 사고, 과학적 사고, 논리적 사고 논리적 사고는 형식논리의 규칙에 따른 연역적 사고로서, 전제들의 참/거짓 여부에 관계없이 전제들로부터 결론을 타당하게 도출시키는 것만을 목표로 한다. 과학적 사고는 형이상학, 미학, 윤리학 등에 대해서는 과학적 탐구를 할 수 없으며 합리적 사고는 어떤 사회가 어떤 시점에서 받아들이는 원리, 관습, 원칙, 법칙들에 맞게, 즉 그 원칙들로부터 도출될 수 있거나 적어도 그 원칙들과 정합하는, 판단을 이끌어내는 사고이다. 이에 비해 비판적 사고는 전제들의 참/거짓까지 고려하여 결론의 참/거짓 여부를 판단하는 건전성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윤리학, 미학, 형이상학까지도 탐구대상이 되고, 합리적 사고에서 정립된 것으로 전제하는 원칙들의 가치 정당성까지 문제 삼을 수 있다(김광수, 2006).
를 아우르는 비판적 사고를 지향하는 태도가 그것이다.
비판적 사고의 정신은 자연스러운 사고의 방식을 표준화하여 주관적 개체들이 ‘열린 사고공동체’를 이루는 방향으로 사고하고 판단하게 하는 데에 있다. 사고의 자연주의, 판단방법의 표준화, 열린 사고공동체주의는 비판적 사고가 보편적 사고 방법으로 인정될 수 있게 하는 기본정신이다.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함께 동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비판적 사고가 지향하는 정신인 것이다(김광수, 2006).
바람직한 교육평가의 방법에 관해서는 많은 논쟁이 있을 수 있으나,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원 모두가 함께 동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게 하는 비판적 사고에 관한 認識 地坪의 끈은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김경배, 김재건, 이홍숙(2005).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학지사.
김광수(2006). 철학과 비판적 사고: 찰학 바닥을 치다. 철학과 현실. 봄 68호.
김용옥(2002). 중고생을 위한 철학강의. 통나무.
김재춘, 부재율, 소경희, 채선희(2002). 예비현직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 육과학사.
백순근(2001). 교육측정 및 평가론. 대한민구학술원 편. 한국의 학술연구: 동양철학 교육 학. 대한민국학술원.
백순근(2002). 교육측정 및 교육평가의 발전과제.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학회소식지 231 호.
이돈희, 조화태(2001). 교육철학.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한국교육심리학회 편(2000). 교육심리학 용어사전. 학지사.
한국교육평가연구회(1995). 교육측정, 평가, 연구, 통계 용어사전. 중앙교육진흥연구소.
홍순정, 백순근(2006). 유아연구 및 평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Tyler, R. W.(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이해명 역(1994). 교육과정과 학습지도의 기본원리. 교육과학사.
Worthen, B. R. & Van Dusen, L. M.(1994). Nature of evaluation. In T. Husen and T. N. Prostlethwaite(eds.). International Encylopedia of Education.
www.empas.com. 백과사전. 2006. 4. 15일자.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6.17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4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