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의 TV DMB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 손안의 TV DMB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DMB의 개념

2. DMB의 기술적 특성
2-1. 지상파 DMB의 기술적 특징
2-2. 위성DMB의 기술적 특성

3. DMB의 서비스 특성
3-1. 개인화와 이동성
3-2. 양방향성 및 컨버전스
3-3. 멀티미디어성 및 단말기 확장성 그리고 소형성
3-4. 수익성

4. DMB의 확산
4-1. 개혁결정 과정5단계 모델
4-2. 일반휴대폰의 확산과 DMB폰 확산의 비교

5. DMB확산의 촉진/장애요인

6. DMB관련 기타 이슈
- 통합 DMB폰’ 출시에 따른 갈등

7.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본문내용

집중적인 정책 적 지원
1. 통방융합을 활성화하기 위한 법과 제 도의 미비
5. DMB확산의 촉진/장애요인 (표-2 및 이 장의 내용 지경용 외, 『차세대 디지털 컨버전스 DMB 서비스』(진한도서, 2005. 4)
)
DMB는 고품질, 다기능 이동방송과 통방융합에 대한 이용자의 잠재적 수요가 확인되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비즈니스 진출을 통해 시장창출과 수익원천을 확보하려는 DMB 사업자의 비즈니스 추진 동인과 결합하여 DMB 시장 성장의 핵심 촉진요인되고 있다. 그리고 가치사슬 측면에서 장비 및 플랫홈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여 진화하고 있으며, 차별화되고 이용자 특성에 맞는 콘텐츠에 대한 DMB 사업자의 집중 투자, 국내 단말기 제조업체의 글로벌 경쟁역량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단말기 개발, 다른 통신서비스와의 상호 보완적 비즈니스 모델 창출, 정부의 IT 839 전략이 DMB의 시장 확산을 촉진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에 이용자의 추가 지불여력 부족과 초기 거대 투자비 발생, 통신 및 방송사업자의 역할 관계 미정립은 이용자와 DMB 사업자 측면에서 시장 확산의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될 것이다. DMB 특성에 맞는 킬러 콘텐츠의 부재, 위성 DMB의 공중파방송 재전송 불투명, 지상파 DMB의 수익창출 원천 부족, 단말기 교체에 따른 이용자 부담, 단말기의 과도한 소비전력 소요, 차세대 모바일 방송과의 경쟁 가능성, 통합융합을 활성화하기 위한 법과 제도의 미비는 DMB 시장을 축소시키거나 성장을 지연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6. DMB관련 기타 이슈 - [‘통합 DMB폰’ 출시에 따른 갈등]
DMB폰을 구입하려는 사람들이 가장 고민 하는 것은 위성DMB와 지상파DMB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 하는 문제다. 지상파DMB의 경우 무료라는 점과 지상파 방송을 그대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지만 제한된 수신 지역으로 인해 활용도가 높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반면 위성DMB는 하늘이 보이는 곳이면 수신이 가능하고 시내 지하철 등지에서도 수신이 가능해 활용도는 높지만 가장 인기가 많은 지상파 방송의 재전송이 안되고 매월 1만3천원의 사용료를 내야 한다.
지금까지 DMB폰을 구입하려 하는 사람은 위성이나 지상파DMB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지만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듀얼DMB폰(SPH-B4100)은 TV에서 케이블과 지상파를 자유롭게 선택해 볼 수 있는 것처럼 위성과 지상파 방송을 모두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듀얼 DMB폰의 출시가 시작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삼성은 듀얼DMB폰을 이동통신사에 공급할 계획이지만 이 단말기에는 위성DMB 시청기능이 빠져 있다. 지상파DMB만 수신 가능한 반쪽짜리 듀얼DMB폰이 나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위성DMB 서비스업체인 TU미디어가 위성DMB 수신을 위한 인증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TU미디어는 위성DMB의 지상파 재전송이 안되는 상황에서 듀얼폰이 출시된다면 기존 위성DMB 가입자와의 형평성에서 문제가 생긴다는 입장이다. 위성DMB의 지상파 재전송이 이뤄져야 53만명에 달하는 위성DMB 가입자들도 차별없이 지상파 TV를 볼 수 있다는 것이 TU미디어측의 주장이다. 결국 지상파 재전송 문제가 듀얼DMB폰의 출시를 가로막고 있는 것이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지상파 DMB의 활성화를 위해 위성DMB에 재전송되는 것이 달가울 리 없다. 결국 사업자들간의 이해 다툼속에 세계 최초의 기술은 반쪽짜리가 되어 버렸고, 이를 기다려온 소비자들의 기대도 물거품이 될 위기에 놓여있다.
업계에서는 앞으로는 듀얼DMB가 일반화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카메라폰이 일반화 되고 MP3폰이 일반화 된 것처럼 DMB역시 휴대폰의 기본 기능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DMB 기술이 방송과 통신의 경계를 무너뜨렸듯 듀얼DMB 역시 DMB 사이의 경계를 허물 것이다.
7.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에버렛 M.로저스, 김영석,강내원,박현구 역, 『개혁의 확산』(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9)
박창신,『Take Out 첨단지식 - 훤희 보이는 DMB 』, (u-북, 2005. 6)
현대원박창신, 『퍼스널미디어』, (디지털 미디어 리서치, 2004)
지경용 외, 『차세대 디지털 컨버전스 DMB 서비스』(진한도서, 2005. 4)
mbn 뉴스 (http://www.mbn.co.kr)
인터넷 한겨레 (http://www.hani.co.kr)
한국 DMB (http://www.k-dmb.com)
TU 미디어 (http://www.tu4u.com/)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9.18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3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