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국악 기악곡의 특징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 나라 국악 기악곡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껴진다.
о 아쟁 산조
성량이 크고 낮은 소리를 내는 아쟁은 정악에서 연주될 때는 마음을 편안하게 가라앉혀 주지만 산조에서는 가슴이 찢어지는 듯한 한(恨)을 느끼게 한다.
③ 음악적 특징
о 산조의 미학
산조는 화음이나 다른 선율악기와의 협력을 일체 배제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음선으로 전개해 나가면서 한 음 한 음마다 독자적인 생명력을 중요시한다. 또한 가락을 죄었다가 풀었다가 하는 긴장과 이완의 적절한 대비와‘내고 달고 맺고 푸는’한국음악의 전통적인 형식에 입각한 역동성은 듣는 사람을 산조 가락 속으로 끌고 들어간다. 산조의 또 하나의 매력은 무한히 이어지는 변화에 있다. 산조는 재현이나 반복이 거의 없이 끝까지 새로운 변화로 이어진다.
о 산조의 진보성과 변혁의지
산조는 조선 후기 사회변혁기에 생성된 음악으로서 이 음악을 만들고 즐겼던 계층, 즉 민중의 사회의식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산조가 반영하고 있는 의식은 새로운 세계로의 지향성, 개방성, 역동성으로 요약된다. 산조는‘진양―중모리―자진모리’, 즉‘느린 속도―보통 속도―빠른 속도’의 기본 구조를 갖고 있는데 이것은 한국음악 형태의 공통적인 구조이기도 하다.
그러나 산조에서의 이 구조는 보다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영산회상과 같은 정악 기악곡을 보면 산조와 마찬가지로 한 악장에서 다음 악장으로 넘어갈수록 느린 속도에서 점차 빠른 속도로 나아가고 있지만 속도만 빨라질 뿐 장단에는 변함이 없다. 같은 장단을 가지고 속도에서만 변화를 줄 뿐이다.
그러나 산조에서 한 악장에서 다음 악장으로 넘어갈 때는 장단 자체가 빠른 장단으로 바뀌는 것이다. 따라서 무언가를 향해서 치닫고 있는 듯 한 속도감이 훨씬 강하게 느껴진다. 또한 산조에서는 반복이나 순환을 찾아볼 수 없다. 정악에는 도드리 형식이 많지만 산조에는 중모리, 중중모리 등‘몰이’만이 있을 뿐이다.
말하자면‘돌아드는’도드리는 순환의 논리, 점진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논리이지만‘몰아가는’몰이는 미래지향의 논리,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려는 변혁의 논리인 것이다.
о 산조의 장단
판소리에서는 북으로 장단을 잡는데 반해서 산조에서는 장구로 장단을 잡는다. 산조에서 쓰는 장단은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엇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등으로 판소리에서 쓰는 장단과 명칭이 같다.
셋 이상의 악장이 모여서 하나의 산조 악곡을 구성하며 진양, 중모리, 자진모리 세 장단은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특히 첫 악장은 반드시 진양 장단이어야 한다. 진양 장단은 가장 산조에 어울리는 장단이라고 할 수 있는데 다른 기악곡에서는 진양 장단을 잘 쓰지 않는 데 반해서 산조에서는 매우 중요한 장단이다. 또한 이 진양 장단은 산조 연주자의 기량을 가장 잘 보여 줄 수 있는 장단이다.
산조의 진양 장단은 가장 산조에 어울리는 장단이라고 할 수 있는데 다른 기악곡에서는 진양 장단을 잘 쓰지 않는 데 반해서 산조에서는 매우 중요한 장단이다. 또한 이 진양 악장은 산조 연주자의 기량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악장이다. 진양 악장에서는 조(調)를 다양하게 바 꿔가면서 변화 있는 연주를 하기 때문에 연주자의 기량이 잘 드러나게 마련이다.
산조의 중모리라는 말은‘중간 빠르기로 몰아가는 장단’이라는 뜻으로 진양 다음으로 느린 장단이다. 진양 장단이 깊은 상념에 잠긴 듯한 분위기의 장단인 데 반해서 중모리 장단은 담담하게 이야기하는 듯 한 분위기의 장단이다. 12박으로 이루어진 이 하나의 장단 안에서 한국음악의 전통적인 형식인‘내고 달고 맺고 푸는’완결적인 구조가 이루어져 있다.
산조의 엇모리는 (3+2)+(3+2)로 혼합된 혼합박자로 매우 빠른 10박자로 느껴지기도 한다. 비끼거나 어긋나다는 '엇'이라는 말의 의미처럼 엇모리의 리듬은 3분박과 2분박의 서로 다른 리듬꼴이 교대로 나타나 10박을 이루는 장단이다. 산조의 전반적인 흐름을 무너뜨리는 장단으로 산조의 전체구조인‘몰아가는’구조에 반드시 필요한 장단이 아니므로 엇모리 장단이 들어가 있지 않은 산조 악곡도 많고, 있더라도 그 위치가 제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о 산조의 농현
산조에 짜이는 다양한 조는 각 조마다의 독특한 농현으로 인해서 각각의 특성이 더욱 두드러진다. 평탄한 감정상태를 나타내는 평조에서는 줄을 누르거나 흔드는 정도가 약하고 애 절한 감정을 드러내는 계면조에서는 농현의 정도가 심한 편이다. 산조에서는 여러 가지 농현 기법을 사용해 풍부한 감정 표현을 한다.‘떠는 농현’은 한 음을 물결 일듯이 흔들어주는 것이고‘미는 농현’은 한 음을 내고 나서 그 여음(餘音)을 한 음 정 도 높이 눌러주는 것이다. 소리에 긴장감을 더해주는 기법이기 때문에 주로 우조의 연주에 많이 쓴다.‘꺾는 농현’은 높은 음에서 낮은 음으로 급하게 미끄러져 내리는 것으로서 급하면 서도 부드럽게 흘러내리도록 해야 한다.
Ⅲ. 결론
국악곡들 중 기악곡만을 살펴보았다.
관련 서적이나 인터넷을 통하여 각각의 곡들의 특징을 살펴보고 정리하면서 단지 문자로만 그 특징을 읽고 알아간다는 것에 한계를 느꼈다. 많은 곡들을 한곡씩 다 들어보고 직접 그 특징을 느껴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평소 단소로 영산회상의 9곡을 연습해 보곤 하는데 그 한곡 한곡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게 되었다. 또한 여민락, 수제천, 동동, 보허자, 낙양춘, 영산회상, 취타, 산조, 시나위, 풍물놀이, 사물놀이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되었으며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각 곡들을 직접 감상하여 보고 싶다.
참고문헌
최신 국악총론(1989),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개정판 국악통론(2002), 서한범, 태림출판사
알기 쉬운 국악개론 개정판(2001), 이성천 외, 풍남
전통음악개론(1995), 김해숙, 백대웅, 최태현 공저, 어울림
개정 대학음악이론(2003), 백병동, 현대음악출판사
한국음악 그 갈래 이야기 http://my.netian.com/~kcmusic/index.html
국립국악원 홈페이지 http://www.ncktpa.go.kr/html/jsp/NCKTPA/index.jsp
풍류마을 홈페이지 http://www.kmusic.org/main.php3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7.01.13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1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