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록학개론 - 독립신문의 시대적 배경과 의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록학개론 - 독립신문의 시대적 배경과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 독립신문에 대한 일반적 인식

Ⅱ 본론
1. 독립신문과 서재필
(1) 서재필의 생애
(2) 서재필의 사상
2. 독립신문의 역사
3. 독립신문의 창간 배경
4. 독립신문의 의의와 기능
- 창간호 논설을 중심으로 본 독립신문의 의의와 기능

Ⅲ 결론

Ⅳ《참고 문헌》

본문내용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넷째, 정보제공 기능이다. 조선 내의 일뿐만 아니라 외국의 일도 널리 알리고, 또한 외국 사람들이 조선에 대해 편벽된 생각을 갖지 않도록 영문으로도 발행해 올바른 정보의 제공과 공유를 추구하였다.
다섯째, 계몽적 기능이다. 인민들에게 정부의, 조선 내의, 또한 외국의 사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조선 인민들의 지식과 의식의 진보를 추구하였으며, 이것은 교육을 통한 자강개혁이라는 서재필의 사상에도 부응하는 것이었다.
여섯째, 만민 평등 사상의 전파이다. 상하귀천과 남녀의 구분을 두지 않는 평등주의의 입장을 강조하고 교육함으로써 인민들의 의식개혁을 추구하였다.
일곱째, 최초의 한글 전용 신문이라는 것이다. 이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필요뿐만 아니라 민족주의 의식 성장에 따른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때문이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공론 조성의 기능이다. 「독립신문」이 이전의 신문과 비교해서 가장 커다란 차이점을 보이는 것이 공론 조성의 기능이다. 이전의 신문도 정보제공, 비판, 교육 기능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인식을 하고 있었지만 공론 조성의 기능은 「독립신문」에 의해서 비롯된 기능이다. 이는 서재필이 미국으로 돌아가서 쓴 회고록에서 1895년 말 한국에 돌아가 두 가지 일, 첫째 국민을 가르치는 일(to educate the people), 둘째 국민으로 하여금 말을 하게 하는 일(to give them a voice)을 하였다고 진술한 내용에서 나타난다.
) 김영희, 「독립신문」 발행주체의 언론사상, 언론과 사회 통권 제 14호, 1996. p44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서재필이 국내에 돌아와서 민주주의 사상과 민족주의 사상을 고취하면서 교육계몽과 함께 그 실천 방안으로 내세웠던 것이 공론의 형성이었다. 이는 독립협회의 기능과 일치하는 것으로 서재필은 신문의 공론 조성의 기능을 통하여 국민의 몽매한 의식을 개혁하려 하였다.
Ⅲ 결론
지금까지 서재필의 생애와 사상적 기반, 「독립신문」의 역사와 창간의 시대적 배경, 그리고 그 의의와 기능을 알아보았다. 특히 「독립신문」의 의의와 기능 분석은 언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독립신문」의 종합적 의의와 기능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
먼저 그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우리 나라 최초의 민간신문이라는 점이다. 「독립신문」이 창간되기 전에도 우리 나라에는 「한성순보」와 「한성주보」등의 신문들이 존재하였지만 이것은 박문국에서 간행한 관보였다. 「독립신문」도 정부에서 자금을 지원하여 창간된 신문이었긴 하지만 한국정부는 신문의 제작과 경영에 관해서는 일체 간여하지 못하였으며, 서재필은 어떤 사람의 간섭도 받지 않고 전적인 권한을 행사하여 신문을 제작하였다.
) 정진석, 「인물 한국 언론사」, 나남, 1995, p51
이러한 점에서 「독립신문」은 관보라기 보다는 창간을 위해 정부에서 돈을 빌려썼다 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독립신문」은 최초의 민간 신문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한글을 전적으로 채용하였다. 한문을 제쳐놓고 한글만으로 일체의 기사를 썼다는 것은 우리 민족의 자아를 되찾고 이를 확립한 역사적인 전환을 이끌어 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또한 글귀를 띄어 써서 문체의 새 스타일을 만들어 냈다는 점 역시 창조적인 면을 보여준다.
셋째, 언문일치를 꾀한 점이다. 종래에는 말과 글이 동떨어져 읽기와 알아듣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우리말과 글이 하나가 된 언문일치의 새 문장을 창조해 냈다는 점에서 국문학 사상 획기적인 일이었다 할 수 있다.
넷째, 논설란을 새로 마련한 점이다. 사설이라고도 불리는 논설은 보도와 논평을 그 주된 기능으로 삼고 있는 신문에 있어서 빠져서는 안될 중요한 것이다. 민간 신문시대의 신문은 모름지기 논설이 없을 수가 없다는 본보기를 제시하였다.
다섯째, 당파를 초월한 엄정한 중립주의를 확립한 점이다. 시시비비로 사실을 사실대로 그리고 엄정한 비판주의로 나와 민간신문의 걸어갈 길을 똑똑히 밝혀 놓았다.
여섯째, 신문기자도(新聞記者道)를 확립한 점이다. 금권이나 권력에 조금도 꺾이지 않았고 또 아부도 하지 않았다는 점은 현대 언론들이 본받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독립신문」은 민간신문의 선구자적 소임을 충분히 이행 실천하였을 뿐만 아니라 신문의 윤리까지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을 살펴보면, 「독립신문」은 크게 보아 정보제공, 비판, 교육계몽, 공론 조성 기능을 수행하였다. 정보제공의 기능뿐만이 아니라 이전의 신문보다 사회의 감시자로서, 비판자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공론을 형성하여 정부에 대한 견제와 올바른 민주주의를 실현하려 했다.
「독립신문」은 우리 나라의 여러 분야에서, 특히 언론학계에 있어서 아주 큰 중요성을 갖는다. 그 중요성은 「독립신문」의 창간 당시뿐만 아니라 오히려 오늘날에 있어서 더 큰 의미를 갖는다 하겠다. 언론의 각종 비리 사건 연루와 더불어 "일부 언론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라는 언론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현대 언론계에 있어서, 「독립신문」은 오늘날의 귀감으로서 되새겨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단행본>
서정우 외, 「신문학 이론」, 박영사, 2001
정진석, 「인물 한국 언론사」, 나남, 1995,
정진석, 「한국 언론사」, 나남, 1990.
이상철, 「신문의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독립신문」, 초판 논설
<논 문>
양소영, <개화기의 서재필 사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유 훈, 「독립신문」에 나타난 '언론 자유' 개념의 성격에 관한 연구, 고려 대학교 신방과
석사 학위 논문
김영희, 「독립신문」 발행주체의 언론사상, 언론과 사회 통권 제 14호, 1996.

http://www.hallym.or.kr/~kdcp/soc-articles/SeoJP.htm 「다시 생각하는 인물 송재 서재필」
http://orgwin.joins.com/199912/win55036.html 월간중앙 1999년 12월호
http://kst.netian.com/pch0004.htm 「서재필의 개화사상」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2.12
  • 저작시기200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41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