맷돌방아노래와 해녀노래를 통해서 본 제주도 노동요 연구(지리학적, 여성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맷돌방아노래와 해녀노래를 통해서 본 제주도 노동요 연구(지리학적, 여성학적 관점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한국의 민요와 제주도 여성 노동요에 관하여

2.본론:
1) 제주도 노동요의 분류
2) 맷돌•방아노래
1. 배경
2. 전승, 전승자
3. 창법
4. 제재
5. 내용 및 표현
6. 맷돌 방아 노래의 사례
7. 요약
3) 해녀노래
1.배경
2.전승, 전승자
3.창법
4.기능
5.내용
6.표현
7.해녀노래의 사례
8.요약
4) 해녀노래와 맷돌방아노래를 통해 본 제주도 여성 노동요의 의의

3. 결론: 제주도 여성노동요의 의의와 가치에 관하여

본문내용

1.서론: 한국의 민요와 제주도 여성 노동요에 관하여
민요는 민중의 노래이다. 민요는 민중들이 자신들의 일상적인 삶을 통해서 불러 온 노래이며, 창자 자신들의 삶과 분리되지 않는 그들 생활 속의 노래이다. 이는 생활의 필요에 따라 생성되고 존속되었으며, 민족적으로 지역적으로, 계급적으로 그 고유성이 강하게 유지되는 구비 문학의 장르인 동시에, 다른 민족 혹은 문화의 영향을 받지 않았기에 가장 민족적 고유성을 잘 간직하고 있는 장르이기도 하다. 그리고 민요의 하위 범주인 노동요는 민중들이 일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를 말한다. 여기서 이들이 일을 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것을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함이다.민중의식이 적극적으로 투영된 민요는 주제가 개방되어 있는, 우리의 생활을 대상으로 한 노래이다. 민요는 그 향유층의 생활과 풍습 그리고 사상과 전통들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다는 점에서 그 향유층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근간이 된다. 또한 한국의 민요는 민중들의 생활과 감정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대중적인 문화적 자산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오늘날 전통의 문화적 수요가 고갈되어있는 상황에서, 우리가 더욱 소중하게 보존해야 할 문화적 유산으로 평가된다.앞서 언급했듯이 민요의 주제는 매우 광범위하며, 그 하위 장르인 노동요가 포괄할 수 있는 영역도 매우 넓은 것이 사실이다. 본 조에 할당된 주제는, 노동요 중 농업 노동요를 제외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조는 농업 노동요가 아닌 여러 노동요들 중에서 수산업 관련 노래를 연구하던 중, 지난 보고서 때 준비했던 작품 중 하나였던 ‘세경본풀이’가 그 지역적 특성상 보다 적극적인 여성성이 드러났다는 결론을 맺었던 것과 관련하여 제주도의 여성 노동요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했다. 따라서 처음에는 제주도에만 존재하는 대표적 여성 노동요인 해녀노래만을 조사하려 했지만, 실제로 전승되어 오는 제주도 여성 노동요 중 가장 많은 양을 보이고 있는 맷돌방아노래를 함께 알아보기로 했다. 이는 이 둘을 함께 연구함으로써, 육지와 분리되어 있는 섬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고기잡이가 생업의 중심이 되고, 또 논이 거의 없기에 밭농사가 주류를 이루게 된다는 점에서 제주도의 공간적 특성이 그들의 노동에 끼친 영향을 보다 포괄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결국 본 조는 공산노동요의 하위 장르인 맷돌방아노래와, 수산노동요의 하위 장르인 해녀노래를 제주도의 여성노동요라는 관점에서 함께 바라보기로 결정했다.제주도는 중세와 근세에 걸쳐 조정으로부터 천시를 받던 유형의 섬으로, 남쪽바다로부터는 왜구를 막는 버팀목으로, 또한 말과 감귤과 전복 등의 진귀한 공물담당 지역으로, 파란이 많은 역사를 가진 섬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민중들이 겪어야 했던 많은 노동량에 따른 고통은 당연한 귀결이었기에, 제주도민들은 생활과 노래와 더욱 밀착하게 되었다.그리고 제주도의 지리학적 특성은 제주도 여성들의 보다 적극적인 성향에도 영향을 주었다. 생업이 고기잡이라는 특성상 멀리 배를 타러 나간 가장이 비명횡사하가 잦기에 실제 여성이 가장이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해녀들 역시 육지의 논농사에 종사하는 이들과는 달리 목숨을 걸고 일을 하기에 보다 담대해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농업에서도 밭농사가 중심이 되었기에 여성이 보리를 찧고 쪼개는 일에 절대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여자가 많았고, 또 그녀들이 주요 노동에 남성 못지 않게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기에 우리가 제주도의 노동요를 여성학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것이다.
본격적으로 맷돌방아노래와 해녀노래를 알아보기 전에, 먼저 남성 노동요와 구별되는 여성노동요와 육지 노동요와 구별되는 제주도의 노동요에 관해서 간략히 알아보려 한다.남성 노동요와 여성 노동요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지적된다. 첫째, 노동의 고통과 보람에서 보면 여성 노동요는 남성노동요보다 노동을 힘겹고 어려운 것으로 표현하고 있고 노동의 보람도 나타나 있지 않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7.02.16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948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