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에게서 소년에게(최남선)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해에게서 소년에게 원문

2.시어 및 시구 풀이

3.핵심정리

4.작가 최남선에 대하여

5.이해와 감상

6.연구 문제

7.신체시(新體詩)에 대하여

8.신체시의 과도기적 성격

본문내용

다.
③ 개화 가사와 창가가 가지고 있던 정형적인 율조를 깨뜨리고, 근대적인 자유시로서의 새로운 면모를 보인다. - 자유시 탄생의 모태가 되었다.
④ 민족 사상의 고양, 소년의 기개와 포부 등 민족주의의 선양과 계몽을 주된 내용으로 하였다.
⑤ 신체시는 창가(唱歌) 가사와 근대시의 과도기적 형태이다.
(7) 주요 작품
① 해(海)에게서 소년(少年)에게 : 1908년 최남선. 1908년 <소년>지 창간호 권두에 실린 작품으로 순결하고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소년에 대한 찬양과 기대를 통해, 구시대의 잔재를 청산하고 새로운 질서와 창조를 열망하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최초의 신체시이다. 당시의 사람들은 '신체시(新體詩)’또는 '신시(新詩)’라고 불렀다. 4·4조나 7·5조, 또는 6·5조 등의 창가 형식을 깨뜨리고 완전한 자유시의 형태로 등장했다는 데에 문학사적 의의가 크다. 한국 근대시의 최초의 모습으로 평가되는 그 일부를 옮기면 다음과 같다.
② 구작 삼편 : 최남선 작
③ 꽃 두고 : 최남선 작
④ 막은 물 : 최남선 작
⑤ 우리 영웅 : 이광수 작
(8) 용어의 유래
'신체시(新體詩)'라는 명칭은 일반적으로 일본의 명치 시대에 동경 대학 교수들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신체시초(新體詩抄)>(1883)에서 온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 책은 5편의 창작시와 14편의 영미시의 번역을 수록하고 있는데, 동경 대학 교수들이 중심이 되어 간행했던 <동양학예잡지(東洋學藝雜誌)>(1881.10)에 이미 발표했던 작품들을 손질하고 몇 편을 더하여 서구의 우수한 시를 소개함으로써 재래의 진부한 시문학을 일신하자는 의도로 묶어 간행한 것이다.(시가혁신운동)
<신체시초>의 '신체'란, 편집책인 井上(정상)이 명명한 것으로 구체시(舊體詩), 즉 한시(漢詩)나 화가(和歌)를 의식해서 지은 명칭이라고 한다. 신체시가 'poetry'에 해당하는 개념에서 비롯된 것임은 <신체시초>의 권두 범례가 밝히고 있다.
일본의 신체시가 형태상으로는 구태의연한 7·5조(일본 전통시가의 율조)를 답습하고 있으면서도 굳이 '신체'라 한 까닭은 일단 기본율조는 7·5조로 하되, 그 밖에 6·6조 같은 새로운 율격을 시험해 보겠다는 포부라든가, 혹은 옛체 장가(長歌) 가 5·7조의 줄글로 이어지는 데 비하여, 신체시는 7·5조로 하되 6구 1연으로 분절했다는 점, 새 시대의 서구 취향에 맞는 참신한 제재를 선택했다는 점, 박력 있는 시풍을 건설하겠다는 취지 등에서 찾고 있다.
일본의 명치 시가는 <신체시초> 간행 이후 <신체시사(新體詩歌)>, <명치신체시선(明治新體詩選)>, <신체시학필휴(新體詩學必携)>, <신체시선(新體詩選)> 등과 같이 '신체시'라는 명칭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우리의 경우 '신체시'라 하면 육당의 "해에게서 소년에게"(<소년> 창간호)로부터 "구작삼편"(<소년> 제2권 4호), "꽃 두고"(동 제2권 5호), "막은 물"(동 제2권 6호) 및 춘원이 '孤舟(고주)'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우리 영웅"(동 제3권), 그리고 현상윤, 김여제 등 1910년대 초에 발표된 일련의 시편들을 지칭한다.
그러나 이 '신체시'라는 용어는 당시의 신문이나 잡지에서 1910년대는 물론, 1930년대까지도 간혹 '신체시' 또는 '신시', '신시가', '신체시가'라는 표제 아래 작품을 모집한다거나 싣고 있어 그 당시에 일정한 시가 장르를 의식하고 그렇게 불렀다기보다는 옛 시가형에 대한 새로운 시가라는 뜻의 범칭으로 사용했었던 듯싶다.
다만, 최남선 자신이 그 장르 규정을 위해서 '신체시가'라 했던 점을 참고한다면 지금에 와서 그 장르명은 '신체시'로 부르는 것이 좀더 타당하다 할 것이다.
신체시의 과도기적 성격
최남선(1890-1957) 「해에게서 소년에게」 비정형률의 시로 근대시 발전에 일정하게 기여. 1906년. 내용과 형식 다 진정한 현대성을 갖추지 못했다.
① 최남선은 신문학기에 제기된 시대적 문제들을 자기 작품 속에 한층 더 심화시키면서 근대적인 인간상을 형상화하였다.
② 최남선의 신체시인 '해에게서 소년에게'는 그러한 근대적 가치 인식을 심화시킨 작품이며, 계몽기의 시대적인 문제를 적절히 반영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③ 최남선은 '해에게서 소년에게'에서 서구의 신문물이 밀려드는 형상을 거센 파도로 상징화하였고, 전통적으로 계승되어 온 봉건적 제도를 비판하고 이를 혁신해야 할 필요성을 남성 화자의 당당한 어조로 제시하였다. 즉, 새 시대를 창조하려는 계몽 사상을 새로운 시형으로 표현한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2.22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9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