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rd of the flies(파리대왕)에 대하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Lord of the flies(파리대왕)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Setting and Author

2.Character

3.Summary

4.Analysis

5.Theme

6.Symbols

본문내용

무엇을 언제 어떻게 얻는가"(Who gets what, when, and how)의 문제로 보았고, 이스톤(David Easton)은 정치란 "사회적 가치의 권위적 배분"(authoritative allocation of values for a society)이라고 했다. 즉 정치 현상이란 한정된 자원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의 문제와 직결되는 것이다.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골딩(William Golding)의 『파리대왕』(Lord of the Flies)이라는 작품은 바로 이러한 희소 자원을 둘러싸고 그것의 점유를 위해 경합을 벌이는 인간 사회의 모습을 무인도라는 한정된 공간 속에서 극명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 이야기는 소년 군사학교의 일군의 소년들이 무인도에 표류하게 되면서 시작된다. 즉 이들 소년은 무인도라는 고립된 환경 속에 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고립'이 의미하는 바는 두 가지 이다. 우선 공간적으로 외부 세계와 격리되어 있다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문명(civilization)과의 차단인 것이다. 이러한 상황 설정은 홉스(Thomas Hobbes)가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상태"라고 표현한 자연 상태가 재현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작품은 원시적 형태의 권력과 정치에 대해서 많은 것을 상상해 볼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정치와 권력의 원시적 형태라는 것은 그 형태의 단순성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원형(prototype)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정치 및 권력에 대한 본질적 이해에 있어 매우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에는 두 명의 정치적 카리스마를 지닌 인물이 등장하는데, 한 명은 합리성을 지향하는 Ralph라는 소년이며, 다른 한 명은 충동적 성향을 지닌 Jack이라는 소년이다. 이러한 반대적 성향 때문에 둘은 서로 어울리지 못하고 각자의 세력을 구축하게 되며, 이때부터 문명을 유지하려는 세력과 야만성을 지향하는 세력이 대결 구도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이들은 이미 문명 세계로부터 차단된 상황임을 고려해 볼 때 문명 지향적 가치관을 지니고 있는 Ralph 세력의 패배는 이미 예정된 것이나 다름없었다. 결국 Jack은 Ralph 세력의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자신의 세력 하에 포섭하게 되는데, 이는 Jack의 승리라고 보아도 무리가 없다. 그렇다면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분명해진다. 즉 Jack은 '어떻게' 세력을 확장할 수 있었는가 하는 점이다. 정치에 있어 항상 최우선의 문제는 가치 배분의 문제라고 재차 언급한 바 있다. 이러한 가치들 가운데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바로 생존과 직결되는 가치, 즉 '먹는 것'과 관련된 가치라는 점은 분명하다. Jack이 그의 세력을 확대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멧돼지 사냥을 통해서 이 생존의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이다. 물론 Ralph도 생존의 문제를 도외시 한 것은 아니지만 그가 우선적으로 관심의 대상에 둔 것은 구출의 문제였지 당장의 생존의 문제는 아니었다. 그렇다고 해서 Ralph가 현명하지 못했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그의 합리적 판단에 모두가 동조해 주었더라면 구출의 시기가 앞당겨졌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지배의 문제에 있어서 관건이 되는 것은 '지배' 그 자체라기보다는 오히려 '복종'의 문제임을 상기할 때, Ralph의 패배 원인은 그의 합리성이 아이들의 '자발적 복종'을 유도하는 기재로 작용하지는 못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Jack의 경우 자발적 복종을 유도하는 정치적 기술들(political arts)을 지니고 있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권력의 미란다(miranda)와 크레덴다(credenda)이다. 권력의 미란다란 정서적·비합리적 측면에 호소하여 권력을 웅대하고 감탄할만한 것으로 미화시키는 측면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동일시의 상징들(symbols of identification)이 사용된다. 반면 권력의 크레덴다란 이론이나 신조 체계 등의 지적·합리적 요소, 즉 합리화의 상징들(symbols of rationalization)을 이용함으로써 그 권력의 정당성 및 권위를 획득하려는 것을 뜻한다. 즉 단순한 강압은 사람들을 외적으로만 복종시킬 뿐이지만 권력의 미란다와 크레덴다는 내면으로부터의 자발적 복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Jack은 자신의 얼굴 및 자신의 집단 성원들의 얼굴을 피로 장식하는데, 이는 칼 슈미트(Carl Schmitt)의 표현을 빌리면 "동지와 적의 구별"(die Unterscheidung von Freund und Freind)이다. 즉 그는 동일시의 상징을 통해 자신의 권력 체계를 미화한 것이며, 이는 곧 권력의 미란다적 속성과 통한다. 또한 아이들 사이에서 섬에 괴물이 있다는 소문이 퍼지자 Jack은 이것 역시 정치적으로 이용한다. Jack은 괴물이 있다는 동굴 앞에 돼지 머리를 나무 작대기에 꽂아 놓고 동요하는 소년들에게 괴물의 존재를 상기시키면서 공포심을 조장해 자신의 체제를 정당화해 나갔던 것이다. 즉 Jack은 괴물이 존재한다는 것과 관련한 일종의 신조 체계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한 것이며, 이는 바로 권력의 크레덴다적 측면을 나타내준다.
오늘날 우리가 몸담고 있는 사회는 복지국가(welfare state)를 지향하고 있으며, 국민의 최저한의 문화생활은 국가에 의해 보장받고 있다. 그런데 만약 사회 구성원들에게 있어서 생존권을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까. 베버(Max Weber)는 유물론(materialism)을 부정했지만 '생존을 위한' 것들이 충족되지 못한다면 베버가 주장하는 인간의 주체성이라는 것도 사실상 기대하기 힘들다. 또한 인간의 욕구는 무한하다는 점에서 사회에 가치가 존재하는 한 정치 현상은 지속될 수밖에 없으며, 가치가 부재하는 사회는 이미 사회가 아니라는 점에서, 이는 곧 사회가 있는 곳에는 필연적으로 정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치는 권력과의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그 권력의 유지·확대 및 재생산이라는 문제와 결부되어 다양한 양태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7.05.01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57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