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퍼거 증후군과 사회성 발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스퍼거 증후군과 사회성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AS의 전반적 특징(사회, 운동, 감각, 학업적 등)

2. AS의 사회성발달의 주요 문제

3. AS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본문내용

사회적 파트너의 반응을 평가하고 잠재된 미래반응들을 획득하기 위해 보다 정교한 관찰과 의사소통을 발달시킨다.
상호 조절력 Co-Regulation
Fogel(1993)에 의하면, 상호 조절은 참여자들이 지속적으로 그들 파트너가 실행하고 있고 예측되는 행동들을 변경하는 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스크립트에 의존하기 보다, 상호 조절된 교류의 사회적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정보들에 기초한다. 상호 조절력은 사회참조와 함께 혼란, 부정적 느낌을 갖거나, 협력을 증가시키고 사회적 파트너의 관심과 흥미를 첨가하면서 발생한다. 즉, 사회적 파트너와 흥미있고 상호적인 만족의 상태로 끌어올려 상호작용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형적 발달에서, 아동들은 처음 6개월 동안은 거의 또는 전혀 나타나지 않지만, 그 이후부터는 부모가 점차적으로 가르치며 아동에게 요구하고 상호교류의 협력을 유지하기 위한 점차 큰 책임을 가지도록 한다. 2세 경에는 양육자와의 간단한 상호작용으로 상호 조절함으로써 동등한 파트너가 된다(Slade, 1987). 다음은 사회참조와 상호 조절의 상호교차에 대한 몇 가지 예시이다.
- 좋아하는 게임을 하는 동안, 나는 내 친구들이 하품하고 산만하다는 것을 알았다. 나는 그에게 “지겨워졌니?”하고 물었고 그래서 그는 새로운 게임을 선택하자고 제안하였다.
- 아내와 밖에서 조깅을 할 때, 나는 그녀가 숨차하고 피곤해하는 것을 알았다. 나는 “천천히 갈까?”하고 물었고 그래서 그녀가 보다 편안해 질 때까지 내 페이스를 줄였다.
- 내 동생과 잡기놀이를 할 때, 나는 그가 공을 잡기 어려워하는 것을 알았다. 나는 “내가 너무 세게 던지니?”하고 물었고 가까이로 가서 내가 던지는 것 대부분을 잡을 수 있을 때까지 부드럽게 던졌다.
경험 나누기는 어떻게 발달하나? How Does Experience-Sharing Develop?
경험 나누기 관계성의 전형적 발달에 대한 문헌리뷰를 통해, 우리는 본질적으로 반복하여 강조되는 6개의 주요 요소로 축약할 수 있다.
(1) 발달적 과정: 경험 나누기 기술은 발달적 맥락에서 학습되는 것으로, 보다 복잡한 기술을 간단한 변형을 통해 가능하다. 이는 보다 변화무쌍한 상대방에 대한 기초를 형성하는 아직 발달되지 않은 기술로 단계적 진행(step-wise progression)이다.
9개월의 유아는 어떤 것이 안정되게 진행되는 것인지 알기 위해 엄마의 얼굴표정을 참조한다. 12개월 아동은 숨바꼭질(hide and seek)에서 어른의 행동을 참조한다. 24개월 여아는 지각 나누기를 위해 확실하게 자기와 협력하는 파트너를 참조한다. 5세 남아는 공통성을 느끼기 위해 또래의 느낌과 생각을 참조한다.
(2) 보다 경험있는 성인이 이끄는 참여: 처음에 “가이드”와 “참여자” 두 역할을 모두 하는 보다 능력있는 성인에게 교수 받는 것이다. 특히, 부모들은, 일차적 사회적 파트너로 기능하고 있으며, 다양하고 새로운 교류를 증가시키기 위한 그들의 행동을 조심스럽게 관찰하고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 점차적으로, 아동은 동등한 파트너와 상호 조절하게 된다.
(3) 상호 이해할 수 있는 구조: Fogel(1993)은 교감구조(consensual framework)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경험 나누기에서의 행동들의 구조를 설명하였다. 부모들은 교감구조를 형성하거나, 아동에게 혼란을 주지 않는 만족스런 구조로, 새롭고 다양하게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형성한다. Framework는 새로움과 다양성을 부가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반복성과 일관성으로 인식된다. 까꿍놀이가 이러한 경우이다. 까꿍놀이는 숨고 다시 찾는 반복적 테마의 일상적 문화로 인식된다. 이 게임은 예상할 수 있는 것이며, 참여자 상호간에 이것을 변형하고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새롭게 창조되기도 한다.
부모들은 숨기도 하고 보는 사람이 되기도 하여 역할이 변한다. 한 명이 어떤 도구로 얼굴을 가릴 수도 있고, 상대방의 얼굴을 가릴 수도 있다. 숨고 찾는 타이밍은 돌고 돌아 변할 수 있다. 어떤 때에는 한 명이 사물 뒤에 숨어 있다고 갑자기 뛰어 나오며, 물건 위, 옆, 아래를 넘어서 뛰어날 올 수 있다.
(4) 간단하고, 산만함이 없는 환경: 경험 나누기 기술은 처음에는 산만한 것이 없고, 간단한 환경에서 학습되어야 하며 점차적으로 더욱 복잡한 장면에서 실행된다.
Eckerman, Whatley, and Kutz(1975)에 의해 제시된 연구에서, 10-12개월된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사물이 실제로 방해가 된다고 강조하였다. 그들 연구에서 10-12세 유아 쌍들이 놀이방 안에 장난감이 있을 때와 없을 때를 관찰하였다. 장난감이 보다 더 사물 중심적 접촉을 이끌었고, 장난감이 소용없을 때 유아들은 더 자주 다른 친구들과 접촉하고, 웃고, 제스츄어를 보이고 서로의 행동을 따라 하였다.
(5) 과장되고 강조된 의사소통과 행동: 성인은 가르치고자 하는 중요한 의사소통이나 행동을 과장하고 강조하여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성인들은 의식하지 않고 아기들에게 정서적 표현을 과장하고, 말을 더 잘 이해되게 하고, “주목을 끌게”하고 강조하며, 어떤 단어나 행동에서는 유아들의 주의가 벗어나지 않길 원한다. 성인들은 또한 필요없는 말을 하며, 의례적인 방법으로 아동이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두드러진 양상으로 보다 쉽게 고를 수 있도록 한다.
(6) 동등하게 어울리는 또래 파트너: 성인에게서 적합한 또래로, 간단한 것에서 보다 복잡한 상황으로 점차적으로 옮겨간다. 아동이 준비가 되었을 때, 보다 능력있는 또래를 통한 동기부여와 상호작용에 긍정적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보다 능력있는 또래는 지겨워하거나 보다 복잡한 상호작용을 원하면서 동등한 관계에서 벗어나게 된다. 아동들은 보다 동등한 사회적 파트너로써 성인과 기능하는 것을 배우고, 알맞은 또래 및 다른 유형의 사회적 파트너쉽을 가지는 또래와 호혜적 상호작용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다. 집단을 통해 보다 크고 복잡한 사회적 맥락에서 다양화된 관계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배우는 의미를 아동들에게 제시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5.09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8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