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축제 및 나아가야 할 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축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축제의 개념과 특성
2) 축제의 역할과 기능

2. 축제이 유형
1) 참여의 축제
2) 재현의 축제


< 2장 >
1. 축제의 사례
1) 지역특화산업진흥과 이천도자기축제
2) 지역경제활성화와 금산인삼축제
3) 문화예술진흥과 춘천인형극제
4) 지역특성화와 무주반딧불축제
2. 지역축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의 공간을 통하여 문화지향가치를 창출해 나가고 그 현실의 공동체를 미래 지향적인 상상의 공동체로 만드는 것은 또 하나의 축제 운영임을 명심하자.
둘째, 축제의 성격을 분명히 해야 한다.
아무 특징이 없는 학예회 수준의 행사를 벌려 놓고서 축제라고 우기는 일이 없어야 하겠다. 백화점식 축제나 체육관식 축제 그리고 운동회식 축제 또는 문화엘리트를 위한 축제에서 민중적이고 역사적이며 생활과 유리되지 않는 축제를 기획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어떤 성격의 축제로 만들 것인가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지역축제의 경우에는 마을 잔치의 유희적 성격으로 할 것인지 관광과 연계한 대외적인 행사형으로 할 것인지 또는 제의적 성격으로 할 것인지를 먼저 규정해야만 한다. 예컨대 전통적인 축제인가 현대적인 축제인가 또는 관광상품화가 가능한 축제인가 지역주민의 잔치 성격의 축제인가를 냉정하게 분석하고 점검한 다음에 장기적으로 축제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생각해 볼 점은 지역성을 어떻게 살리느냐 하는 점일 텐데 이 점은 기획자들의 기획능력과 운영에 달려 있다고 해도 틀리지 않다.
셋째, 관(官)은 축제를 지원해야 하지만 축제에 간여하거나 축제를 통제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 문화정책의 제일원칙이 축제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축제의 문화자치는 문화향유권과 문화평등권을 보장하는 기본원리 중의 하나인 동시에 축제의 정통성을 확보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넷째, 축제 운영자들의 독선을 제어할 장치가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축제 운영자들은 지역의 문화 토호(土豪)인 경우가 많다. 문화나 축제 발전에 방해가 되는 위인들이 나서서 축제를 주관한다고 했을 때 파생되는 문제는 심각해진다. 축제를 권력화하고 축제를 자신의 명예나 대외적 홍보의 장으로 이용하려는 경우까지 생길 수도 있다. 특히 관료나 정치가들이 축제를 이용하려 한다면 그 축제는 머지 않아서 의의를 상실하고 말 것이다.
다섯째, 지역축제는 기획과 운영도 중요하지만 문화예술 전문가가 아닌, 주민들의 아마추어 정신이 중요하다.
이 경우 전문 문화예술 단체의 조언과 지원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아마추어의 맑은 정신과 전문가의 전문성이 결합하는 축제야말로 축제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관건이라고 본다.
여섯째, 신흥도시의 축제는 구성과 기획을 치밀하게 준비해야 성공할 수 있다.
축제에 성패(成敗)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훌륭한 축제와 그렇지 못한 축제가 있다면 신도시에서 이루어지는 축제는 기획상품과 같은 성격을 가질 수밖에 없고 그러한 기획력과 열정이 축제를 성공시키는 열쇠임은 당연한 것이다. 성격이 무분별한 프로그램을 나열하는 일과성 행사의 축제구성은 의미도 없을 뿐만 아니라 무조건적인 실패를 예비(豫備)하고 있는 아주 위험한 발상이니 각별히 유의할 필요가 있겠다.
일곱째,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축제의 의의와 결과를 가늠한다고 볼 수 있는 것으로써 냉소적인 주민들을 어떻게 냉소적이지 않도록 유도하고 나아가 축제의 중심으로 끌어들이느냐 하는 점이다.
이것은 사실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모든 주민들이 다 참여하는 축제는 세계 어디에도 없다. 그러므로 참여까지는 아니더라도 냉소적이거나 배타적 공격성을 가지지 않게 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본다.
여덟째, 재정의 확보와 집행이 공정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투명하게 집행되어야 한다.
대다수의 축제는 재정문제로 갈등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은 축제 구성원들의 폐쇄성과 배타성이 빚어내는 폐단임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재정 확보에는 여러 방법이 있을 것인데 축제 자체에 수익성이 없는 경우와 수익성이 있는 경우를 분리해서 생각하고 관의 지원 유무도 중요한 고려 사항이며 특히 집행하는 구성원들의 고결한 도덕성은 축제의 신뢰를 가늠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지역 축제의 상품화및 지역 정체성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어떤 자원과 상징을 이용하는가가 매우 중요한 듯 하다. 자연환경, 조형물, 역사적 사건과 인물, 음식 그리고 문화 행사와 민속 행사 등이 바로 그 구체적인 내용들이다. 근래에 지방 자치제의 실시에 따른 현실적 필요와, 문화 산업론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결합하여 축제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근 현대사에서 축제는 매우 미묘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수없이 많은 축제를 갑작스레 접해서 어느 지역에 어떤 축제가 어떻게 활성화 되어가고 있는지 조목조목 생각나지는 않는다. 각각의 축제가 의미를 갖고 있지만 나 또한 큰 규모의 전통성 있는 축제부터 머릿속에 남아있으니 이 또한 문제인 듯 싶다. 우리 지역만의 축제를 알고 그 틀 안에서 즐기기보다는 좀더 활성화시켜 우리나라의 많은 축제를 접해보면 좋을 듯 하다.
< 참고문헌 >
1. 김흥우/ 한국의 놀이와 축제/ 집문당/ 2002 (p.110~p.114, p.180~p.189)
2. 이송미/ 한국의 축제/ 성하출판/ 1999 (p.90~p.93, p.111, p.255~p.256, p.229~p.230)
3. 이상일/ 놀이문화와 축제/ 성균관대학교 출판사/ 1998, (p.157~p.165)
4. 문화저널/ 진정한축제, 살아숨쉬는 축제를 만들자
5. 장 뒤비뇨/ 축제와 문명/ 한길사/ 1998
6. http://www.showkorea.com/(축제에 관련된 행사, 기획, 자료들을 찾아볼 수 있다.)
7. http://mnum.mokpo.ac.kr/ruslee/class/지역축제.htm(축제의 정의가 제시되어 있다.
8.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3&docid=153096
(축제의 정의, 축제의 의의, 축제의 종류, 축제의 미래)
9. http://www.citf.or.kr/korean_htm/main.htm (춘천국제연극제)
10. http://www.ceramic.or.kr/claudio/list.php?id=material(이천도자기축제)
11. http://www.firefly.or.kr/(무주반딧불축제)
12. http://insamfestival.co.kr/festival/introduce/list.php(금산인삼축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5.29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8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