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과의사결정]하이브리드카 전망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영과의사결정]하이브리드카 전망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미국 하이브리드카 시장의 급성장과 그 원인
(1) 고유가로 인한 하이브리드카의 판매량 급증
(2) 자동차메이커들의 하이브리드 모델 확대

2. 기술적 배경 및 각국의 친환경차 개발 지원정책
(1) 하이브리드카의 개발배경
(2) 정부의 친환경차 지원정책

3.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해외 기술개발 현황
(2) 국내 개발현황 및 관련 부품업체 현황

4. 국산 하이브리드카 산업의 성장가능성 점검
(1) 채산성 문제로 인해 양산은 시기상조
(2) 가격대비 연비효과는 아직 디젤차가 우수함
(3) 선두업체 대비 기술 및 품질경쟁력 열세
(4) 특허분쟁의 가능성은 잠재적 위험요인
(5) 부품업체는 수출로 활로모색 가능

5. 향후 과제
(1) 공동연구 및 기술제휴 활성화
(2) 정부의 구체적인 지원방안이 시급

본문내용

하이브리드용 유성기어에 대한 기술도 부족한 상황이어서 부품을 국산화하려면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결국 핵심부품에 대한 기술력 부족으로 부품수입이 불가피한 상황이어서 덴소, 아이신 등 핵심 부품업체를 자회사로 보유한 도유타 등이 선두업체 대비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또한 하이브리드용 부품부족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서 부품수급에도 어려움이 많다.
(4) 특허분쟁의 가능성은 잠재적 위험요인
하이브리드카를 적절한 가격에 양산하게 되더라도 하이브리드 시스템 제어기술(Hybrid Control System)에 대한 특허분쟁 가능성이 있다. 대다수의 하이브리드 제어시스템관련 특허를 도요타가 갖고 있는 상황에서 국산 하이브리드카가 양산을 시작하면, 본격적으로 특허분쟁이 시작될 전망이며, 근본적으로 초기에 적자를 감수할 수 밖에 없는 하이브리드카 산업구조에서 특허문제는 후발업체에게는 또다른 부담이며 결국 투자비를 손해보고 사업을 포기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즉 핵심부품을 모두 국산화함 하더라도 전체 하이브리드 시스템제어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면 하이브리드카 시장에서 생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결국 국산 하이브리드카를 양산하기 위해서는 독자적인 하이브리드 제어기술을 개발하거나 포드처럼 도요타의 기술을 도입하는 방법 밖에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 5] 국산 하이브리드카 경쟁력 분석
(5) 부품업체는 수출로 활로모색 가능
하이브리드카용 배터리나 인버터, 전기모터 등을 생산하는 부품업체의 경우, 국산 하이브리드카의 양산이 지연되더라도 수출을 통한 활로모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언급한 덴소나 아이신 등의 부품업체들이 설비투자를 늘리고 부품증산을 서두르고 있지만, 하이브리드카의 수요폭증으로 인해 부품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카 업체들은 해외 아웃소싱을 추진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국내 부품업체들이 기술력만 갖춘다면 수출물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5. 향후 과제
(1) 공동연구 및 기술제휴 활성화
특허출원(미국) 건수로 기술 경쟁력을 따져보면 일본 업체는 4곳이 100위권에 등재됐지만, 한국은 한곳도 들지 못하고 있다. 비단 하이브리트카 뿐만아니라 자동차산업 총체적인 기술경쟁력이 열세인 상황이다.
최근 IQS(초기품질지수)에서는 소나타가 선두를 달리는 등 선전하고 있지만, VDS(내구성 품질지수)는 여전히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으며, 고성능 엔진 및 고연비 엔진개발 기술에서도 선두업체와의 격차가 많이 벌어져 있다.
도요타 프리우스의 손익분기점이 10만대 이상이었음을 감안할 때, 2010년쯤에야 본격적인 양산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 국산 하이브리드카의 미래는 현재 상황에서 밝지 않아 보인다. 그때쯤 되면 이미 선두업체들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현재의 독자개발에서 탈피하여 해외업체와의 기술제휴(도요타는 한국 자동차메이커를 견제하고 있으므로 제휴가 힘들것으로 보이며, 유럽이나 미국업체와의 협력이 될 것임)를 통해 하이브리드카의 양산시점을 앞당기고, 한편으로는 차세대 연료전지자동차 개발에 투자를 더욱 늘려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정부의 구체적인 지원방안이 시급
디젤차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소음은 줄어들고 연비는 갈수록 좋아지고 있다. 이는 하이브리드카 입장에서는 위험요인으로 현재 국내 기술수준으로는 연비 측면에서 디젤차와의 차별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프랑스와 같이 하이브리드카와 디젤차의 가격 차이분의 20%를 지원해 주는 등 정부의 구체적인 지원방안이 필요하며, 친환경차에 대한 지원금의 규모도 확대시켜 기술력 면에서 뒤떨어진 국내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6.15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50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