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교육사상의 전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학교육사상의 전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학사상
1) 실학사상
2) 실학의 대두 배경
3) 실학의 학문적 특징
4) 실학의 학문적 토대
5) 실학의 교육적 인간상
6) 실학의 교육개혁론
7) 실학사상의 한계점과 공헌점

2. 성호학파의 실학사상
1) 성호학파의 형성배경
2) 성호학파의 특징
3) 성호학파의 교육방법
4) 성호학파가 미친 영향
3. 북학파의 실학사상

1) 북학파의 이해
2) 담헌 홍대용 (湛軒 洪大容, 1731 ~ 1783)
3) 연암 박지원 (燕巖 朴趾源, 1737 ~ 1805)
4) 초정 박제가(楚亭 朴齊家, 1750 ~ 1805)

4. 정약용의 실학사상
1) 정약용의 실학사상
2) 교육의 목적 및 내용
3) 교육방법
4) 교육사적 의의

본문내용

대중교육은 학교 또는 학궁(學宮) 중심의 교육이 변모된 것으로 선량한 사람을 키우는 향교교육이다. 다산은 이 중에서도 특히 목민관이 될 목자교육을 중시하였는데 목민관은 백성을 교육시키는 데 목표가 있었기 때문에 다산에게 있어서 효제(孝悌)와 예악(禮樂), 정형(政刑)과 병농(兵農)이 교육의 내실(內實)이요 목적이라 할 수 있다.
② 교육내용
다산은 ‘사대부의 자제들이 제 나라의 옛 사실들을 알지 못하고 비록 그 학문이 고금을 꿰뚫는다 하더라도 무지를 면치 못할 것’이라고 말하며 교육내용으로 국사, 국문학, 지리 등을 중시하고 향교는 교육과정에 적어도 삼국사, 고려사, 국조편감 등 우리나라의 사료와 문헌 등을 구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다산은 교육목적의 이원화에 따라 교육내용을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 국자학 중심의 목자교육
육경사서(六經四書)를 통한 도학(道學)의 교육을 핵심으로 하고 우리나라의 역사, 지리, 문헌에 관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지식을 널리 세계에서 구하여 이용후생(利用厚生), 경세택민(經世澤民)의 실용에 보탬이 되는 교양과목을 그 내용으로 한다. 다산은 오학론(五學論)에서 당시의 성리학(性理學), 훈고학(訓學), 문장학(文章學), 과거학(科擧學), 술수학(術數學)의 해악을 상세히 지적하면서 오학을 비판하였고 이러한 학문 풍조는 학문의 본질적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오히려 사회의 병폐만 만들어낸다고 하였다. 다산은 목자교육의 내용은 단순한 수양이나 지적 호기심 또는 지적 충족이 아니라 현실사회에 건전한 도움이 되는 영지(靈知)를 발현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 향학 중심의 대중교육
교사의 선택에 의한 선택과목과 일반교과 과목으로 제시되고 있다. 교사는 경학(經學)을 중심으로 하되, 기술, 경제, 군사에 이용되는 학문을 강조하여 이용후생을 주안점에 두고 교과서를 채택해야 한다고 하였다. 다산은 사변적이고 경험 불가능한 내용의 이론서가 아니라 실제생활에서 적용되고 실천할 수 있는 삶의 원리를 제시하는 실천 윤리의 서적에 가치를 두었다. 그리고 정약용은 예(藝),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數) 등의 육예(六藝)에 근거를 둔 효제와 예악 중심의 내용을 권하였으며 육예를 통해 이론이 아닌 실제 기예를 익히도록 했다.
3) 교육방법
① 아동의 교수법
㉠ 수기치인의 인간 이해에 기초한 것으로, 생리적 존재로서의 인간차원에서 마음 또는 정신적 존재 차원으로 이끌어가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일상생활에서 접촉하게 되는 실제 사람 관계에 대한 낱말을 배우게 한 후, 자기 자신의 존재와 타인의 존재, 나아가 각 사물에 관한 낱말을 배우게 한다.
- 인간에 관한 이해는 우선 신체 각 부분에 관한 학습을 통해 육체와 감각기관을 가진 구체적 존재로 부각시킨 후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인(人), 물(物), 성(性), 정(情) 등 정신적ㆍ추상적 덕목과 개념을 학습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 아학편(兒學編)을 통해 본 교육방법
- 정약용이 기존 한자학습서가 지닌 결점을 극복하고자, 아동에게 ‘어떠한 성질’의 단어를 ‘어떠한 방법’으로 ‘어떠한 순서’에 의해 가르칠 것인가를 궁리한 후 편찬한 학습서
- 아학편의 문자교육 원리
가. 아동으로 하여금 감각기관으로 경험할 수 있고 관찰할 수 있는 유형자에 관한 개념을 먼저 학습하게 하고, 다음으로 학습자의 주관적인 판단과 이해가 요구되는 무형자의 개념을 학습시키고자 했다.
나. 아동에게 사물에 대한 일관성 있는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사물의 성격과 유형에 따라 범주화하여 유별 분류체계에 따라 문자를 학습시키고자 했다.
다. 우주내의 사물은 음양 대치적 이원형식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아동의 인지체계도 대치적 구조를 가진 것으로 파악, 사물이 가진 대립적 형식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했다.
② 청년의 교수법
㉠『소학(小學)』,『대학』등의 경서(經書)중심의 교육을 제시하였다.
- 이 교수법은 언어의 변화로서 그 의미를 단순한 것으로부터 추상적이고 복잡한 것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방식이다.
㉡ 점진적인 지적 탐구를 통해 사회와 세계를 이해하는 학습방법을 제시하였다.
- 그의 앎의 실현은 경험을 통해 후천적으로 습득되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근거는 마음과 물체가 선험적 진리에 관련된다는 주장을 거부하고 인식 주체가 헤아리고 분별한 경험의 결과로서 얻어진 것으로 보는 것에 있다. 그러므로 그의 교수법은 교육 실천적인 공능(功能)을 강조하여 탐구 방법의 원리에 초점을 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 교육사적 의의
첫째, 현대의 민주적 인간관에 근접해 있다. 즉 그는 종래의 규범적ㆍ체제 유지적인 성리학적 인간관과는 달리 개개인을 독립되고 평등하고 자율적이고 자유롭고 사회 공존적인 인간으로서 파악하였다.
둘째, 수기치인의 교육적 인간상에 기초하여 이중적 교육목적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의무교육으로서의 국민교육과 국가의 엘리트 양성을 목표로 하는 대학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현대의 이중적 교육 방향과 일맥상통하는 점에서 교육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셋째, 평등사상에 기초한 근대적인 민권의식을 토대로 교육의 효과를 높이려고 했다. 정약용은 지도자, 즉 목자의 능동적인 사회 참여를 강조하였다. 직업으로서의 학문과 그 현실적 적용의 관점에서 목자를 인정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직업인으로서의 목자는 귀족적인 신분계층이 아니라 업적 중심ㆍ능력 중심의 신분계층이다. 목자와 서민 사이에는 주종적 관계가 성립될 수 없고, 다만 교육받은 역할 기능의 차이만이 있을 뿐이다. 정약용은 고정적인 계급관을 타파하고 실용성을 고려해서 학문을 탐구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넷째, 어린이와 청년을 위한 경험적 학습방법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합리적인 사고의 틀 위에 민족의 주체성을 확립하여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자아의식을 심고자 했다. 이러한 노력은 학문연구의 방향을 시사하는 것이었으며, 민족주체사상, 평등사상, 민권의식, 진취성, 개방성, 과학기술의 정신강조, 사회윤리관 등은 현대교육에까지 그 정신이 계승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실학,   교육,   정약용,   홍대용,   박제가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6.21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61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