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놀이와 발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절 연령별 놀이 발달
1. 만 1세 이전 유아
2. 13∼18개월 유아
3. 25∼36개월 유아
4. 만 4세 유아
5. 만 5세 유아

제2절 월령·나이별 알맞은 장난감
1. 1∼3개월 아기에게 알맞은 장난감
2. 4∼6개월 아기에게 알맞은 장난감
3. 7∼9개월 아기에게 알맞은 장난감
4. 10∼14개월 아기에게 알맞은 장난감
5. 15∼24개월 아기에게 알맞은 장난감
6. 3∼4세 유아에게 알맞은 장난감
7. 5∼6세 유아에게 알맞은 장난감
8. 7∼8세 유아에게 알맞은 장난감

제3절 놀이 유형별 발달
1. 사회적 놀이와 비사회적 놀이
2. 인지적 놀이(cognitive play)
3. 가상놀이(pretend play)
4. 학자별 놀이유형 분류 방법
(1) 불러(Buhler)
(2) 파아특(Parten)
(3) 피아제
(4) 스밀란스키(Smilansky)

제4절 놀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양육태도
2. 연령
3. 또래
4. 성
5. 물리적 환경
6. 사회·경제적 계층

본문내용

한다는 것이다. 놀이감에 대해서도 아들에게는 구성놀이를 위한 놀이감이나 운동기구 등을 선물하는 데 반해, 딸들에게는 인형이나 소꿉놀이 기구 등을 선택해 준다. 그러나 오늘날에 와서는 과거보다 여성적인 장난감을 사용하는 남아가 증가할 뿐 아니라 남성적인 장난감을 사용하는 여아도 증가하고 있다.
5. 물리적 환경
물리적 환경과 놀이 행동과의 관계를 아는 것은 놀이 행동을 촉진시키거나, 유발시키기 위해서, 또는 놀이 행동을 유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물리적 환경은 크게 놀이감에 관한 것과 놀이 공간에 관한 것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① 놀이감
놀이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감의 제 요인으로는 놀이감의 종류, 놀이감의 성격, 놀이감의 양 등이 있다. 밴 알스틴(Van Alstyne, 1932)의 연구에서, 4세 반 경의 유아는 블록이나 찰흙, 크레용 등 구성적 기능을 갖는 놀이감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구성놀이 자료가 콜라쥬, 손가락 그림, 그림 그리기, 모형 만들기 등과 같은 창의적 구성놀이를 유도하고 있음을 밝힌 티자드와 그 동료들(Tizard et el., 1976)의 연구에서 볼 때 놀이감이 놀이 형태와도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입장에서 여러 가지 탈 것들과 인형들에서는 극놀이가 유도됨을 예견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화된 놀이감은 원래 가지고 있는 놀이감의 내용에 집착하게 하나 비구조환 놀이감은 보다 창의적이고 다양한 놀이 행동을 산출한다(Pulaski, 1973). 물론 놀이감이 유아에게 친숙한 것인지, 생소한 것인지도 놀이 행동과 관계가 있다. 즉 생소한 놀이감은 탐색행동의 대상이 되나 친숙한 놀이감은 말 그대로 놀이의 수단이 된다.
그 외에 놀이감의 크기도 놀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놀이감의 크기가 실물과 같을 경우 이러한 놀이감은 유아에게 가상놀이를 유도하는데, 나이 어린 유아에게 실제 크기와 같은 장난감 자동차를 놀이감으로 제공한 결과, 극놀이가 더 빈번히 출현하였다고 티자드(Tizard, 1977)는 밝히고 있다.
그러나 놀이감은 놀이에 참여하는 유아의 수에 따라 서로서로 놀이 행동이 다르게 나타난다. 루빈과 사이빌(Rubin & Seibel, 1981)은 적목놀이 영역을 설치하고 놀이에 참여하는 유아의 수를 통제하여 그에 따른 놀이 형태를 관찰한 결과, 다수의 유아가 함께 참여할 때는 가상놀이가 빈번해지나, 혼자서 적목을 가지고 놀 때는 구성놀이가 나타났다고 쓰고 있다. 그밖에 브조크런드(Bjorklund, 1979)나, 엑커넨과 왓트리(Eckerman & Whatley, 1977)도 놀이감의 수가 유아에 비해 적을 때 사회적 상호작용이 더욱 잘 일어난다고 하였다. 더욱이 놀이감의 자료가 한정되고, 한정된 자료로 인하여 유아간에 발생하는 갈등을 성인이 조절해 주었을 때 사회적 구성놀이가 출현하는 빈도는 높았으며, 초등학교 아동의 경우 놀이감의 부족현상이 규칙놀이를 유도하였다고 티자드(Tizard, 1977)는 밝히고 있다.
② 놀이 공간
놀이감과 더불어 놀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으로는 놀이 공간이 있다. 맥그로우(McGrew, 1972)는 집단의 크기를 그냥 두고 놀이 공간을 축소한 결과, 뛰는 행동은 감소한 반면, 신체적 접촉은 증가하였다고 했다. 공간에 대한 유아의 수, 즉 인구밀도를 높게 하는 것은 사회적 접촉 뿐만 아니라 주제나 극적인 상호작용을 함께 나누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스미스와 코널리(Smith & Connolly, 1976)는 공간의 넓이를 75평방 피트에서 50평방 피트로 그리고 다시 25평방 피트로 감소시키자 난투식의 놀이 행동이 감소하였다고 하였다. 따라서 공간의 크기가 고정되고 유아의 수가 증가되거나, 유아의 수가 고정되고 공간의 크기가 축소되거나 그 중 어느 경우에도 놀이 행동에 변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놀이공간의 인구밀도 뿐 아니라 놀이하는 장소가 어떠한가도 놀이와 관계가 있다. 캠벨과 프로스트(Campbll & Frost, 1978)에 의하면 그네나 시소와 같이 고정·집합적인 설비를 갖춘 전통적인 실외 유원장에서는 기능놀이가 빈번한 한편, 창의적으로 꾸며진 놀이공간에서는 상징적 놀이가 많이 일어났다고 하였다.
6. 사회·경제적 계층
유아는 놀이를 통하여 사회적 역할이나 규범, 그리고 가치를 배운다. 그러므로 놀이는 유아가 속한 사회의 특성과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런 관점에서 놀이는 문화와 사회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많은 보상 교육의 프로그램들은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유아에게 가상놀이를 조장하고자 한다. 이것은 유아의 놀이에 사회·경제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전제는 실제로 여러 연구 결과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스밀란스키(Smilansky, 1968)는 저소득층의 유아들이 상류 계층의 유아보다 놀이가 갖는 환상성(fantasy)의 정도가 낮았다고 하였으며, 로젠(Rosen, 1974)도 저서득층의 유아가 중류 계층의 유아보다 극놀이의 빈도가 적었다고 쓰고 있다.
이러한 계층간의 차이는 실내의 놀이감이 저속득층의 유아에게는 친숙하지 않기 때문에 놀이감을 놀이의 수단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탐색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이것이 연구자에 의해 감각운동놀이, 기능놀이로 관찰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페텔슨과 로스(Feitelson & Ross, 1973)는 이러한 계층간의 놀이 행동의 차이에 대하여 다른 견해를 갖고 있다. 그들은 저소득층의 가정에서는 가상놀이에 필요한 여건, 즉, 적당한 놀이감이나 놀이 공간이 제공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결국 대부분의 실험들이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유아에게는 친숙하지 않은 교실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거나, 낯선 성인이 함께 있음으로 하지 않은 교실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거나, 낯선 성인이 함께 있음으로 인하여 유아가 느끼는 불안감에 의해 퇴행적인 행동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그밖에도 유아의 정신적 결함, 즉 정신박약이나 자폐증과 같은 요인도 유아의 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07.08.09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4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