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음식문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음식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I. 서론

II. 북한의 주식
1. 식(食)재료
2. 대표적인 음식
3. 지역별 음식의 특성

III. 북한의 음식문화
1. 식사예절
2. 유명 음식점
3. 대용식품의 장려

IV. 식생활의 문제 및 해결방향
1. 생산과 분배
2. 식량난
3. 해결방향

V.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식량난 이후 개선된 분조관리제의 효과가 일부 나타나기도 하였던 점을 중시하고, 그 효과가 보다 강화되고 지속될 수 있도록 물적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협동농장의 생산효율을 향상시켜야한다.
’과 ‘고도 산업화사회로 구조를 개혁’하는 방법뿐이라 할 수 있다.
농업 인프라를 개선하는 일 역시 식량 증산을 위해 필수적인 일이다. 그러나 기반사업을 개선하는 데에는 커다란 재정 부담이 뒤따른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당사자인 북측의 강력한 의지와 자구적인 노력이 우선되어야 하며, 여기에 우리의 물적인적기술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북측은 무엇보다도 농로, 수리시설, 농경지 등 생산기반시설의 보수 유지 및 확충에 전력하여야 한다. 또한 식량 증산과 관련하여 비료공장의 가동을 원활히 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과제이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그 시설이 노후화되어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부족으로 인하여 가동률이 최저수준에 머물러 있는데,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화학비료 생산량을 늘려 적정수준의 비료량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남북한 간의 먹거리 교류 역시 현재의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남한의 음식문화는 급속히 서구화되고 먹거리는 인스턴트화 되었다. 우리의 전통식품 자리를 합성식품이 위협하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유해성 논란도 없지 않다. 반면에 북한은 일찍부터 ‘민족음식’, ‘민족음료’의 개발과 보전에 노력하였다는 점은 인정할 만하다. 다만 주민들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식량조차도 제대로 공급할 수 없는 난국에 처해있다.
대표적인 민족음료로는 배단물, 식혜, 들쭉차 등을 들 수 있으며, 백두산 들쭉술개성 인삼주 등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기다 하다(임상철, 2005 : 76). 북한 당국이 식량부족 문제 해결 차원에서 개발한 음식이라고 할지라도 남한의 과잉영양섭취에 의한 비만과 현대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다이어트 및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이를 활용한다면 북한의 이러한 노력과 음식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V. 결 론
지금까지 북한의 음식을 주제로 하여 북한의 문화와 경제사정 그로인한 문제를 살펴보았다. 본론에서 보았던 것처럼 북한의 음식은 지난 분단 60년간 독자적으로 발전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북한의 음식의 철학을 한마디로 압축시키자면 ‘전통의 보존과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북한의 사상은 봉건시대의 것을 부정하는 사회주의 사상과는 약간의 괴리감이 느껴질 정도이다. 그러나 그들 역시 문화를 계승하는 자이며 그것을 발전해나가야 할 의무가 있듯이 북한의 음식을 더욱 발전 시켜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한반도의 오천년 역사에 비했을 때 요 근래 50여 년 정도만 갈라져 있었을 뿐 결국 같은 전통을 가진 한민족이기 때문에 남한의 음식과 별 다를 바가 없음을 느낄 수 있었다. 남한이 서울, 경기도, 강원도 등의 지방에 따른 특색의 차이를 보이고 있듯이 북한도 평양, 개성, 황해도 등 각 지방마다의 특징이 있을 뿐 크게 남, 북으로 갈라놓고 보았을 때 위에 말한 내용 이외에는 크게 근본적인 차이는 없다고 하겠다. 김치를 예로 들었을 때 남쪽의 김치와 북쪽의 김치가 지역에 따라 조금씩은 다르더라도 한국 고유의 음식인 김치만의 동질성과 특색은 가지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북한의 자연적 특성상 기상여건의 변화 등으로 인해 작황의 차이가 많이 난다고는 하나 이것은 국가의 정책으로 충분히 대처할 수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결국 국가를 이끄는 위정자들의 우매한 결정으로 인해 다수의 국민들을 위험으로 몰아간다는 일은 우리 모두가 경계해야 할 일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그들이 자발적으로 해결해야 할일이고 우리에게는 우리의 역할이 따로 있다. 그것은 남북한간 정보의 공유와 인적 물적 교류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민족공동번영의 기틀을 마련하여 평화통일국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호 이해와 공동 번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실제적으로 현재 남북이 분단되고 교류가 단절되어 북쪽음식을 접하기 어려우나 그래도 요즘은 실향민과 귀순자 등을 중심으로 한 음식점이 점차 늘어나 맛볼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났다. 물론 북쪽에서 직접 먹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겠지만 이곳에서는 느낄 수 없는 맛을 조금은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북한에 대한 관심을 키움으로써 우리가 진정한 평화통일을 위해 어떤 일을 해야 할지 깊이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인간의 삶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 요소인 먹거리는 한반도 통일의 길목에서 평화통일의 싹을 틔우고 영글게 하는 영양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지만 우리가 동질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것들을 연구하고 그것을 새로운 지식의 발전으로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 국내 문헌 -
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1970.), 「경제사전II」, 평양 : 사회과학원출판사.
유영옥(2005. 8. 30.), 「유영옥의 북한론」, 서울 : 홍익재.
임상철(2005. 2. 12.), 「먹거리를 통해 본 북한 현실」, 서울 : 통일부 통일교육원.
정해창(2002. 2), 「남북농업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 : 경기대학교.
통일부 통일교육원(2005. 9. 20.),「북한관광 길라잡이」, 서울 : 맑은 인쇄.
통일정보신문(2005. 8. 29.), 8면.
한마당 편집부(1989. 6.), 「자랑스런 민족음식 북한의 요리」, 서울 : 한마당.
- 인터넷 자료 -
http://www.travel-northkorea.com(2006. 9. 6.)
http://www.zzna.com.ne.kr/index6.html(2006. 9. 6.)
http://www.zzna.com.ne.kr/index7.html(2006. 9. 6.)
http://food.new21.net/(2006. 9. 7.)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8&dir_id=80610&eid=sGJ9CT77MJ4wMUNgA2nBn6qNFzYCPXHo(2006. 9. 7.)
http://nk.chosun.com/tour/tour.html?ACT=TourResta16(2006. 9. 7.)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8.2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6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