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사례에 관한 보고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글로벌 차원의 국제분업: 미국 IT기업의 동아시아 진출 사례

2. 기업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확장
2-1. Seagate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확장
2-2. GM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확장

3. 산업별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3-1. 신발산업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확장
3-2동북아 지역의 자동차 산업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확장

본문내용

터 부품생산을 위한 중간재를 조달받는 방식이었으나, 2002년부터는 중간재 및 기초소재조차도 중국 현지에서 조달받는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일본에서 조달받는 방식이 20% 수준의 원가절감 효과에 그치는 반면, 중국 현지에서 조달받게 되면 30% 수준의 원가절감 효과를 얻기 때문에 중국 현지에서 부품을 조달 받았다.
최근 스미토모電裝, 칼소닉 칸세이 등 일본의 핵심 부품업체들이 자국공장을 폐쇄하고 중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하였다. 일부 부품업체들은 노동집약적 부품에 그치지 않고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고부가가치 부품까지 중국 이전을 계획하고 있다. 도요타계열의 아이싱공업은 카오디오 구성부품의 해외생산 비중을 90%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일본 자동차산업의 글로벌생산은 이미 1980년대부터 시작되어, 1990년대 중국과의 국제분업이 시작되기 이전에는 ASEAN을 일본 해외 생산기지로 활용하여 각 국가별로 특정부품의 생산을 특화시킨 결과, 생산규모가 3년만에 4배 이상으로 급증하여 규모의 경제 수준에 도달할 수 있게 되었다. 1988년 ASEAN 국가간에 체결된 ‘부품 상호보완협정’은 동남아지역에서 자동차 부품생산의 글로벌화를 더욱 강화시키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참고문헌
김주훈. “동아시아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와 한국의 혁신정책 방향 - IT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연구개발원, 2004.
김광희 외 10인. “중국의 부상 및 동북아 분업구조변화에 따른 우리의 대응전략”, 국민경제자문회의, 2006.
배영자. “정보혁명과 미국제국론 -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관점”, 국제지역연구 15권 3호, 2006.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8.28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6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