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정서 - ‘恨(한)’에 대하여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편 한의 정의
  한(恨)이란
  한과 원의 구별
  한국적 정서로서의 恨

2편 한의 원인
  역사적 원인
  사상적 원인

3편 한이 나타나는 사례
  문학
  화병
  귀신
(동양귀신 & 서양귀신)

4편 한의 해소
  긍정적 방식
  부정적 결과

본문내용

‘한’이란 무엇인가?
‘한’과 ‘원’의 구별
한국적 정서로서의 ‘한’
다른 민족에는 원(怨)의 정서는 있어도, 한(恨)의 정서는 없다
‘화병(hwa-byung)’
1995년 미국정신의학회는 ‘hwa-byung’이라는 우리말 용어를 쓰면서 “한국민속증후군의 하나인 분노증후군으로 설명되며 분노의 억제로 인해 발생한다”고 정의함
MBTI 성격검사 이론에서 한국인의 내향성 지표는 64%
감정을 밖으로 분출하는 것보다는 마음으로 삭히고, 참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는 한국의 풍습
한의 원인
역사적 원인
불안과 위축의 역사
한민족의 끊임없는 외침과 내란의 역사
선사 및 고대의 터전인 북방대륙의 상실,
고구려 백제 패망,
누차의 외세 침략 및 일제 식민지,
오랜 빈곤 등으로 인한 국민들의 영구적인 절망
결과적으로 체념과 비애의 정서인 한이 생겨났다.
한의 원인
융의 집단 무의식
‘옛 조상이 경험했던 의식이 쌓인 것으로서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된 정신의 바탕이며 경향’
선조부터 경험되어왔던 내란, 외침, 착취, 억압, 체념, 비애 등이 전승되어 한국인의 정서에 밑바탕이 되었음.
한이 우리 민족 고유의 특징이라는 점,
개인적 경험을 초월한다는 점,
상징을 통해 전승된다는 점 등을 고려해보았을 때
→ 융의 집단무의식으로 설명이 가능
한의 원인
사상적 원인
계층의식
양반 · 상민 · 천민 구조 속에서 백성들의 일상적인 억울함 또는 억눌림이 존재함.
가학적 사대부는 피학적 민중에게 원한의 대상이었고, 지배자의 억압과 착취의 횡포를 별다른 수 없이 받아들여 일시적으로 참을 수 밖에 없는 현실
한의 원인
한(恨)의 사례
문학 속에서 드러나는 한
허난설헌의 삶과 문학 속의 한(恨)
원만하지 못했던 결혼생활
15세 때 결혼, 남편 김성립의 방탕한 생활과 기방출입
남편의 열등감 심화, 시댁으로부터 미움을 받음
아들과 딸의 죽음
자신의 한을 시에 담아 표출
문학 속에서 드러나는 한
허난설헌이 자주 얘기한 세가지 한
[하나는 여자로 태어난 것
다른 하나는 조선에서 태어난 것
그리고 또 다른 하나는
‘김성립’의 아내가 된 것]
규원(閨怨)
- 허난설헌 -
비단띠 비단치마 눈물 흔적 쌓였음은
임 그린 1년 방초의 원한의 자국
거문고 옆에 끼고 강남곡 뜯어 내어
배꽃은 비에 지고 낮에 문은 닫혔구나
달뜬 가락 가을 깊고 옥병풍 여전한데
서리친 갈밭 저녁에 기러기 앉네
거문고 아무리 타도 임은 안 오고
연꽃만 들못 위에 맥없이 지고 있네
  • 가격1,2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7.10.04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302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