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철학사적 기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1. 교육철학의 이해

2. 철학의 연구 영역과 교육철학
1) 철학의 주요 연구영역과 교육
2) 지식의 종류

3. 서양의 전통 교육철학
1) 관념론(이상주의. Idealism)의 교육
2) 실재론(현실주의. Realism)의 교육
3) 실용주의(Pragmatism)의 교육

4. 서양의 현대 교육철학
1) 진보주의, 2) 본질주의, 3) 항존주의, 4) 재건주의, 5) 실존주의, 6) 분석철학, 7) 비판철학, 8) 교육인간학(pädagogische Anthroplogie), 9) 포스트모더니즘

5. 교육의 역사적 이해
1) 역사란 무엇인가
2) 교육사란 무엇인가

6. 역사를 통해서 본 삶의 형태(문화)와 교육의 성격
1) 정치제도, 사회조직의 변천에 따른 교육의 변화
2) 경제제도의 변천에 따른 교육의 변화
3) 종교제도의 변천에 따른 교육의 변화
4) 문명의 발달에 따른 교육의 변화

본문내용

었다. 무당, 제사장 등의 교육이다.
- 사회가 더욱 복잡해져서 정치 제도를 갖기 시작했을 때 지도자가 되기 위한 교육과 피지도자를 만들기 위한 교육이 생기게 되었다. 이 교육은 요컨대 그 정치 제도를 지키기 위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2) 경제제도의 변천에 따른 교육의 변화
- 원시 공산 경제 체제하에서는 경제가 곧 교육의 동기나 목적은 아니었다. 교육과 경제가 결부된 최초의 형태는 그리스의 소피스트로부터가 아닐까 싶다. 그러나 이때의 경제와 교육의 관계는 다분히 가르치는 사람의 개인적 관심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격적으로 교육과 경제가 결부되어, 경제적 목적을 위해 교육을 받고 교육 기관이 생기고 한 최초의 것으로는 아무래도 중세 말 신흥 도시들에서 생겨난 조합학교(Guild School)를 들어야 할 것이다. 그 다음 국가적인 단위로 실시된 것은 산업혁명 이후부터가 될 것이다. 그리고 근대에서 현대로 들어오면서 차츰 국가 경제 계획에 따르는 교육 계획의 수립이 일반화되었다.
- 한국 같이 2차 대전 이후부터 갑작스럽게 변천하는 사회에서는 국가 계획보다 사회 일반의 경제적 욕구가 교육 제도, 교육의 형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에 와서는 대부분의 국가들이 예외 없이 국가 경제 정책을 비롯한 전체적 계획과의 관련 아래에서 교육 계획을 수립한다. 국가적 계획의 여러 측면들 중에서 어느 부분(정치, 경제, 문화, 군사 등)이 특히 강조되느냐 하는 것은 그때그때 국가적 형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그러나 국가적 정책 수립이나 국가 발전 계획에 있어서 어떤 측면을 강조한다 하더라도 어느 의미에서나 예외 없이 제일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비록 정책 수립자들의 비위에 맞건 안 맞건 간에 첫째로 비중을 두지 않을 수 없도록 되는 기본적 요소)은 바로 교육에 대한 투자라는 사실이 근래에 와서 밝혀지고 있는 실정이다.
3) 종교제도의 변천에 따른 교육의 변화
- 원시 시대에는 종교와 정치가 동일체로 결부되어 있었기 때문에 종교제도의 발전에 따라 교육도 변천하였음은 필연적인 현상이었다. 이러한 종교와 교육의 관계는 근세에 이르기까지 - 어떤 의미에서는 현대에 와서야 형식상의 분리가 이루어졌다 - 계속되었다고 볼 수 있다.
- 종교 교육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히브리 교육을 - 물론 유교 교육, 이슬람 교육, 불교 교육도 말할 수는 있겠으나, 오늘날까지 우리의 눈앞에서 나타나고 있는 대표적인 예로는 - 들 수 있겠다. 오늘날 이스라엘 국가가 생기기까지는 이 민족 종교의 교육이 근본이 된다. 그들의 교육은 교육 그 자체의 일차적 목적이 있기보다는 오히려 종교를 위한 교육이었던 것이다. 그들의 경우 모세 오경을 익을 수 있도록, 자녀를 가르치지 않는 부모는 야훼 신에게 죄를 짓는 것으로 생각했고, 이러한 이유로 모든 아동은 철저한 모국어 교육을 받았던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교육 내용은 모세 오경이지만, 사실 그것은 또한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 교육이었고 민족 교육이었던 것이다. 중세기 기독교에서의 교육은 히브리 교육처럼 민족이 주가 아니라, 교회의 옹호가 주목적이었다.
- 현재에 와서는 이러한 전통적 의미의 종교 교육은 그 힘을 상실한 것 같다. 종교의 개념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즉, 현대에 와서는 종래까지의 종교가 맡았던 역할, 의미 등을 기계, 권력, 경제, 정치, 사회 제도, 효율성 등이 대신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견해는 E. Fromm, P. A. Sorokin, N. Berdyaev, J. Ortega, Y. Gasset, J. Robinson, R. May, H. Cox, H. Marcuse 등의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 같다. 따라서 과거의 종교 교육이 신에게 적응하도록 만들기 위해 인간을 가르쳤듯이 현대의 교육은 이런 것들(기계, 권력 등)에 적응하도록 만들기 위한 교육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4) 문명의 발달에 따른 교육의 변화
- O. Spengler는 그의 유명한 책 [서구의 몰락]에서 성장 과정에 있는 문화는 문화라고 칭하고, 이미 성장이 끝나 종말을 향하기 시작하는 문화는 문명이라고 칭한다. 이 경우 문명은 문화에 비해, 특히 정신적 생산의 결핍이 특징이다. 창조적 천재들이 없고 - 그는 이런 사람들이 많이 생겨나는 시기를 거장의 시대라고 부른다 -, 과거에의 답습, 모방에 급급하고 그 대신 양적인 증가와 거대화 현상만이 나타나는 문화를 문명이라고 부른 것이다. 우리는 여기에서 문명의 발달을 주로 물질적 발달의 측면에 비중을 둔 것으로 규정하기로 한다.
- 문명의 발달은 지식의 양적 증가, 생활의 기계화, 개인의 고립화, 개인 능력의 기계화(전문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따라서 문명이 발달해 감에 따라 그 속에서 사는 인간들은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더 많은 지식이 필요해진다. 이런 이유로 해서 자연히 문명발달은 지식 인구의 증가 현상을 초래한다. 동시에 교육은 사람됨 전체보다는 기능 위주의 훈련으로 변모한다. 인간을 키우기보다는 기계를 제도하는 것처럼 되어 기능인을 다량 생산하게 된다. 이것은 문명의 요청이기도 하다.
- 이제는 어떤 인간을 키울 것인가(전체로서의 인격)가 문제가 아니라,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부분으로서의 기능)가 교육 과정상 가장 큰 문제로 되고 말았다. 따라서 교육은 얼마나 효과적으로 빨리 가르치느냐 하는 기술과 수단만을 문제로 삼게 되었다.
- 교육의 목적이 인간의 편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문명의 편에서 결정된다. 어떤 인간을 키울 것인가 하는 교육의 방향은 모호해진다. 왜냐하면, 과학은 우리에게 사실이나 가능성만을 말해주지 당위의 방향은 말해주지 않기 때문이다.
- 문명의 발달, 사회의 복잡화, 경제 발달, 종교의 변화 등의 결과로 현대인은 점점 더 독립적으로 되고 비판적, 분석적으로 되었지만, 이것은 또한 그들이 점점 더 고립적 존재로 되어 감을 의미하기도 한다. 타인들과의 관계에서 고립적인가 하면 개인의 자아 속에서도 여러 측면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하나의 전체로서의 인격이 이루어지지 않고 기능과 역할에 따라 여러 가지의 고립된 삶으로 분리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7.11.14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6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