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질주의와 항존주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1. 본질주의 교육
1) 본질주의 교육의 발전
2) 미국에 있어서의 본질주의자의 교육

2. 항존주의 교육
1) 신토미즘과 교육
2) 항존주의 교육

본문내용

력을 가지게 된다. 이리하여 교육은 생의 의미를 찾는 것이며, 모든 지식이 흘러나오는 세계의 참된 실재를 바로 이해하게 하는 하나의 여정이다 항존주의가 이 같은 일의 큰 부분을 맡게 된다.
- 항존주의는 변화가 격심한 오늘, 이 시대에 있어서 가치의 절대성을 강조하는 하나의 역설이다. 그것은 또한 변화 속에서 변치 않는 모체를 구하고 상대적 가치관과 허무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확실성을 추구하는 현대교육의 요청이기도 하다. 항존주의는 “옛”것이나 이런 뜻에서 “낡은” 것은 아니다.
- Hutchins와 함께 Great Books를 통한 고전 교육을 강조하는 Adler는 스콜라철학에 입각한 항존주의자의 한 사람이다. 그는 그의 저서 「The Paideia: An Educational Manifesto」(Macmillan, 1982)에서 미국교육이 기초학습을 결여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이 책을 통해서 교양교육과 자유인문 교육을 강조하고 모든 학생을 위한 동등한 교육을 주장했다. 즉 앞에서도 언급된 바 있는 “가장 훌륭한 사람들을 위한 가장 좋은 교육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가장 좋은 교육이 된다”고 그는 강조한다. 1982년 9월호 「Time」지에서 그의 “Padeia” 교육론에 대한 것을 크게 거론하고 있다.
- 그는 세 가지 주장을 내세워 이것들이 초중고 12년간의 교육을 통해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하게 요구된다고 했다. 첫째는 역사, 문학, 어학, 수학, 과학, 예술에 대한 기초지식의 획득이다. 둘째는 읽기와 쓰기와 헤아리기(수학적 계산)와 과학적인 탐구에 대한 기본적인 지적 기술을 갖추는 일이다. 이 같은 기술은 마치 체육기술을 가르치는 것과 같이 실제연습과 코치를 통해서 습득된다. 셋째는 예술작품에 대한 미학적 감상과 개념과 가치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능력 등, 이해력을 증가시키는 일이다.
- 이에 추가해서, 그는 12년간의 체육교육과 8년간에 걸친 조리법, 타이핑, 자동차 수리기술 등의 기술교육과 1년간의 직업선택을 도와주기 위한 교육을 할 것을 주장했다.
- 이 같은 그의 주장에 대한 비판은 그가 이 같은 교육을 이끌어갈 교사교육에 대해서 소홀히 했다는 주장이다. 「Washington Monthly」지의 편집자인 Phil Keisling은 무능한 교사가 많다는 것은 잘못된 교육과정보다도 더 큰 문제가 된다고 했다. 사실, 그는 교사는 자유 인문교육으로서 무장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교사교육에서 교육학과 교육철학이 필요 없다고 주장했다.
- Harvard 대학교의 사회학 교수인 David Riesman은 그의 제복화한 획일적인 중핵 교육과정은 일본이나 프랑스 같은 나라에서는 혹 모르지만 미국 같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 속에서는 적당치 않다고 했다.
- Boston 대학의 교육사 교수인 Paul Nash는 전통적인 “신사교육”의 개념에 해당하는 그의 교육문화론은 비신사 집단인 흑인이나 라틴 아메리카계와 여자와 하류계층의 사람들에게는 실업을 조장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비판했다.
- 그러나 Time지에서 언급된 그의 Paideia론이 가지는 중요한 의미는 교육의 고전주의로서의 항존주의와 본질주의가 현대교육의 중요한 논제(issue)로서 많은 교육학자와 사회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사실 그 자체이다.
- 사실 교육철학의 학파를 논의해보노라면, 한 철학자가 서로 다른 학파로 분류될 수도 있다. 본질주의와 항존주의를 설명하려고 할 때, 우리는 이 같은 사실을 많이 볼 수 있다. 가령, Plato는 관념론자이면서 그의 사상은 본질주의 교육사상가와 항존주의 교육사상가들에게 다 같이 그들의 사상적 기초를 형성해주고 있다. 또한 Aristotle 역시 본질주의와 항존주의 교육에 다 같이 기초를 제공해주고 있다. T. Aquinas는 토미즘이라고 분류되지만 실재론 속에 포함되어질 수 있다.
- 우리는 하나의 교육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기본이 된다고 생각되는 철학을 사실상 설명했다. 그러나 그것을 배타적으로 받아들여 어떤 특정한 철학은 어떤 특정한 교육사상에만 적용된다고 고집한다면, 그 사상과 그 철학을 이해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질주의나 항존주의 교유사상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 사상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철학이 무엇인가를 배척적으로 보지 말고 포괄적으로 이해해야만 할 것으로 보인다.
< 정리 >
1. 항존주의란 무엇인가?
- 종교적 세계관 위에서 철저한 반과학주의·탈세속주의·정신주의로서 절대 불변하는 진리의 보편성과 이성적 존재로서의 보편적 인간에 대한 신념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의 기본 원리는 변하지 않고 또 영원불멸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진보주의를 가장 싫어하고 이에 혹독한 비판을 가하면서 등장하였다. 대표적 학자는 R. M. Hutchins, J. Maritain, W. F. Cunningham, M. J. Adler 등이 있다.
2. 교육원리
항존주의자 사이에도 유파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의 공통적인 교육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성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교육의 본질도 변하지 않는다.
둘째, 이성적 인간으로서의 자기 각성과 극기 수련이다.
셋째, 진리를 탐구하고 진리에 안주하는 자세의 확립이다.
넷째, 교육은 이상적 삶에의 준비이다.
다섯째, 기본적 교과의 철저한 이수다.
여섯째, 고전독서 교육이다.
위의 여섯 가지 원리로는 목적의 동일성, 극기수련성, 진리동정성, 이상적인 삶의 추구성, 교양 교육성, 고전독서 계획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3. 의의
첫째, 진보주의에 정면으로 맞서고 나옴으로서 진보주의의 결함을 각성케 하였다.
둘째, 물질주의, 기계주의, 과학숭배사상 등에 의한 현대의 위기와 인간 본연의 자세에 대한 경종이 된 점이다.
4. 한계
- 항존주의에도 몇 가지 비판받아야 할 측면이 있다. Brameld는 이것을 과거에의 도피와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의 둘로 요약했고, Kneller는 금욕성·비활동성·귀족성·고전과 중시의 넷으로 요약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 시사를 얻어 항존주의의 비판을 하면,
첫째, 비민주성이다.
둘째, 현실의 경시이다.
셋째, 귀족성이다.
네째, 문화에 대한 역행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11.14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6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