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평가자료]동학 농민 운동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동학 농민 운동에 관하여 >
1. 서론

2. 동학농민운동의 배경
1) 제1차기병
2) 집강소 시기
3) 전주화약이후의 국내외의 정세변화
4) 제2차기병

3. 결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규탄하였다.
여기서 당시 위로부터 의도되고 있던 개혁운동은 반농민적인 책동으로 규정되었으며 또한 이를 추진한 개화파들 자신도 비록 농민군의 요구를 일정범위 내에서 수용하려고 하였지만 결코 농민군의 혁명적 에너지를 흡수하여 반침략전선을 하지는 않았다. 결국 근대화를 달성하려는 위로부터의 개혁운동과 아래로부터의 혁명운동은 결합되지 못한 채 외세에 의해 서로 대립하게 되었던 것이다.
한편, 농민군 내부의 문제점도 여러가지가 노출되었다. 우선 전반적인 농민군의 의식이 봉건권력의 정점인 왕조 자체의 부정으로까지 이르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었기에 일시적으로 승리한 농민군이 정부측과 타협을 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농민군의 구성을 살펴볼 때도 약간 상이한 계층적 기반을 가진 집단들이 일시적으로 동일한 적을 상대로 싸우고 있었던 관계로 그 내부에서는 적지않은 이해대립을 보였다. 또 농민군 조직의 근간이 되었던 동학조직 내에서 상층간부와 하층교도들 사이의 견해차이는 농민군의 조직적이고 통일적인 전쟁수행을 저해하는 요소로서 작용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내외적인 문제점을 지닌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요구한 폐정개혁안이나 각종 슬로건에서 보여지는 혁명성은 획기적인 것이 아닐 수 없다. 그것은 농민적 토지소유의 확립을 비롯하여 농민층의 사회경제적 요구를 가장 선명하게 부각시킨 것이었으며 이미 해체되어 가고 있던 봉건체제에 결정적인 타격을 입힌 것이었다. 또한 갑오농민전쟁은 봉건정부가 더이상 외세의 침략에 대항할 수 없음을 확실히 인식한 민중들이, 스스로의 힘으로 반침략전쟁을 전개해 나간 귀중한 경험이었다.
전쟁 자체로는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정부로 하여금 농민층의 요구를 반영한 갑오개혁을 단행하지 않을 수 없게 한 데에서도 갑오농민전쟁이 당시 사회에 끼친 충격이 얼마나 큰 것인지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농민전쟁을 통해 성장한 농민군의 구성원들은 그 뒤에 일어난 반일의병전쟁이나 英學黨活貧黨운동 등에도 계속 참가함으로써 반봉건반침략운동의 중심세력이 되었다.
갑오농민전쟁은 실로 자주적인 근대화를 달성하려는 민족운동의 최고봉이었으며 한국근대사의 일대 전환점이었다. 즉 , 국내적으로는 봉건적 사회질서에 마지막 결정타를 입혔으며 세계사적으로는 제국주의화가 절정에 이른 시기에 열강의 침략에 대한 아시아민중의 반침략의지를 보여준 反帝전쟁으로서 커다란 의미를 지니며 식민지하 민족해방투쟁의 전개에 귀중한 역사적 경험이 되었다.
또한 동학농민전쟁이 보여준 자주적이고 애국적인 반외세적 민족주의 정신은 이후 갑오개혁에 반영되었고 우리 근대사의 항일의병운동에서 31 운동으로, 그리고 그 후의 민족독립운동으로 이어져 이들 운동의 사상적 원동력이 되었다.
- 참 고 문 헌 -
- 송기숙 / 이야기 동학농민전쟁 / 창비 / 1992
- 신순철 / 실록 동학농민혁명사 / 서경문화사 / 1998
- 이정범 / 동학과 녹두장군 전봉준 / 서강출판사 / 2005
- 윤석산 / 초기동학의 역사 / 신서원 / 2000
- 김기전 / 동학농민 혁명사 / 도서출판사 광명 / 2006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1.20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76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