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대 성리학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당대의 시대적 상황 고찰

2. 송대 성리학의 성립 배경

3. 여러 학파들의 인물과 사상
(1) 강계학파
(2) 백원학파
(3) 관학파
(4) 락학파
(5) 강서학파
(6) 타동학파

4. 성리학의 본질과 학문관

5. 주자학의 학설과 사상

6. 송대의 성리학이 후대에 끼친 영향

7. 맺음말

8. 참고자료

본문내용

필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이 사서 가운데 「大學」 에 대하여 주자는 전문을 經一章'과 傳十章' 으로 나누고 經'은 공자의 말로 증자가 기록한 것이며 傳'의 부분은 증자의 견해로 증자의 문인이 기록한 것이라 하고 傳'의 부분에는 본문에 錯簡(순서가 바뀜) 이나 脫誤(누락) 가 있다고 하여 순서를 바로잡고, 그중 제5장은 스스로 글을 지어 보충하고 (補傳 또는 補亡章 이라 한다) 그에 대하여 주석을 가하였다. 즉 텍스트 비판도 행한 것이다. 특히 보망장을 지은 것으로 스스로 경서의 일부를 저작한 대담한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구래의 경서 취급과 해석을 맹종하지 않은, 독자적인 자유로운 태도는 실로 자득의 학문'에 걸맞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주자가례> 는 일종의 생활 규범이라 할 수 있다. 불교에서 교전을 經· 律 ·論으로 三구분하여 그 중 「율」 에 해당하는 부분은 일상 행동에 대한 규범을 수록하고 있는데, 유교에서 말하는 禮도 이것과 같은 생활 행동의 규범이라 하겠다. 중국에 있어 「예」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원래 예에 대한 규정을 周禮에서는 제도를 말했고 儀禮에서는 의식을 典禮에서는 하나의 작법을 말하여 모두 외형적인 법칙을 지칭하였다. 공자는 예를 가리켜 인심을 토대로 하여 파생된 규범이라고 말하였으며 이것은 사회를 통어할 수 있는 하나의 동력이 되고 治國의 요구가 된다고 하였다. 한편 맹자도 禮를 仁 義 知의 삼덕과 동격으로 간주하고 四德으로 이것을 다루어 누구나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사양지심은 예의 단이라고 윤리적 규정을 내렸다. 반면 순자는 하나의 철학적 의의를 첨부하여 도덕의 극, 인도의 극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렇듯 예에 대한 고래의 철인들의 태도는 내면 생활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주자의 사상적 발전은 완전히 유리주의를 형성하였는데, 태극은 하나의 이로 이기 중에도 이가 있으며 인심중에도 이가 있으며 사물중에도 이가 있으며 심지어는 성의정심도 일개 이라는 것이니, 그의 사상은 철두철미하게 일개 이자인 것이다. 이것은 바로 명가를 집대성하여 하나의 완전한 이학체계를 쌓아올린 것이다. 그의 사서집주는 중국사상의 성경이 되었고, 그의 궁리학설은 송명이학의 영혼이 되었으며, 그의 백록동서원의 교수는 그 후 700년래의 교육사조의 기원이 되었던 것이다. 그의 영향이 이와 같을 뿐만 아니라 그가 세상을 떠난 후 백여 년에 그의 사상과 정신은 멀리 바다를 건너 일본에 들어간 후 시호천황의 궁정에서 현혜대사의 강으로 당시의 근왕운동을 지지하였으며, 또한 400년 이후에는 산기문찰 등의 전파로 인하여 후래 일본의 명치지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던 것이다. 이런 면으로 보아 후대에 끼친 영향이 얼마나 깊고 넓은가를 족히 알 수가 있는데, 그가 이처럼 위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 주요 원인은 그의 풍부하고 특수한 종합력과 창조력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이단의 사상을 날줄로 삼고 주염계, 장횡거의 견해로 씨줄을 삼아 거대한 이학의 체계를 짰던 것이다. 그리고 위로는 공자와 맹자에 거슬러 오르고 옆으로는 불가와 도가에 미쳐 유가의 신사상과 신방법을 완성하였던 것이다.
주자가 없었다면 송, 원, 명, 청의 몇 백년 동안의 사상 또한 중심이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일반 사람들도 모두 이런점을 공인하는 것이니, 중국사상에 있어서 체계가 크고 영향이 넓으며 능히 공자를 바로 추구한 것은 단지 주자 한 사람뿐인 것이다.
6. 송대의 성리학이 후대에 끼친 영향
송대의 유가 사상은 지금까지의 여러 사상과는 또 달라서, 유가의 경전을 받들어 봉건사상을 더욱 발전 시켰다. 예를 들어 굶어 죽는 것은 작은 일이고 절개나 정조를 잃는 것은 큰 일이다 라고 생각했다. 이것은 여인의 경우에만 해당되는 말이다. 송대이후 삼십세 이하의 여인은 남편이 죽은 후 개가를 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그런 여자들에게는 정절방 같은 것을 세워 주었다. 또한 임금이 신하에게 죽으라고 명령을 내리면 신하는 부득불 죽어야만 했고, 아버지가 자식에게 죽으라고 하면 자식도 어쩔 수 없이 죽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렇듯 군신, 부자, 부부 등의 등급 차별이 매우 엄격하였다. 이런 송대의 유학이 당시와 후세에 준 영향은 막대하다. 여기서는 아래의 몇 가지로 귀답하겠다.
(1) 송유는 수양을 전문으로 논하였기 때문에 명절을 힘써 닦아 "아사사소,실절사대"의 말이 있었다. 이 말은 후세에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남자만이 절오를 중요시하는 것이 아니라 여자도 남편이 죽으면 수절하여 개가하지 않는 것이 이로부터 성하여졌다.
(2) 송유는 개인의 수양에 대하여 실천. 궁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도와 사는 분리하여 개인의 수양이외에 세상사에 대하여는 주의 하지 않고 정치 사회에 대하여도 원대한 계획과 이상이 없었다. 이는 마치 한위가 말한 `치기심이외천하국가`와 같다.
(3 )이학자는 사고를 중히 여겨 고대의 경전이나 문자의 구속을 받지 않았다. 이러한 실사구시의 정신은 전대인의 맹목적인 존고의 폐습을 바로 잡고 후세인에 대하여도 식견을 넓혀 주었다.
(4) 이학으로 인해 서원이 발전하고 원. 명대에 이르러서는 점점 성하여 교육사상 큰 영향을 주었다.
(5) 금인은 송대 유학에 감염되어 역시 이학을 숭상하게 되었다.
7. 맺음말
그리 많은 영향을 끼친 송대의 유학이 어째서 자꾸 비난을 받을까?
첫째로 몹시 관념론이것, 둘째로 그 관념론을 바로 실행 가능한 듯이 믿어 타인에게 강요하는데 있었던 것 같다. 만일 관념론이란 점을 말한다면 도학에만 한정되지 않고 송대의 학문은 모두 관념론이다. 그러나 왕안석 학파는 한편으로는 객관을 중시하므로 실제적이긴 하지만 동시에 거기에 현실과 지나치게 타협한다는 비난도 생기기 시작한다. 그런데 도학파는 때로는 그것이 단종에 가깝고 유교의 형태를 취한 불교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주관적이고 또 독단적인 결점이 확실히 있었다. 그러나 아직 우리 사회에서는 중국의 유교 사상이 아직도 널리 퍼져 있고, 그런 사회에서 우리 자신을 구속하는 유교 사상에 관해 좀더 폭 넓게 알아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8. 참고자료
중국철학산고, 김충열, 온누리 출판사
중국철학사, 가노.나오키, 을서 문화사
  • 가격1,2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1.10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6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