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도교의 역사적 배경

2. 도가와 도교의 구분

3. 도교의 다양한 사상 고찰
(1) 우주와 자연질서의 개념
(2) 인간과 사회에 대한 개념
(3) 초기의 이론적 절충

4. 도교의 발전과정

5. 도교의 신선사상과 수행법

6. 도교의 양생론

7. 도교의학

8. 도교사상의 영향

9. 다른 종교 및 사상들과의 관계

10. 동양사상에 대한 이해와 고찰

11. 참고자료

본문내용

짐작하게 하는 말이다.
7. 도교의학
정렴(鄭0xF34D)은 ≪북창비결≫이라고도 하는 그의 저서 ≪용호비결≫ 제1장에서 내단을 수련하는 방법을 설명해 나가는 도중에 정기를 머물러 있게 하여, 풍사가 파고들지 못하도록 미리부터 방비하는 일종의 건강관리법과 양생법을 말하였다. 그리고 질병이 생겨난 뒤 의사를 찾아가 약을 쓴다 하여도 이미 늦는다고 하였다. 그 착상법은 근대의학적 처지에서도 충분한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양생론이나 보건법은 확대 세련되어서 조선시대 의학의 기본 체계를 확립시키기에 이르렀고, 나아가서는 의학의 본의를 해명하는 데까지 전개되었다. 조선시대는 의서의 번각교주 및 언해가 정력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중 ≪동의보감≫은 그 체계 정립에 도교의 철리가 솔직하게 받아 들여졌고, 후생과 실용을 존중하는 도교의 특성이 의약의 본의 천명에 적용되어 있으며, 심지어 도교 잡술에 속하는 방법까지 소개되어 있다. ≪동의보감≫ 내경편(內景篇) 집례(集例)에 “도교에서는 청정과 수양을 근본으로 삼고 의문에서는 약이(藥餌)와 침구로 치료를 한다. 이는 도는 그 정(精)을 얻었고, 의는 그 조(粗)를 얻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러한 견해를 살린 정연한 구성 밑에서 동양의약에 흔히 있는 허황하고 공상적인 의학론은 극력 배격하고, 의학에서 추구해야 할 궁극의 이치를 파악하여 당시 의학계의 온갖 지식을 총집결하고, 그 의의의 해명에는 도교의 후생과 실용을 존중하는 정신을 취하여 편찬한 것이다. 내경편에서는 도서를 많이 인용해서 신형(身形)과 정(精)·기(氣)·신(神)을 설명하고 의자는 무엇보다도 이것들을 보양, 치료할 것을 강조하였다. 외형·잡병·탕액·침구 제편은 실제에 맞는 일반적인 이론과 공평한 치료방법을 제시하기에 힘썼다. 본말과 정조의 구분이 엄연한 체계에 따라 편찬된 의서이다.
8. 도교사상의 영향
과학에 대한 영향
도가의 생리학 연구기술 그 자체에는 신앙적 성격이 없다. 의학자와 똑같이 건강을 지키고 생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이들의 최대관심사였다. 의학은 1세기경부터 독립적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많은 도가 치료자와 위생학자들이 의학지식을 더해 주었다. 전설적인 선사(禪師)가 황제(黃帝)에게 말한 가르침을 기록한 <황제내경 黃帝內徑>은 현존하는 최초의 의학서이다. 도가의 과학에 대한 관심은 전통의 권위에 의존하는 유교와는 반대로 도가들이 물(物)의 성질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과 경험을 중시했던 사실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현세 문학에 대한 영향
전국시대와 전한시대부터 도교에 대한 내용은 이미 다른 학파의 저술 속에서 나타난다. 직접적인 인용과 분명한 모방이 자주 발견되며 <도덕경>과 <장자>로부터의 인용은 이후 모든 시대의 중국문학에서 풍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들의 문체와 내용을 모방한 것으로 보이는 것도 많다. 신선술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았다. 많은 시에서 신선과 불로초를 찾아다닌 경험을 직접 또는 은유적으로 쓰고 있으며 불로장생약을 지으려고 했던 사실을 묘사했다. 방술상의 많은 용어들이 시어의 기본이 되었다. 마오산파의 저술들은 중국문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당시(唐詩)에서 특히 마오산파의 문헌을 그대로 언급한 것이 많다. 이백과 같은 위대한 시인도 마오산파에 정식으로 입문했다.
9. 다른 종교 및 사상들과의 관계
유교와 도교사상이 '사회 참여'와 '사회 초월' 사상으로 대조를 이룬다고 하는 기존의 평가는 <역경>과 같은 유교경전에서 나타나는 비(非)사회적인 측면을 간과하는 것이다. 도교에 대한 평가도 도가철학의 사회사상과 도교의 정치적인 측면을 무시하고 있다. 중국불교는 인도종교가 전파된 것으로 보기보다는 중국 종교의 나무가 인도의 자극을 받아 개화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중국적 특징을 보존하고 있다. 중국에서 불교가 가장 먼저(AD 65) 언급된 곳은 황로사상을 신봉하던 한 도가의 저술 속에서였다. 따라서 불교는 처음에는 단순히 도교의 다양화로 간주되었다. 붓다의 깨달음은 득도(得道)로, 불교의 성인들은 진인으로, 열반(니르바나)은 무위(無爲)로 해석되었다. 그리고 AD 166년 한의 황제는 노자와 붓다를 함께 제사지냈다. 초기의 도교조직·문헌·의식이 불교로부터 영향받았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4세기경에는 도교 문헌의 문학적 형식 속에서, 그리고 최고 수준에 달한 도가들의 철학적 표현속에서 불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상호적인 것이어서 도교가 불교와 다른 외래종교의 영향아래 사상의 폭을 넓혀갔다면, 불교는 중국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도교화'를 진행시켰다. 도교와 불교의 궁극적인 통합은 선(禪) 사상에서 이루어졌다. 도교의 불로장생이라는 종교적 목적과 불교의 윤회사상은 서로 유사한 성격을 지녔기 때문에 융합되었다. 선불교의 사상은 '도학'이라고 일컬어진 송대 성리학 사상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일찍이 당대부터 '3교'의 통합이 나타나고 있고 이것은 송과 명대에 이르러 대중적인 운동이 되었다.
10. 동양사상에 대한 이해와 고찰
도교 또는 도교적인 것을 인식하는 것이 동양 사상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도교적=신비적mystic이라는 입장을 고집하고 있는 사람이 많은 것 또한 사실이다. 서구 근대 과학의 기준에서 '비합리적'이라는 의미를 지닌 '신비적'이란 말은 그러한 서구 근대 과학의 틀 자체를 벗어난 또 다른 기준에서만 제대로 평가받고 이(神), 공(空), 도(道) 등의 상이한 명칭으로 불리워지고 있다는 차이점만이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한 직관적인 경험의 차원을 서구 근대 과학의 기준에 입각한 객관적 사실로 입증하려고 노력하는 시도는 들인 노력에 비해 별다를 성과가 없으리라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우리가 일상적 경험의 세계를 아무런 의문 없이 받아들이듯 그러한 신비한 경험을 존재와 그 해석의 문제는 우선 그러한 세계의 존재 가능성을 겸허하게 인정하는데서 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11. 참고자료
H. G. 크릴, 도교, 예문서원
酒井忠夫 외, 도교란 무엇인가, 민음사
窪德忠, 도교와 신선의 세계, 법인문화사
  • 가격1,4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2.26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22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