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희작가의 여성의식과 문학세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고정희 작가소개

Ⅱ. 문학과 생애
1. 서 론
2. 존재의 이유와 구원의 시작(詩作)
3. 남다른 열정과 사회활동
4. 어둠의 시대와 불기둥의 시(詩)
5. 살림의 굿, 마당굿시
6. 눈물의 시와 광주
7. 지리산과 고향 그리고 어머니
8. 일생마침

Ⅲ. 시에 나타난 여성의식
1. 한국 여성의 억압 원인
2. 여성 억압의 극복 대안
㉠ 여성사의 재발견 및 재해석
㉡ 여성성의 재발견 및 재해석

Ⅳ. 여성의식의 의의 및 한계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의식을 예리하게 반영했다는 점에서 한국의 여성사적 의의가 크다.
여섯째 고정희는 여성 독립 운동가 남자현 ( 1872-1933 ) 의 독립 운동사를 재발견재해석하고 있다. 남자현은 남편이 의병 나가서 죽자 3 . 1운동에 가담에 활동하였고 만주로 망명해 군정 독립단으로 활동하였다. 일본군 다카후치를 암살하려했으나 왜경에게 체포되었다. 옥중에서 단식 항쟁 중에 병을 얻어 1933년에 세상을 떠났다. 고정희는 남자현의 삶을 다름의 시로 재해석하고 있다.
고정희는 남성중심의 사회가 요구하는 윤리와 관습에 저항하고 한 여성이 당당하게 사회적 인간으로서의 삶을 다시 살아가는 모습이 어떤 것인가를 남자현의 적극적이고 단호한 삶을 시를 통해 생생하게 증언했다. 남성도 힘든 독립운동을 한 남자현은 투옥을 했을 때 단식을 하고 손가락의 마디를 끊어 국제 연맹단에 혈서를 보냈다. 여성도 나라를 위해 독립을 운동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여성성의 재발견 및 재해석
여성성은 실제에서 효용성과 다르게 수많은 요인들의 부당한 횡포에 의해 낮게 평가되었다. 여성성은 남녀 모두에게 내재된 속성이고 한 인간의 조화로운 실현을 위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하지만 여성은 여성성만을 남성은 남성성만을 강요하여 진정한 성적 본성을 조화롭게 실현할 수 없었다. 또 남성성을 우월한 것으로 평가되어 여성성은 억압당했다. 고정희의 시는 여성성을 재발견 재해석 재평가하였다.
첫째 여성이란 육체적 본능적 도구적 존재가 아니라 여성의 자궁을 통해 사회적 이성적 정신적 존재라고 하여 여성들의 삶을 규정지었다. 여성이 자궁을 가졌다는 것은 생명의 근본이며 탄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고정희는 어머니의 자궁이라는 말로 새로이 부각시키고 있으며 여성 해방의 첫걸음이라고 말하고 있다.
둘째 고정희는 여성성을 거대한 포용과 뛰어난 화해 및 통합의 상징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여성성을 배타적이고 가벼운 부정적인 이미지로 해석되어 부당한 선입견을 낳았다. 고정희는 여성성, 그 중에서도 어머니가 지닌 여성성을 적극적으로 재발견 및 재해석하고 있으며 단절되고 막혔던 세상과 연결지으려고 하였다.
셋째 고정희는 여성성을 살려냄의 원천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고정희 시에서 여성성이자 어머니성은 건강한 노동을 통해 죽은 것을 살려내고 살아있는 것은 더 잘 살게 이끌어 주는 살림의 상징이다. 이런 여성성의 소중함을 재발견하고 적극적으로 재해석하며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대지와 건강하게 노동으로 만나는 여성성을 힘으로 생명을 키우고 살린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당당하게 노동 속에서 가족을 살리는 것이라고 고정희는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여성성의 감춰진 진정한 힘임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넷째 고정희는 여성성을 베풂과 따뜻함의 상징으로 해석한다. 베풂과 따뜻함은 현실적인 힘의 측면에서 보면 영악함과 권력욕을 이기지 못한다. 고정희의 시에 등장하는 어머니의 베풂과 따뜻함은 강요된 희생의 행위와 달리 자발성을 띄고 나타난 것이기에 가치는 크다.
다섯째 고정희는 여성성의 친교적이고 정서적이며 남성성에 비하여 덜 폭력적인 성격을 강조한다. 즉 여성성은 사랑을 낳는 원천이다. 고정희가 생각하는 여성 및 여성성이란 사랑에서 시작하여 생명 자유 , 해방 , 평화 , 살림 , 평등 , 행복을 낳는 원천이며 이를 통해 사랑으로 수렴되는 원천이다. 세상속의 지배 , 전쟁 , 억압 등은 남성성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런 남성성의 왜곡상은 여성의 억압적이며 차별적인 삶에서 비롯되었다.
여섯째 고정희는 여성성을 파괴적이고 경직되었던 과거의 세상을 극복하고 새로운 세상이 올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여자 어머니 여성성 등이 앞장서야만 암흑의 세상이 끝나고 생명세상 개벽천지의 살길이 마련된다.
일곱째 고정희는 여성성의 표상을 어머니로 보지만 여성성의 학대로 한을 품고 살아온 대명사 또한 어머니라 생각한다. 어머니의 한을 풀기위해 굿의 형식을 빌려 잠재해 있는 여성성성을 세계구원의 원동력으로 삼았다.
Ⅳ. 여성의식의 의의 및 한계점
첫째 고정희 시에 나타난 여성의식은 한국 여성시사 속에서 선구적으로 집중적인 논의를 한 것으로 의의를 인정받을 수 있다.
둘째 고정희의 시에 나타난 여성의식은 여성억압의 현실에 분노하고 그 원인을 발견해내려고 노력하였다. 단순히 목소리만 높인 것이 아니라 원인을 현실적인 차원에서 냉정하게 탐구하였다.
셋째 고정희의 시에 나타난 여성의식은 역사적 사회적 시각을 견지하였고 민중적 제 3 세계적 시각을 견지하고자 하였다. 평소 가졌던 역사의식과 민중 의식을 여성 문제의 탐구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독자적인 시각을 유지하였다.
넷째 고정희의 시에 나타난 여성의식은 여성사의 재발견 및 재해석이라는 점이다. 여성사의 여성주의적 시각에서의 바른 해석과 여성사와의 역사적 연계성을 확보하려는 계획으로 여성사의 재발견 및 재해석을 시도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섯째 고정희의 시에 나타난 여성의식은 여성성 , 그중 어머니가 지닌 여성성을 새로이 발견하고 해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어머니는 억압의 상징이지만 동시에 여성문제를 해결할 해방의 상징이다. 여성문제에 대한 접근은 가치 차원과 현실 차원에서 함께 이루어져야하고 현실적 방안과 전략을 모색해야한다.
여섯째 고정희의 시에 나타난 여성의식은 굿의 형식이나 행사시 형식을 취한 경우가 많아 현실성을 살리는데 약점을 가지고 있다. 여성문제는 산문적인 (현실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기에 사실적이고 냉정한 접근이 필요하다.
일곱째 고정희의 시에 나타난 여성의식을 보면서 여성문제를 문명사 , 경제사 , 권력사 , 심리구조 , 정치사 , 기후사 등 다양한 문제들과 결부해 색다른 해석을 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 여성해방문학가 고정희의 삶과 글>, 조형, 또 하나의 문화, 1993
<뱀사골에서 쓴 편지, 고정희 시선>, 고정희, 미래사, 1991
<아름다운 사람 하나, 고정희 시집>, 고정희, 푸른숲, 1991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 고정희, 창작과 비평사, 1989
<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뒤에 여백을 남긴다>, 고정희, 창작과 비평사, 1992
  • 가격1,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3.07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39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