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노의 성립과 멸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머리말

Ⅱ.흉노제국의 성립
1. 흉노의 기원
2. 흉노의 발전

Ⅲ. 만리장성과 화친정책
1. 시황제의 만리장성
2. 한고조의 화친정책

Ⅳ. 무제의 북벌
1. 무제 초기의 정벌
2. 무제 말기의 정벌

Ⅴ. 흉노의 분열
1. 동․서흉노의 분열
2. 남․북흉노의 분열

Ⅵ.흉노의 사회와 문화

Ⅶ.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오환(烏桓)과 안령산맥 근처에서 유목생활을 하고 있던 선비였다. 남흉노의 분리, 그리고 선비와 오환의 측면공격으로 약화된 북흉노는 다시는 심각한 위협을 주는 존재가 될 수 없었다. 이로써 외몽골리아와 서역을 중심으로 성립되었던 북흉노제국은 종말을 맞이하게 되었다.
Ⅵ. 흉노의 사회와 문화
흉노사회는 크게 세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는 핵심지배집단으로 선우를 배출하는 왕족집단과 선우에세 왕비인 연씨를 제공해 주는 인척집단이 존재했다. 왕족의 집단으로는 허련제가(虛攣家)가 존재했고 인척집단으로는 호연가(呼衍家), 난가(蘭家), 수복가(須卜家), 구림가(丘林家)등이 존재했다. 이것은 유목국가의 전통적인 특징중 하나로 흉노를 계승한 유목제국에도 그대로 계승된다.
둘째는 주도집단으로 흉노라는 유목연맹체를 구성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투르크계 및 몽골계, 퉁구스계등의 부족들이 이에 속하였다. 셋째는 종속집단으로 복속민과 전쟁포로들로 구성되어있다.
흉노의 모습은 우리가 그들의 후예라고 보는 투르크와 몽골의 모습에서 다시 발견되고 있다. 그들은 “신체는 작지만 땅땅한 편이고, 머리는 아주 크고 둥글며, 안면은 넓고, 광대뼈가 튀어나왔고, 콧구멍이 넓으며, 콧수염이 아주 텁수룩하고, 아울러 콧수염은 많지만 뺨에난 뻣뻣한 털로 된 수염을 제외하고는 턱수염은 없다. 긴 귀에 구멍을 뚫어 둥근 모양의 귀걸이를 달고 있다. 머리모양은 머리카락을 자르고 겨우 정수리에 있는 머리털만 남긴다. 양쪽이 터진 헐렁한 겉옷은 종아리까지 내려왔으며, 그것을 묶은 허리띠의 끝을 앞으로 늘어 뜰인다. 짧은 털로 된 망토로 어깨를 덮고 털모자로 머리를 가린다. 신은 가죽으로 만들었고 넓은 바지를 허리띠로 단단하게 묶는다. 허리띠에는 활집을 왼쪽 넓적다리 앞으로 기울여 매단다.
그리고 그들의 생활리듬은 소유하고 있는 양, 말, 소, 낙타의 그것에 따라갈 수밖에 없었고, 물과 풀을 찾아 가축들과 함께 이동하였다. 특이한 것으로는 낙타, 나귀, 노새, 버새() 버새는 암나귀와 수말 사이에서 생긴 잡종말이다.
, 도도() 준마의 일종.
, 탄해() 가축의 이름으로, 말과 비슷하나 말보다는 작은 동물.
등이 있었다. 따라서 그들은 평상시에는 목축에 종사하는 한편 새나 짐승을 사냥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았고, 긴급한 상황일 때에는 전원이 군사행동에 나설 수 있었다. 이것은 그들의 타고난 천성 이었다. 그들이 먼 거리에 쓰는 무기는 활과 화살이고, 짧은 거리에 쓰는 무기는 칼과 창이었다. 싸움이 유리할 때에는 나아가고 불리할 때에는 후퇴하였는데, 도주하는 것을 수치로 여기지 않았다. 오로지 이익을 위해서 일을 꾸밀 뿐 예의는 고려하지 않았다. 임금을 비롯해서 모든 사람들이 고기를 먹고 그 가죽이나 털로는 옷을 해입거나 침구로 썼으며, 펠트로 만든 천막에서 머물렀다. 건장한 사람이 맛있는 음식을 먹고 노약자들은 그 나머지를 먹었다. 즉 건장한 사람을 중히 여기고, 노약자들은 경시하였다.
종교는 막연한 샤머니즘으로 텡그리에 대한 의식과 성산에 대한 숭배를 기초로 하며, 그들의 법은 엄격했으며, 왕족이 사망했을 경우 그를 따르던 처첩이나 하인들을 그의 무덤에서 목을 베어 버리는 순장의 풍습이 행하여졌다. 아비가 죽으면 아들이 그 후처를 아내로 맞고 형제가 죽으면 남아 있는 형이나 아우가 그 아내를 차지하였다. 서로 이름을 부르는 것을 꺼리지 않았으며 성(姓)이나 자(子) 같은 것은 아예 없었다. 또한 최고 통치자인 선우는 호구와 가축을 알아보기 위해 천고마비의 계절인 가을에 대회(大會)를 열어 부락민들을 불러 모았다.
예술에서는 주로 청동제의 양식화된 동물문양이 새겨진 허리띠 판식 또는 다른 종류의 판식, 금은 장식, 고리, 마구나 장비에 사용된 장식, 혹은 암사슴모양으로 긴 창의 끝부분을 장식한 것들이 대표적인 특징으로 나타나며, 이것을 오르도스예술이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이들이 대개 황하의 만곡 지역과 섬서의 북부에서 많이 발견되었고, 16세기 이래 이곳을 지배한 것이 몽골 오르도스 부족이었기 때문이다.
Ⅶ. 맺음말
역사란 중립의 입장에서 쓰기란 매우 힘들다. 어느 나라의 입장에서 쓰느냐에 따라 침략이 정복이 될 수 있고, 아니면 정복이 침략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문자를 가지고 있지 못했던 흉노로서는 더욱 그러 했을 것이다.
흉노의 묵특은 대제국을 세웠던 칭기스칸과도 견줄만한 인물이라고 생각한다. 한때 대륙을 겁먹게 했던 흉노의 멸망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네가지를 들으려고 한다.
첫째로는 흉노족은 오아시스 교역로인 실크로드를 장학하면서 번영 할 수 있었데, 이것을 빼앗기면서 주변의 정복지역과 그 동안 누렸던 많은 경제적인 힘을 잃게 되었다. 둘째로는
흉노는 중국과의 대립속에서 지속적인 중국의 공격을 받았음에도 그들은 오히려 더욱 굳건하고 더욱 결속을 다졌으나 중국과의 대립이 소강상태 일때 내부의 분열이 일어나 잦은 분열을 가져왔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유목민족의 특징이기도 한 결속력 문제는 중국에 이용되어 계략적으로 이용되어 분열을 가져 오기도 하였다. 마지막 세 번째는 기원전 7세기 스키타이의 의해 전래된 철제 무기는 초기 전쟁에 있어서 그들에게 많은 힘을 실어 주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국역시 철제 무기를 사용하여 대응 하면서 더 이상 여전과 같은 무기의 우세를 점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선비족의 군사력이 흉노를 더 이상 그곳에 있게 하지 못했다.
유목민족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많은 자료를 이용하지 못한 점이 아쉬우며, 앞으로 이 분야에 많은 연구가 필요 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宇鍾社, 『중국통사上』, 우종사, 1981.
Luc Kwanten, 『유목민족제국사』, 민음사, 1984.
신채식,『동양사개론』, 삼영사,, 1996.
宮崎市定, 『중국중세사』, 신서원, 1996.
Rene Grousset;김호동 외 3명 편저, 『유라시아 유목제국사』,사계절출판사, 1998.
사마천; 김원중 譯,『사기열전<63. 대원열전>』, 을유문화사, 1999.
杉山正明 著 ; 이진복 譯,『유목민이 본 세계사』, 학민사, 1999.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4.18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7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