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평가에 대한 병원관계자와 일반인 인식도 조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1.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2.연구의 목적

Ⅱ.의료기관평가 시행 현황

Ⅲ.연구방법
1. 연구대상과 범위
2. 연구의 제한점 및 한계
3. 통계분석 방법

Ⅳ.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인식
3.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병원
관계자의 인식
4.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일반
인의 인식
5.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병원
관계자와 일반인의 인식비교

Ⅴ.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결과 전문가의 경우 ‘수술관리 체계’가 17.9%로 가장 높았고 ‘의료정보/의무기록’ 14.6%, ‘응급’ 12.7%, ‘병동’ 10.9%, ‘검사’ 10.7%, ‘외래’ 9.2%, ‘중환자’ 9.0%, ‘약제’ 5.1%, ‘영양’ 4.3%, ‘무응답’ 2.5%, ‘모성과 신생아’ 1.9%, ‘방사선 검사’ 1.2%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경우 ‘외래’ 19.3%로 가장 높았고 ‘의료정보/의무기록’ 17.1%, ‘병동’ 16.0%, ‘응급’ 14.8%, ‘수술관리 체계’ 10.1%, ‘중환자’ 7.4%, ‘검사’ 5.0%, ‘모성과 신생아’ 3.4%, ‘무응답’ 1.6%, ‘방사선 검사’ 10.4%, ‘약제’ 1.1%로 나타났다<표18>.
<표18> 의료기관평가 영역 중 진료 및 운영체계 관심분야(3가지 선택)
단위 : 명(%)구 분
병원관계자
일반인
빈 도
구성비(%)
빈 도
구성비(%)
환자의 권리와 편의
145
28.3%
141
25.4%
인력관리
21
4.1%
50
9.0%
진료체계
100
19.5%
136
24.5%
감염관리
58
11.3%
56
10.1%
시설관리
40
7.8%
38
6.8%
안전관리
35
6.8%
30
5.4%
질 향상 체계
93
18.1%
99
17.8%
무응답
21
4.1%
5
0.9%
합 계
513
100.0%
555
100.0%
병원관계자와 일반인의 의료기관평가 영역 중 진료 및 운영체계 관심분야를 3가지를 선택한 결과 전문가의 경우 ‘환자의 권리와 편의’가 28.3%로 가장 높았고 ‘진료체계’ 19.5%, ‘질 향상체계’ 18.1%, ‘감염관리’ 11.3%, ‘시설관리’7.8%, ‘안전관리’ 6.8%, ‘인력관리와 무응답’은 4.1%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경우 전문가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권리와 편의’가 25.4%로 가장 높았고 ‘진료체계’ 24.5%, ‘질 향상 체계’ 17.8%, ‘감염관리’ 10.1%, ‘인력관리’ 9.0%, ‘시설관리’ 6.8%, ‘안전관리’ 5.4%, ‘무응답’이 0.9%로 나타났다<표19>.
<표19> 의료기관평가 영역 중 부서별 업무평가 관심분야(3개 선택)
구 분
병원관계자
일반인
빈 도
구성비(%)
빈 도
구성비(%)
병동
56
10.9%
89
16.0%
외래
47
9.2%
107
19.3%
의료정보/의무기록
75
14.6%
95
17.1%
영양
22
4.3%
15
2.7%
응급
65
12.7%
82
14.8%
수술관리 체계
92
17.9%
56
10.1%
검사
55
10.7%
28
5.0%
방사선 검사
6
1.2%
8
1.4%
약제
26
5.1%
6
1.1%
중환자
46
9.0%
41
7.4%
모성과 신생아
10
1.9%
19
3.4%
무응답
13
2.5%
9
1.6%
합 계
513
100.0%
555
100.0%
단위 : 명(%)
Ⅴ. 결론
의료기관평가의 일주기가 끝난 현 시점에서, 정부가 시행하는 의료기관 평가에 대해 일반인들과 의료기관관계자가 어느 정도로 인식하고 있으며,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를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인지정도를 조사해본 결과 병원관계자의 경우 인구학적 특성에서 연령, 학력, 근무부서, 평가여부,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성별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의료기관평가여부에 따라서 인지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기관평가를 받은 의료기관의 인지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기관평가 영역 중 진료 및 운영체계에서 가장 관심 있는 분야는 환자의 권리와 편의로 나타났으며, 평가 영역 중 부서별 업무평가에서 가장 관심 있는 분야는 수술관리체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경우 인구학적 특성에서 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 의료기관평가 인지도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성별은 병원관계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의료기관평가 영역 중 진료 및 운영체계에서 가장 높은 관심을 보인 분야는 병원관계자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권리와 편이로 나타났으며, 평가 영역 중 부서별 업무평가에서 가장 높은 관심을 보인 분야는 외래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원관계자와 일반인 두 집단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인지정도, 결과인지정도, 평가필요성, 질 향상가능성, 평가결과의 종합등급 공개여부, 인센티브정도, 결과공표정도 중에서 평가결과의 종합등급 공개여부를 제외한 나머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인의 의료기관평가 인지도와 결과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병원관계자는 일반인 보다 인지도가 높았다. 의료기관 평가 필요성과 질 향상 가능성에 대한 의견은 일반인이 병원관계자보다 긍정적이었고 의료기관평가 결과의 종합 등급 공개 여부는 두 집단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인센티브에 따른 의견의 경우 병원관계자는 ‘하위등급 의료기관에 개선을 위한 지원을 한다’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일반인은 ‘정부에서 연구비 지원을 한다’, ‘하위등급의료기관에 개선을 위한 지원을 한다’의 평균이 동일하게 높게 나왔다. 결과공표정도에 대한 의견의 경우 병원관계자는 ‘신문이나 대중매체를 통해 알린다’가 가장 높았고 일반인은 ‘공공기관 홈페이지에 별도의 항목으로 공개한다(ex.보건복지부)’가 평균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면, 일반인의 의료기관평가 인지도는 현재는 낮은 편이나, 제도자체에는 관심이 매우 높고 시행에 대한 당위성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므로 일반인들에게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그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을 수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의료기관평가의 방법 『한국의료 QA학회지1994 김창엽』
의료기관 평가제도 실시의 배경과 내용 『한국의료 QA학회지1994 이신호』
의료기관 평가실시에 따른 대처방안 『한국의료 QA학회지1994 김세철』
의료기관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06.3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외래환자의 인식 『김승남』
환자진료와 성과측정 중심의 의료기관평가제도 『한국의료 QA학회지1994 김수경』
의약분업에 대한 환자의 인식도 조사연구 『최영모』
병원의료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의 호의도 인지 수준 차이분석 연구 『김재술』
  • 가격2,9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8.05.18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52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