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명사와 충담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월명사와 충담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월명사(月明師,?~?)
1). 인물 월명사
2). 월명사의 신분

3. 작품분석
1). 도솔가(兜率歌)
2). 제 망매가(祭亡妹歌) : 별칭 = 위망매영재가(爲亡妹營齋歌),

4. 충담사(忠談師,?~?)
1). 인물 충담사
2). 충담사의 신분과 사상적 경향
3). 작품.
(1). 찬기파랑가
(2). 안민가
(3). '찬기파랑가'와 '안민가'에 대한 문학적 의의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았다. 일본에서는 발해가 전해 준 역법을 900년 동안이나 사용했다.
이렇게 한자를 통해 펼친 문학은 신라, 발해, 당, 일본 간에 사신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공식적인 필요에서뿐 아니라 사사로운 자리에서 시를 창화하는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신라, 발해의 문인들은 문화적 역량을 과시하면서 문명세계에 함께 속한 긍지를 갖게 되었다.
3. 고구려, 백제의 노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고구려 : 고구려 음악의 자료는〈고려사〉악지 삼국속악조에 보이는 정도이다. 여기에는 〈내원성〉,〈연양〉,〈명주〉세 편이 소개되어 있다.
〈내원성〉은 정주 물 가운데 있는 성 이름으로, 오랑캐가 귀순해 오면 거기 머무르게 했으므로 성 이름도 멀리서 왔다는 뜻을 가진 말로 정하고 노래를 지어서 기념했다고 한다.
〈연양〉은 어떤 사람이 남에게 쓰이는 바 되어 죽기를 무릅쓰고 열심히 일하다가 자기 신세를 나무에다 비해서 노래했다는 것이다. 원래는 신세타령을 하며 부른 노동요일 것이다.
〈명주〉는 어느 서생이 명주에 갔다가 양가집 처녀와 사랑을 맺고 과거를 해 입신을 한 다음 부모에게 청혼할 것을 서약하고 서울로 갔다. 그 처녀는 다른 사람에게 시집가지 않을 수 없는 위기에 봉착하고 서생은 물고기의 뱃속에서 나온 편지를 통해 그 사정을 알고 급히 달려가 그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처녀의 부모는 기이한 일에 감동을 해 서생을 사위로 맞았다고 하며 이러한 사연은 이 노래를 사랑의 노래로 규정하게 한다. 그러나 이 노래를 고구려의 것으로 보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이 시기에는 과거제도가 없었다. 따라서 이 노래는 통일신라 때 생겨 궁중악으로 채택된 것이 고려로 전해졌다고 보는 편이 타당할지도 모른다.
백제 : 〈고려사〉악지 삼국속악조에 소개되어 있는 백제노래는 〈선운산〉,〈무등산〉,〈방등산〉,〈정읍〉,〈지리산〉다섯 편이다.
〈무등산〉은 그 산에 성을 쌓자 백성들이 편안히 살 수 있게 되었다고 기뻐한 노래라고 했다. 백제시대의 민중의 정서가 잘 반영되어 있는 노래이다.
〈지리산〉은 구례현 사람의 딸이 자색이 뛰어나고 지리산에 살면서 가난해도 부녀의 도리를 다했는데 백제왕이 아름다움을 탐내 차지하려 하자 이 노래를 지어 부르고는 죽음을 맹세하며 따르지 않았다는 것이다.
〈방등산〉은 신라말에 있었다는 사건에서 유래한 노래로 도적이 크게 일어나 장성지방의 방등산에 근거를 두고 양가 여자들을 많이 잡아갔다 하고 잡혀간 여자 가운데 하나가 자기 남편이 와서 구해주지 않는 것을 풍자하느라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선운산〉은 지금은 고창군에 편입된 고을 사람이 부역을 나갔다가 기한이 지나도록 오지 않자 아내가 산에 올라가 기다리며 부른 노래라고 했다.
〈정읍〉은 아내가 남편을 기다리면서 부른 노래라는 점에서 〈선운산〉과 다름이 없다. 정읍 고을 사람이 행상을 하며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아 그의 아내가 산 위의 돌에 올라가 바라보면서 자기 남편이 밤길을 가다가 해를 입을까 두려워해 진창의 더러움에 붙여 노래를 불렀다고 했다.
4. 승려들이 남긴 작품 중에서 기행문으로 손꼽히는 작품은 무엇인가.
혜초는 723년경에서 727년까지 인도를 여행하고 〈왕오천축국전〉을 남겼다. 책 이름에 「오천축」이라고 한 말은 인도의 다섯 나라를 말하며 서두에서는 중부 인도의 마가다국에 이르렀을 때의 일이 서술되어 있고 당나라 안서도호부에 자리잡은 구자국 견문을 다룬 대목까지 남아 있다.
시는 모두 다섯 편이 들어 있다. 첫째 시는 석가가 득도한 곳을 찾아가며 지은 것이며 둘째 시는 남천축국에서 고향 생각을 한 것이다. 셋째 시는 중국에서 왔던 중이 고향에 돌아가려다 갑자기 병이 나서 죽었다는 말을 듣고 지은 것이며 넷째 시는 서번으로 사신을 가는 중국사람을 만나서, 다섯째 시는 눈을 만나 고생을 하면서 지은 시이다.
5. 불교적 세계관이 재래의 신화와 결합되어 나타나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아라.
좋은 예로 수로왕을 두고 한 이야기가 있다. 옛적에 하늘에서 바닷가로 떨어진 알이 사람이 되어 나라를 다스린 이가 수로왕이라 하고는 나찰녀가 독룡과 어울려 다니느라고 4년 동안이나 오곡이 여물지 않는 재앙이 생겨나자 수로왕이 주술로 금하려 하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고 한다. 결국 수로왕이 부처에게 설법을 청하니 나찰년가 불법을 받아들여 해가 없어졌다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신화를 부정한 신화인 셈인데, 주인공으로 설정한 수로왕이 자기 능력의 한계를 깨닫도록 했으니 신화로서의 온전한 요건을 유지하지 못하고 만어사(萬漁寺)라는 절의 유래를 말하는 사찰 연기설화인 전설 구실을 하고 말았다.
6. 최치원이 당시의 놀이를 한시로 읊은 것은 무엇이고, 그 구체적인 내용은 어떤 것인가.
〈삼국사기〉악지에 최치원의 시 〈향악잡영오수〉라는 것이 있다. 이는 다섯 가지 놀이인 오기를 시로 읊은 것으로 놀이마다 일곱 자씩 넉 줄로 묘사하는데 그쳤기 때문에 자세한 사연은 알 수 없으나 신라시대의 놀이와 연극을 살피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맨 처음의 금환은 금빛 방울을 돌리는 놀이이니 곡예인 셈이고, 월전은 놀이꾼의 모습, 공연내용, 청중의 반응, 무대의 분위기, 공연시간 등을 짧은 글귀 속에 적어 놓았다. 대면은, 큰 가면 또는 가면을 뜻하는 말로 춤이 우아하다고 한 것을 보면 굿으로서의 기능보다 놀이로서의 흥미 때문에 공연했음을 짐작케 한다. 네 번째는 속독으로 월전과 함께 무슨 말인지 알수 없기 때문에 서역의 나라이름일 것이라는 추측까지 있다. 하지만 좀 더 자연스러운 해석은 탈을 쓴 모습을 보자는 것이다. 다섯 번째는 산예이다. 이름만 보아도 사자춤인데, 거동묘사 또한 그렇게 되어 있다.
Ⅱ.〈여수장우중문시〉
神策究天文(신책구천문)
妙算窮地理(묘산궁지리)
戰勝功旣高(전승공기고)
知足願云止(지족원운지)
Heaven knows how marvelous you are in your strategy,
Earth knows how shrewd you are in your calculation.
Your name already knows no bounds in this war,
Time to know satisfaction in your toil.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5.20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54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